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열합성법으로 실리콘 (111) 기판 위에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성장하였다.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성장하기 전, 실리콘 기판에 스핀코팅법으로 씨앗층을 성장하였다. 산화아연 나노막대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로 $140^{\circ}C$에서 6시간 동안 성장하였고, 아르곤 분위기에서 300, 500, $700^{\circ}C$의 온도로 20분 동안 열처리하였다. X-ray diffraction (XRD),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photoluminescence (PL)를 이용하여 열처리한 산화아연 나노막대의 구조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모든 산화아연 나노막대 시료에서 c-축 배향성을 나타내는 강한 ZnO (002) 회절 피크와 약한 ZnO (004) 회절 피크가 나타났다.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화아연 나노로드의 residual stress는 compressive에서 tensile로 변하였다. Hexagonal 형태의 산화아연 나노로드를 관찰하였다. 산화아연 나노로드의 PL 스펙트럼은 free-exciton recombination에 의해 3.2 eV에서 좁은 near-band-edge emission (NBE) 피크와 산화아연 나노막대의 결함에 의해 2.12~1.96 eV에서 넓은 deep-level emission (DLE) 피크가 나타났다.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열처리함에 따라, NBE 피크의 세기는 감소하였고 DLE 피크는 열처리에 의해 발생한 산소 관련 결함에 의하여 적색편이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ertically aligned ZnO nanorods on Si (111) substrate were prepared by hydrothermal method. The ZnO nanorods on spin-coated seed layer were synthesized at $140^{\circ}C$ for 6 hours in autoclave and were thermally annealed in argon atmosphere for 20 minutes at temperature of 300, 50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성장하기 전, 실리콘(111)기판을 황산(H2SO4)과 과산화수소수(H2O2)을 4 : 1의 비율로 혼합한 용액에 110℃의 온도에서 15분 간 세척하였고, 흐르는 탈이온수(deionzed water)에 2분 간 세정하였다. 그리고 HF와 탈이온수를 1 : 9 비율로 혼합한 용액에 1분 간 세척하였고, 흐르는 탈이온수에 2분 간 세정을 한 후, 질소가스(6N)로건조하였다. 스핀코팅법으로 씨앗층를 성장하기 위하여 0.
  • 본 연구에서는 스핀코팅법(spin-coating sol-gel method)으로 씨앗층(seed layer)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에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성장하였다. 그리고 열처리 온도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막대의 구조적/광학적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성장하기 위하여 실리콘(111) 기판을 사용하였다.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성장하기 전, 실리콘(111)기판을 황산(H2SO4)과 과산화수소수(H2O2)을 4 : 1의 비율로 혼합한 용액에 110℃의 온도에서 15분 간 세척하였고, 흐르는 탈이온수(deionzed water)에 2분 간 세정하였다. 그리고 HF와 탈이온수를 1 : 9 비율로 혼합한 용액에 1분 간 세척하였고, 흐르는 탈이온수에 2분 간 세정을 한 후, 질소가스(6N)로건조하였다.
  • 열처리 온도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막대의 특성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아르곤 분위기에서 300, 500, 700℃에서 20분 동안 열처리하였다. 산화아연 나노막대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X-ray diffraction (XRD)과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를 이용하였고, 광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photomultiplier tube (PMT)가 장착되어 있는 1-m single-grating monochromator와 325 nm 파장의 He-Cd 레이저를 사용하여photoluminescence (PL)를 측정하였다.
  • 스핀코팅법에 의해 씨앗층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 위에 수열합성법으로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성장하였고, 300℃, 500℃, 700℃로 열처리 하였다.
  • 그리고 HF와 탈이온수를 1 : 9 비율로 혼합한 용액에 1분 간 세척하였고, 흐르는 탈이온수에 2분 간 세정을 한 후, 질소가스(6N)로건조하였다. 스핀코팅법으로 씨앗층를 성장하기 위하여 0.6몰(mole)의 zinc acetate dihydrate와 0.6몰의 2-methoxyethanol을 1 : 1 비율로 용해하고 monoethanlamine (MEA)을 안정제로 첨가하였다. 그리고 60℃에서 2시간 동안 열을 가하면서 교반을 시킨 후, 하루 동안 자연냉각을 시켜 sol용액을 준비하였다.
  • 씨앗층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에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성장하기 위하여, 0.3몰의 zinc nitrate hexahydrate와 hexamethylenetetramine (HMT)을 탈이온수에 용해시켜, 수열합성법으로 140℃에서 6시간 동안 성장시켰다.
  • 3몰의 zinc nitrate hexahydrate와 hexamethylenetetramine (HMT)을 탈이온수에 용해시켜, 수열합성법으로 140℃에서 6시간 동안 성장시켰다. 열처리 온도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막대의 특성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아르곤 분위기에서 300, 500, 700℃에서 20분 동안 열처리하였다. 산화아연 나노막대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X-ray diffraction (XRD)과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를 이용하였고, 광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photomultiplier tube (PMT)가 장착되어 있는 1-m single-grating monochromator와 325 nm 파장의 He-Cd 레이저를 사용하여photoluminescence (PL)를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성장하기 위하여 실리콘(111) 기판을 사용하였다.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성장하기 전, 실리콘(111)기판을 황산(H2SO4)과 과산화수소수(H2O2)을 4 : 1의 비율로 혼합한 용액에 110℃의 온도에서 15분 간 세척하였고, 흐르는 탈이온수(deionzed water)에 2분 간 세정하였다.

이론/모형

  • 본 연구에서는 스핀코팅법(spin-coating sol-gel method)으로 씨앗층(seed layer)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에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성장하였다. 그리고 열처리 온도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막대의 구조적/광학적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화아연은 무엇인가? 산화아연(ZnO)은 상온에서 3.37 eV의 넓은 밴드갭을 갖는 직접천이형 화합물반도체로써, 청색 및 자외선 영역에서 발광이 가능하여 차세대 레이저 다이오드(LD) 소자 [1]와 발광 다이오드(LED) [2,3] 등의 광소자의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산화아연은 nanowire [4], nanorod [5], nanobelt [6], nanotube [7], nanoneedle [8] 등의 다양한 나노구조로 성장이 가능하고, 이와 같은 1차원 나노구조체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산화아연은 어떠한 나노구조로 성장가능한가? 37 eV의 넓은 밴드갭을 갖는 직접천이형 화합물반도체로써, 청색 및 자외선 영역에서 발광이 가능하여 차세대 레이저 다이오드(LD) 소자 [1]와 발광 다이오드(LED) [2,3] 등의 광소자의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산화아연은 nanowire [4], nanorod [5], nanobelt [6], nanotube [7], nanoneedle [8] 등의 다양한 나노구조로 성장이 가능하고, 이와 같은 1차원 나노구조체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1차원 나노구조체는 열증착법(thermal evaporation) [9], 기상-액상-고상-성장법(vapor-liquidsolid method) [10], 기상이송법(vapor transport) [11], 펄스레이저 증착법(pulsed laser deposition method) [12],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13], 유기금속기체성장법(metalorganic vapor-phase epitaxial growth) [14], 수열합성법(hydrothermal method) [15]으로 성장되고 있다.
실리콘 기판의 어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산화아연의 열처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가? 실리콘 기판은 저렴하고 대면적의 기판으로써 열전도성, 전기전도성, 공정의 용이성, 소자집적도 등의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갖는다 [16]. 하지만, 실리콘 기판과 산화아연의 큰 격자 부정합(lattice mismatch)과 열팽창계수(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차이는 실리콘 기판 위에 성장된 산화아연의 특성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화아연의 열처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7-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Y. Ryu, T. Lee, J. A. Lubguban, H. W. White, B. Kim, Y. Park, and C. Youn, Appl. Phys. Lett. 88, 241108 (2006). 

  2. Z. K. Tang, G. K. L. Wong, P. Yu, M. Kawasaki, A. Ohtomo, H. Koinuma, and Y. Segawa, Appl. Phys. Lett. 72, 3270 (1998). 

  3. 김희수, 한국진공학회지 18, 384 (2009). 

  4. J. Koo, M. Lee, J. Kang, C. Yoon, K. Kim, Y. Jeon, and S. Kim, Semicond. Sci. Technol. 25, 045010 (2010). 

  5. 류혁현, 한국진공학회지 18, 73 (2009). 

  6. X. D. Bai, P. X. Gao, Z. L. Wang, and E. G. Wang, Appl. Phys. Lett. 82, 4806 (2003). 

  7. Y. J. Xing, Z. H. Xi, Z. Q. Xue. X. D. Zhang, J. H. Song, R. M. Wang, J. Xu. Y. Song, S. L.Zhang, and D. P. Yu, Appl. Phys. Lett. 83, 1689 (2003). 

  8. B. W. Park, G.-C. Yi, M. Kim, and S. J. Pennycook, Adv. Mater. 14, 1841 (2002). 

  9. J. S. Lee, K. Park, M. I. Kang, I. W. Park, S. W. Kim, W. K. Chom, H. S. Han, and S. Kim, J. Cryst. Growth 254, 423 (2003). 

  10. Q. X. Zhao, P. Klason, and M. Willander, Appl. Phys. A Mater. Sci. Process 88, 27 (2007). 

  11. P. Yang, H. Yan, S. Mao, R. Russo, J. Johnson, R. Saykally, Nathan, Morris, J. Pham, R. He, and H. J. Choi, Adv. Funct. Mater. 12, 323 (2002). 

  12. Y. Sun, G. M. Fuge, and M. N. R. Ashfold, Chem. Phys. Lett. 396, 21 (2004). 

  13. J. Wu and S. C. Liu, Adv. Mater. (Weinheim, Ger.) 14, 215 (2002). 

  14. W. I. Park, D. H. Kim, S. W. Jung, and G. C. Yi, Appl. Phys. Lett. 80, 4232 (2002). 

  15. B. Liu and H. C. Zeng, J. Am. Chem. Soc. 125, 4430 (2003). 

  16. B. Lin, Z. Fu, and Y. Jia, Appl. Phys. Lett. 79, 943 (2001). 

  17. L. Wu, Y. Wu, X. Pan, and F. Kong, Opti. Mater. 28, 418 (2006). 

  18. W. M. Kwok, A. B. Djurisic, Y. H. Leung. D. Li, K. H. Tam, D. L. Phillips, and W. K. Chan, Appl. Phys. Lett. 89, 183112 (2006). 

  19. B. Ha, H. Ham, and C. J. Lee, J. Phys. Chem. Solid 69, 2453 (2008). 

  20. M. S. Kim, T. H. Kim, D. Y. Kim, G. S. Kim, H. Y. Choi, M. Y. Cho, S. M. Jeon, J. S. Kim, J. S. Kim, D. Y. Lee, J. S. Son, J. I. Lee, J. H. Kim, E. Kim, D. W. Hwang, and J. Y. Leem, J. Crys. Growth 311, 3568 (2009). 

  21. S. W. Xue, X. T. Zu, L. X. Shao, Z. L. Yuan, W. G, Zheng, X. D. Jiang, and H. Deng, J. Alloy Compd. 458, 569 (2008). 

  22. H. J. Ko, M. S. Han, Y. S. Park, Y. S. Yu, B. I. Kim, S. S. Kim, and J. H. Kim, J. Cryst. Growth 269, 493 (2004). 

  23. C. Wang, P. Zhang, J. Yue, Y. Zhang, and L. Zheng, Physica B 403, 2235 (2008). 

  24. C. Li, X. C. Li, P. X. Yan, E. M. Chong, Y. Liu, G. H. Yue, and X. Y. Fan, Appl. Surf. Sci. 253, 4000 (2007). 

  25. L. Wang, Y. Pu, Y. F. Chen, C. L. Mo, W. Q. Fang, C. B. Xiong, J. N. Dai, and F. Y. Jiang, J. Cryst. Growth 284, 459 (2005). 

  26. Z. B. Fang, Z. J. Yan, Y. S. Tan, X. Q. Liu, and Y. Y. Wang, Appl. Surf. Sci. 241, 303 (2005). 

  27. M. Wang, J. Wang, W. Chen, Y. Cui, and L. Wang, Mater. Chem. Phys. 97, 219 (2006). 

  28. M. L. Cui, X. M. Wu, L. J. Zhuge, and Y. D. Meng, Vacuum 81, 899 (2007). 

  29. Y. F. Mei, R. K. Y. fu, G. G. Siu, P. K. Chu, Z. M. Li, C. L. Yang, W. K. Ge, Z. K. Tang, W. Y. Cheung, and S. P. Wong, Mater. Sci. Process 7, 459 (2004). 

  30. L. L. Yang, Q. X. Zhao, M. Willander, J. H. Yang, and I. Ivanov, J. Appl. Phys. 105, 053503 (2009). 

  31. S. A. Studeninkin, N. Golego, and M. Cocivera, J. Appl. Phys. 84, 2287 (1998). 

  32. M. S. Wang, E. J. Kim, J. S. Chung, E. W. Shin,S. H. Hahn, K. E. Lee, and C. H. Park, Phys. Stat. Sol. (a) 203, 2418 (2006). 

  33. X. L. Wu, G. G. Siu, C. L. Fu, and H. C. Ong, Appl. Phys. Lett. 78, 2285 (2001). 

  34. M. H. Choi and T. Y. Ma, J. Mater, Sci. 41, 431 (2006). 

  35. B. Ha, H. Hm, and C. J. Lee, J. Phys. Chem. Solids 69, 2453 (2008). 

  36. H. M. Zhong, W. Lu, Y. Sun, and Z. F. Li, Chin. Phys. Lett. 24, 2678 (2007). 

  37. C. Bekeny, T. Voss, B. Hilker, J. Gutowsaki, R. Hauschild, H. Kalt, B. Postels, A. Bakin, and A. Waag, J. Appl. Phys. 102, 044908 (2007). 

  38. Y. Zhang, G. Du, B. Liu, H. C. Zhu, T. Yang, W. Li, D. Liu, and S. Yang, J. Crystal Growth 262, 456 (2004). 

  39. A. B. Djuri?i?, Y. H. Leung, K. H. Tam, Y. F. Hsu, L. Ding, W. K. Ge, Y. C. Zhong, K. S. Wong, W. K. Chan, H. L. Tam, K. W. Cheah, W. M. Kwok, and D. L. Phillips, Nanotechnology 18, 095702 (2007). 

  40. R. Yousefi and B. Kamaluddin, Solid State Sci. 12, 252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