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Mn강과 저탄소강의 CO2 레이저 이종용접 특성
Characteristics of Dissimilar CO2 Laser Welding for High Mn Steel and Low Carbon Steel 원문보기

大韓溶接·接合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Welding and Joining Society, v.28 no.3, 2010년, pp.36 - 41  

정보영 (포스코 기술연구소) ,  한태교 (포스코 기술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 Mn steel has been developed for automotive applications since the steel has an excellent combination of strength and ductility.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welding, high Mn steel has a few problems related to its chemical composition. This paper describes characteristics of dissimila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고Mn강은 용접시에 높은 함금원소 함유량에 따른 용접시의 기공, 균열 등의 용접결함이 발생되며, 이와 관련한 용접성에 대한 연구사례도 지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레이저용접법을 이용하여 고Mn강과 저탄소강의 이종용접에 대한 검토를 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Mn강과 일반강의 레이저용접 특성을 규명하고, Y309L 용접와이어를 이용한 이종 레이저용접부의 기계적 특성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Mn강은 어떤 특징의 강종인가? 고Mn강은 고강도 특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성형성이 매우 우수한 강종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1,2). 이 강은 1880년 Hadfield가 개발한 이래, 자동차용 강재로서 Fe-Mn-C계3), Fe-Mn-C-Al계4), Fe-Mn-C-Al-Si계5) 강종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고Mn강이 구조물의 일부로 사용되기 위해 어떤 것이 선행되어야 하는가? 한편, 고Mn강이 구조물의 일부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이종재료와의 용접기술 확보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고Mn강은 용접시에 높은 함금원소 함유량에 따른 용접시의 기공, 균열 등의 용접결함이 발생되며, 이와 관련한 용접성에 대한 연구사례도 지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고Mn강 중 자동차용 강재로서 어떤 계통의 강종들이 연구되고 있는가? 고Mn강은 고강도 특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성형성이 매우 우수한 강종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1,2). 이 강은 1880년 Hadfield가 개발한 이래, 자동차용 강재로서 Fe-Mn-C계3), Fe-Mn-C-Al계4), Fe-Mn-C-Al-Si계5) 강종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FeMn TWIP강6)에 대한 개발 및 응용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Y.G. Kim, T.W. Kim and S.B. Hong, Proc. of ISATA, Aachen (1993), 269 

  2. T.W. Kim, S.H. Park and Y.G. Kim, Materia Japan, 36(1997), 502-504 

  3. L. Remy, A. Pineau, Material Sci. Eng., 28 (1997) 99 

  4. T.W. Kim, J.K. Han : Patent WO 93/13233 Austenitic High Manganese Steel Having Superior Formability, Strength and Weldability,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e, 1991 

  5. O. Graessel, G. Frommeyer, Material Sci. Tech., 14 (1998), 1213 

  6. D. Cornette, P. Cugy, A. Hildenbrand, M. Bouzekri and G. Lavato : Ultra High Strength FeMn TWIP Steels for Automotive Safety Parts, SAE Technical Paper, Detroit 2005, 1 (2005), 132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