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벌이 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결혼생활 만족과 일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강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s of Gender Role Attitudes on Marriage Life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among Women of Double Income Household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4 no.2, 2010년, pp.109 - 126  

김주현 (경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문영주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if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would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impact of gender role attitudes of women from double income households on their satisfaction of work and marriage. A structural modelof gender role attitudes was set as the indep...

주제어

참고문헌 (37)

  1. 강혜련, 임희정(2000). 성취동기와 가족친화 제도가 기혼 여성의 직장 가정 갈등과 경력 몰입에 미치는 조절변이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5(2), 1-14. 

  2. 강혜련, 최서연(2001). 기혼여성 직장 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1), 23-42. 

  3. 김경신, 김오남(1996). 맞벌이 부부의 역할 기대 및 역할 갈등과 결혼 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1-18. 

  4. 박기남(2009). 기혼 취업 여성의 일.가족 양립을 위한 시간 갈등 연구: 연령계층별, 성역할 태도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5(2), 37-71. 

  5. 박재규(2003). 취업여성의 가사노동 부담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64, 1-32. 

  6. 박태온(1983). 성역할 태도와 결혼생활 만족도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 139-150. 

  7. 손문금(2005).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페미니즘연구 5, 239-287. 

  8. 손영빈, 최은영(2009). 맞벌이 부부의 가정과 직장 간 역할갈등이 결혼생활 만족도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개인특성 및 가족과 직장지원의 조절효과 중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3), 29-60. 

  9. 이은희(2000). 일과 가족 갈등의 통합모형: 선행변인, 결과변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9(2), 1-42. 

  10. 장수정, 송다영, 김은지(2009). 일가족 양립 정도에 대한 인식: 집단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1(2), 340-370. 

  11. 장재윤, 김혜숙(2003). 직장가정 간 갈등이 삶의 만족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 우리나라 관리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1), 23-42. 

  12. 장재윤, 김효선(2008). 직장 및 가정에서의 성역할 행동특성의 차이, 행동전이 및 직장가정 양립간의 관계: 맞벌이 여성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1(2), 265-283 

  13. 전방지, 김경애, 홍기원(2002). 여성 기업인의 일과 가족: 갈등 또는 지원관계. 가족과 문화 14(3), 69-95. 

  14. 정수인, 이기영(2007). 기혼직장인의 직장가정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1), 83-107. 

  15. 정영금(2005).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족 갈등과 여파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4), 113-122. 

  16. 정영금(2008). 가족자원경영학적 관점에서 본 일-가정 균형 정책에 대한 평가와 방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1-14. 

  17. 조희금(1999). 취업기혼여성의 일-가정갈등과 직업 및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7(2), 145-158. 

  18. 최규련(1984). 부부의 성역할 태도와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2(2), 91-102. 

  19. 최수찬, 우종민, 윤영미, 김상아, 박웅섭(2006). 남녀근로자의 직장-가정 간 갈등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가족친화적 기업 복지제도의 도입을 위한 논의.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7, 143-171. 

  20. 최혜지(2007). 기혼취업여성의 성분화적 노동에 대한 전통적 가치관이 인지된 시간부족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년도 국제학술대회(창립 50주년기념)자료집, 431-438. 

  21. 한지숙, 유계숙(2007). 기혼근로자의 성역할태도와 일-가족 지향성이 일-가족 갈등/촉진 및 가족친화제도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143-166. 

  22. 통계청. www.nso.go.kr. 

  23. 한국여성정책연구원. www.kwdi.re.kr. 

  24. Bolger, N., DeLongis, A., Kessler, R.C. & Schilling, E.A.(1989). Effects of daily stress on negative m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5), 808-818. 

  25. Carlson, D.S. & Perrewe, P.L.(1999).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stressor-strain relationship: An examination of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Management 25(4), 513-540. 

  26. Frone, M.R., Russell, M. & Cooper, M.L.(1992).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Testing a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7, 65-78. 

  27. Greenhaus, J.H. & Beutell, N.J.(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 76-88. 

  28. Grzywacz, J.G., Almeida, D.M, & McDonald, D.A.(2002). Work-family spillover and daily reports of work and family stres in the adult labor force. Family Relations 51, 28-36. 

  29. Hu, L.T. & Bentler, P.M(1998). Fit indice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sensitivity to underparameterized model misspecification. Psychological. Methods 3, 424-453. 

  30. Keene, J.R. & Quadagno, J.(2004). Predictors of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gender difference or gender similarity?, Sociological Perspectives 47(1), 1-23. 

  31. Keene, J.R. & Reynolds, J.R.(2005). The job costs of family demands: Gender differences in negative family-to-work. spillover. Journal of Family Issues 26, 275-299. 

  32. Kossek, E.E. & Ozeki, C.(1998). Work-family conflict, policies, and the job-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A review and directions for organizational behavior-human resources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3, 139-149. 

  33. Osmond, M.W. & Martin, P.Y.(1975). Sex and sexism-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sex-role attitud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7(4), 744-758. 

  34. Scanzoni, J.(1980). Contemporary marriage types: A research note. Journal of Family Issues 1(1), 125-140. 

  35. Stevens, D.P., Minnotte, K.L., Mannon, S.E., & Kiger, G.(2007). Examining the neglected side of the work-family interface: Antecedents of Positive and Negative Family-to-Work Spillover. Journal of Family Issues 28(2), 242-262. 

  36. Thomas, L.T. & Ganster, D.C.(1995).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 6-15. 

  37. Voydanoff P.(2005).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perceived work-family fit and balance: A demands and resources approac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 822-8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