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8-2009년 충북지역 벼 줄무늬잎마름병 발생 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Factors Involved in the Occurrence of Rice Stripe virus in Chungcheongbukdo in 2008 and 2009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6 no.2, 2010년, pp.109 - 114  

강효중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안기수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한종우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정경헌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박세정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지재준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김정수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충북지역의 벼 줄무늬잎마름병 발생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8년과 2009년 충북도내 청원, 진천, 보은 등 3개 지역에서 월동 애멸구 보독충율 및 애멸구 밀도, 자연 기주 식물의 바이러스 감염율, 농가 포장에서의 벼 줄무늬잎마름병 발생율을 조사하였다. 월동 애멸구의 보독충율은 2008년에 0%, 2009년에는 1.1%로 나타났다. 2009년 6월 상순 채집된 시료의 보독충율은 진천 1.4%, 보은 4.2%로 월동 애멸구의 보독충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2009년 중국에서 비래한 애멸구 성충 집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월동 애멸구 밀도는 2008년에는 청원 3.8, 진천 7.5, 보은 20.8마리/$m^2$, 2009년에는 청원 8.4, 진천 13.1, 보은 14.6마리/$m^2$로 나타났다. 2009년 2차조사(5월 상순)와 3차 조사(6월 상순)에서도 매우 낮은 밀도를 보였으나 3차 조사 시기에 일부 지점에서는 성충 태로 높은 밀도를 나타냈으며 이들은 국내에서 월동한 애멸구가 아닌 2009년 중국에서 비래한 애멸구 집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자연 기주 식물에서 RSV가 감염된 시료는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로부터 월동애멸구의 낮은 보독충율과 밀도, 자연 기주 식물의 낮은 감염율 및 적절한 재배관리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인하여 지금까지 충북지역에서 RSV 발생이 낮았던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ccurrence factors of Rice stripe virus (RSV) in Chungcheongbukdo were analyzed by investigating the viruliferous insect rate (VIR) of overwintered small brown plant hopper (SBPH), the population density of SBPH, the infection rate of natural host plants, and the occurrence rate of RSV on ric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까지 충청북도 지역에서는 벼줄무늬잎마름병 발생이 매우 낮아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서남해안 지역에 지속적으로 대발생하여(김등, 2009), 충북 지역에서도 대발생 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RSV의 매개충인 월동 애멸구의 보독충율, 애멸구 밀도, 중간기주 식물의 바이러스 감염율, 농가 벼 재배 포장에서의 발병율 등을 조사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벼줄무늬잎마름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충북지역에서의 벼 줄무늬잎마름병 발생 전망과 예방대책을 수립하고자 최근까지 충청북도 지역에서 벼줄무늬잎마름병 발생이 낮았던 원인과 2009년 벼줄무늬잎마름병 발생 증가 원인을 기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의 크기는?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Rice stripe virus, RSV)는 500-2000×8 nm 크기의 사상형 바이러스로서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에 의하여 영속적으로 전염된다. RSV는 1931년 일본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35년 낙동강 유역에서 최초로 발생하여 진주, 밀양, 구례 지역을 중심으로 30-70%의 피해를 가져왔다(김 등, 2007).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는 무엇에 의하여 전염되는가?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Rice stripe virus, RSV)는 500-2000×8 nm 크기의 사상형 바이러스로서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에 의하여 영속적으로 전염된다. RSV는 1931년 일본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35년 낙동강 유역에서 최초로 발생하여 진주, 밀양, 구례 지역을 중심으로 30-70%의 피해를 가져왔다(김 등, 2007).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는 우리나라에서 언제, 어디서 최초로 발생하였는가?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Rice stripe virus, RSV)는 500-2000×8 nm 크기의 사상형 바이러스로서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에 의하여 영속적으로 전염된다. RSV는 1931년 일본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35년 낙동강 유역에서 최초로 발생하여 진주, 밀양, 구례 지역을 중심으로 30-70%의 피해를 가져왔다(김 등, 2007). 1973년까지는 추풍령 이남지역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나 발생지역이 점차 북상하여(이 등, 1981), 2001년에는 경기 지역에서 벼줄무늬잎마름병이 대발생하였으며, 김포, 화성, 동탄 등 7개 시·군에서 발병 포장률 80-100%이었으며, 발병주율은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조점덕, 김정수, 김진영, 김재현, 이신호, 최국선, 김현란, 정봉남. 2005. 채소류의 토마토 반점 위조 바이러스 발생과 병징 (I). 식물병연구 11: 213-216. 

  2. Chung, B. J., Lee, S. H. and Lee, S. C. 1967. Studies on the insect transmission of the rice stipe disease. Res. Rept. RDA 9: 217-220. 

  3. Chung, B. J. and Lee, S. H. 1970. Studies on the transmission mechanism of the Rice stripe disease. Res. Rept. RDA 12: 105-110. 

  4. Kim, C. S., Lee, K. S. and Choi, H. S. 2009. Virus-Insect-Plant interaction at RSV outbreak regions in Korea. APEC workshop on the epidemics of migratory insect pests and associated virus disease in rice and their impact on food security in APEC member economics. 62-74. 

  5. Kim, J. S. 2009. Forecasting and occurrence of SBPH and RSV in Korea. APEC workshop on the epidemics of migratory insect pests and associated virus disease in rice and their impact on food security in APEC member economies. 90-106. 

  6. 김정수, 이수헌, 최홍수, 최국선, 조점덕, 정봉남. 2008. 2007년 우리나라 주요 작물 바이러스병 발생 상황. 식물병연구 14: 1-9. 

  7. 김정수, 이수헌, 최홍수, 김미경, 곽해련, 조점덕, 최국선, 김진영. 2009. 2008년 우리나라 주요 작물 바이러스병 발생 상황. 식물병연구 15(1): 1-7. 

  8. 김정수, 이수헌, 최홍수, 조점덕, 노태환, 김진영. 2009. 벼 바이러스(RSV, RBSDV)와 애멸구의 간편한 VC/RT-PCR 유전자 진단기술. 식물병연구 15(2): 57-62. 

  9. 이봉춘, 홍연규, 곽도연, 오병근, 박성태, 김순철. 2004. RT-PCR에 의한 벼 줄무늬잎마름병 정밀진단. 식물병연구 10: 30-33. 

  10. Lee, S. H. 1981. Studies on virus diseases occurring in various crops in Korea. Res. Rept. RDA. 23: 62-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