$\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청소년 구취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대한 연구
A Clin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Patients with Halitosis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4 no.2, 2010년, pp.75 - 87  

윤혜준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진용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Halitosis affects a larg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and it may cause a significant social or psychological problems but pathophysiological mechanism of halitosis is un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diatric halitosis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their related sy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33명의 대상자를 상대로 구취와 관련된 측정값의 성별, 연령별 분포를 살펴보았다. 또한 소화기계, 호흡기계 및 기타 전신 증상에 따른 구취 측정값의 차이를 비교해보는 데에 있어, 구강내 질환이 측정값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강내 요인이 있는 대상자는 제외한 나머지 대상자 101명의 자료를 토대로 해당증상이 있는 그룹과 없는 그룹간의 구취측정값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위하게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다. 예를 들어 ‘코막힘’의 경우 코막힘 증상이 있다고 대답한 군과 코막힘 증상이 없다고 대답한 두 군에서의 구취측정값 평균을 비교하였고, 나머지 유/무의 형태로 표시된 증상들에 대해서도 똑같이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취란? 구취란 입을 통하여 나오는 호기의 냄새로, 일반적으로 그 중에서도 타인으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냄새를 말하는 것으로써1), 현대사회에서 대인관계가 다양해지고 삶의 질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아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구취의 이환율은 각 연구마다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세계 각국에서 이루어진 여러 연구들을 참조해 보았을 때 대략 15~30% 정도의 이환율을 보이고 있다2-4).
구취의 측정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구취의 측정 방법에는 검사자가 직접 냄새를 맡는 관능적인 방법, 구취의 주요 원인 물질인 휘발성 황화합물을 측정하는 방법, 민감도가 높은 Gas chromatography (GC)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중 구취측정기를 이용한 휘발성 황화합물의 측정은 조작이 간편하면서도 훈련된 전문가의 관능적인 평가와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보고되어 있어 많은 연구에 적용되고 있다7).
구취를 객관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방법 4가지는? 구취를 객관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가지가 있다. 첫째, 직접 코로 냄새를 맡는 관능적 평가 방법이 있는데, 이것은 구취진단법 중 가장 빠르고 믿을 만한 방법이나 주관적이며 질적인 평가만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둘째, 구취측정기는 구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H2S,CH3SH,(CH3)2S와 같은 VSC의 농도를 10억분의 1단위(ppb)로 측정할 수 있다. 셋째, 미생물학적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구취의 심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으며, 넷째, Gas chromatograph(GC)로 호기를 분석하여 이를 FPD라는 검출기로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37-8). 본 연구에서 통계적 비교를 위해 사용된 구취 측정기를 이용한 평가방법은 측정이 간편하고 재현성이 있어 치료의 경과를 평가하는 수단으로서뿐 아니라 다른 진단법과 병용할 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3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Porter SR, Scully C. Oral malodour(halitosis). BMJ. 2006;333(7569):632-5. 

  2. Rosenberg, M, Knaan, T, Cohen, D. Association among bad breath, body mass index, and alcohol intake. J Dent Res. 2007;86:997. 

  3. Liu, XN, Shinada, K, Chen, XC, et al. Oral malodor-related parameters in the Chinese general population. J Clin Periodontol. 2006;33:31. 

  4. Nadanovsky, P, Carvalho, LB, Ponce de, Leon A. Oral malodour and its association with age and sex in a general population in Brazil. Oral Dis. 2007;13:105. 

  5. Tonzetich J. Production and Origin of Oral Malodor:a review of mechanisms and methods of analysis. J Periodont. 1997;48:13-20. 

  6. 최재갑. 구취의 구강외 원인.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8;36(1):32-5. 

  7. Rosenberg M, Kulkarni GV, Bosy A, McCulloch CAG. Reproducibility with a potable sulfide monitor. J Dent Res. 1991;17:71-4. 

  8. 심성용, 김경준. 구취에 대한 문헌적 고찰. 동의학회지. 2000;4(1):86-104. 

  9. 김소연, 김진성, 김유승, 홍인아, 허원영, 엄국현, 이선령, 윤상협, 류봉하. 구취환자의 구강건조와 기허, 기울 변증의 상관성 분석.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 8(1);97-105. 

  10. 김덕곤, 김윤희, 김장현, 박은정, 백정한, 이승연, 이진용, 장규태. 동의 소아과학. 도서출판 정담. 2002:9-30. 

  11. 안영기. 경혈학총서. 성보사. 1986:356-9. 

  12. 홍창의. 소아과학. 서울:대한교과서(주). 1999:13. 

  13. Yaegaki K, Coil JM. Examination,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of halitosis; clinical perspective. J Can Dent Assoc. 2000;63:783-9. 

  14. 김진성. 퓨전 구취이야기. 서울:경희대학교출판국. 2006;18,54-8,121-3,149-50. 

  15. van den, Broek AM, Feenstra, L, de Baat, C. A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on management of halitosis. Oral Dis. 2008;14:30. 

  16. Delanghe, G, Ghyselen, J, van Steenberghe, D, Feenstra, L. Multidisciplinary breath-odour clinic [letter]. Lancet. 1997;350:187. 

  17. Waler SM. On the transformation of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and peptides to Volatile sulfur compounds(VSC) in the Human mouth. Eur J Oral Sci. 1997;105:534-7. 

  18. 이돈녕, 안용우, 고명연, 박준상. 전신질환이 구취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4;29(2):119-26. 

  19. 김진성, 윤상협, 류봉하, 류기원. 구취환자의 특성 및 관련 인자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4):252-59. 

  20. 김영구, 이승우, 정성창. 이비인후과의사와 구취환자. In: 구취-지단 및 연구방법. 서울:신흥인터내셔날. 1998;153-62. 

  21. Tsuneishi, M, Yamamoto, T, Kokeguchi, S, et al. Composition of the bacterial flora in tonsilloliths. Microbes Infect 2006;8:2384. 

  22. Tiomny E, Arber N, Moshkowitz M, Peled Y, Gilat T. Halitosis and Helicobacter pylori. A Possible link?. J Clin Gastoenterol. 1992;15(3):236-7. 

  23. Ierardi E, Amoruso A, Notte TL, Francavilla R, Castellaneta S, Marrazza E, et al. Halitosis and Helicobacter pylori-A Possible Relationship. Dig Dis Sci. 1998;43(12):2733-7 

  24. Warren JR, Marshall B. Unidentified curved bacilli on gastric epithelium in active chronic gastritis. Lancet. 1983;1:1273-5. 

  25. Moshkowitz M, Horowitz N, Leshno M, Halperm Z. Halitosis an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 possible association. Oral Dis. 2007;13(6):581-5. 

  26. Nalcaci R, Dulgergil T, Oba AA, GelgoriE. Prevalence of breath malodour in 7-11-year-old children living in Middle Anatolia, Turkey. Community Dent Health. 2008;25(3):173-7. 

  27. NalcaciR,SonmezIS. Evaluation of oral malodor in children. 2008;106(3):384-8. 

  28. Kara C, Tezel A, Orbak R. Effect of oral hygiene instruction and scaling on oral malodour in a population of Turkish children with gingival inflammation. 2006;16(6):399- 404. 

  29. Kanehira T, Takehara J, Takahashi D, Honda O, Morita M. Prevalence of oral malodor and the relationship with habitual mouth breathing in children. 2004;28(4):285-8. 

  30. Amir E, Shimonov R, Rosenberg M. Halitosis in children. 1999;134(3):338-43. 

  31. 형양기, 노석선, 주영승. 구취 구감 구미 구건의 외치법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외관과학회지. 1997;10(1):50-90. 

  32. 박진구. 구취에관한연구. 동의학회지. 1999;3(1):151-62. 

  33. 김진석, 홍종희, 박재우, 전우현, 김진성, 윤상협 등. 수종의한약제가구취감소에미치는영향및은단, 가그린과의 효능비교. 한방성인병학회지. 2001;7(1):1-8. 

  34. 박석규, 홍상선, 임중화, 한숙영, 유종민, 김진성 등. 구취에 대한 정향환의 임상적 효능 연구. 한방내과학회 춘계학술대회지. 2003:154-67. 

  35. 엄국현, 김진성. 청구감로수의 구취억제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28(2):354-62. 

  36. 이선령, 김진성, 김소연, 허원영, 엄국현, 김현경, 이준석, 윤상협, 류봉하. 구취의 한열변증 분석: 구취는 위열증으로 발생하는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2):500-9. 

  37. Rosenberg M, Kozlovsky A, Gelernter I, Cherniak O, Gabbay J, Baht R et al. Self-estimation of Oral Malodor. J Dent Res. 1995;74(9):1577-82. 

  38. Rosenberg M, McCulloch CAG. Measurement of Oral Malodor: Current Methods and Future Prospects. J Periodontol. 1992;63:776-82. 

  39. Shimura M, Watanabe S, Iwakura M, Oshikiri Y, Kusumoto M, Ikawa K, et al. Correlation between Measurements using a New Halitosis Monitor and Organoleptic Assessment. J Periodontol. 1997;68:182-5. 

  40. 형상진단. 송병기. 의성당. 2001;163-70. 

  41. Rosenberg, M. Introduction: In: Bad Breath: Research Perspectives, Rosenberg, M (Ed), Ramot Publishing, Tel Aviv University 1995:1. 

  42. Sher AE: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a complex task. West J Med. 1995;162:170-2. 

  43. Balaban CD. Vestibular autonomic regulation (including motion sickness and mechanism of vomiting). Curr Opin Neurol. 1999;12:29-33. 

  44. Bles W, Bos JE, Kruit H. Motion sickness. Curr Opin Neurol. 2000;13:19-25. 

  45. 한윤정, 장규태. 멀미의 병인에 대한 한의학적 접근.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8;22(1):149-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