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양지역 해안사구의 식생 및 육상곤충 분포
Distribution of the Vegetation and Insects of Coastal Dunes in Yangyang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9 no.8, 2010년, pp.1035 - 1046  

한갑수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stribution of the vegetation and insects of coastal dunes in the Yangyang area. The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Osan and Dongho coastal dunes during the period from June to July 2008. A total of 68 taxa were identified including 30 families, 60 gener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양지역에 위치한 오산사구와 동호사구를 대상으로 식물 및 육상곤충을 조사하여 기존 문헌과 비교하고, 식물 및 곤충 분포 현황을 파악하여 사구생태계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사구의 역할은? 해안사구는 완만한 해저지형, 넓고 평탄한 해빈, 전사구와 2차사구, 사구습지, 배후산지 등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내륙과 해안의 생태계를 이어주는 완충적 역할을 수행한다(ME, 2002). 강한 일조와 바람, 모래성분이 높은 토양 등 일반적인 육상동식물이 서식하기에 어려운 환경을 이루고 있으나, 각 지형 공간마다 갯잔디, 갯방풍, 갯메꽃 등과 모래거저리, 모래거저리부치 등 내륙과는 다른 사구식물 및 곤충이 분포하고 있어 독특하고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ME, 2002; Song 등, 2005).
해안사구에 형성된 생태계는? 해안사구는 완만한 해저지형, 넓고 평탄한 해빈, 전사구와 2차사구, 사구습지, 배후산지 등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내륙과 해안의 생태계를 이어주는 완충적 역할을 수행한다(ME, 2002). 강한 일조와 바람, 모래성분이 높은 토양 등 일반적인 육상동식물이 서식하기에 어려운 환경을 이루고 있으나, 각 지형 공간마다 갯잔디, 갯방풍, 갯메꽃 등과 모래거저리, 모래거저리부치 등 내륙과는 다른 사구식물 및 곤충이 분포하고 있어 독특하고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ME, 2002; Song 등, 2005). 또한, 사구지역은 경관적 가치, 지형적 개발 용이성, 사구의 가치 인식 미흡 등으로 개발욕구가 강한 지역으로서, 신두리 해안사구의 경우와 같이 보존과 이․활용의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되는 공간이며(Choi, 2005), 난개발에 의한 해안침식과 함께 사구식생 훼손 및 생물상의 변화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곳이다(Beon과 Park, 2002; Jung과 kim, 1998; Van der Maarel, 1971; Wilson, 1988).
동호사구와 오산사구에 대한 생태환경조사와 함께 보존 및 관리대책이 시급해진 이유는? 지금까지 해수욕장, 레포츠시설, 군부대, 군 훈련장 등으로 이용 되어 왔으며, 각종 건물의 신축 등으로 사구의 훼손이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리조트개발, 콘도건설이 계획 중으로 사구의 훼손가능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른 생태환경조사와 함께 보존 및 관리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동호사구의 경우는 식생과 곤충상이 전국해안사구 정밀조사(ME와 NIER, 2004)를 통해 보고된 바 있으나, 인접한 오산사구에 대한 조사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 Y. H., 2003,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Sand Dune in Shindoori Seashore, J. Kor. Env. Res. & Reveg. Tech., 6(6), 29-40. 

  2. Baek, W. K., 1994, The Reality of South Korea and Distribution of Specialty Plant, A Report of Nature Conservation Association, 13, 5-84. 

  3. Beon, M. S., Oh, H. K., 2006, Analysis of the Change of the Flora and Vegetation Association of Ui Island Sand Dune, Kor. J. env. Eco., 20(1), 41-51. 

  4. Beon, M. S., Park, J. M., 2002, Conservation of Vegetation Association and Biotope of Ui Island Sand Dune, J. of Korean Forest and Recreation, 6(4), 93-101. 

  5. Choi, J. Y., 2005, The Conflict Analysis Surrounding Sinduri Sand Dune, Monthly Marine, 246, 5-15. 

  6. Choi, K. H., Kim, J. G., Lee, H. J., Jeon, G. H., 2004, Sinduri Coastal Sand Dune, Designpost, 203. 

  7. Jo, W., Song, H. S., Hong, S. C., Choi, D. C., 2009,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in the Coastal Dunes near the Swimming Beaches on the East Sea Coast of South Korea, Kor. J. Env. Eco., 23(6), 499-505. 

  8. Joo, H. J., Kim, S. S., Son, J. D., 1997, The Butterflies of Korea, Kyohaksa, seoul, 437. 

  9. Jung, T. H., 1965, Flora of Korea, Sinjisa, 154. 

  10. Jung, Y. K., Kim, J. W., 1998,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in Kyungpook Province, J.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1(3), 257-262. 

  11. Kim, J. I., 2003, Insects of Sand Dune in the Korea, Nature Conservation, 40-41. 

  12. Korea Forest Service, 1996, Rare and Endangered Plants, 140. 

  13. Korea Forest Service, 1997, Book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255. 

  14. Lee, T. B., 2003, Coloured Flara of Korea, Hyangmoonsa, Seoul, 824. 

  15. Lee, T. B., 1983, Korean Specialty Plants and Distribution, A Report of Gwanak Arboretum of Seoul univ., 4, 71-113. 

  16. Lee, W. T., Chon, S. K., 1983,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 -Floristic Composition and Standing Crop of the Sand Dune on the Southern Coast-, kor. J. Ecology, 6(3), 144-186. 

  17. Lee, W. T., Chon, S. K., Kim, J. M., 1982,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 -Floristic Composition and Standing Crop of the Sand Dune on the East Coast-, Science Technology Research of Kangwon univ., 16, 113-124. 

  18. Lee, Y. R, 1996, Flora of Korea, Kyohaksa, Seoul, 1237. 

  19. Lee, Y. R, 1998, Endangered and Reserved Wild Species in Korea, Kyohaksa, Seoul, 302. 

  20.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2002, A Guide to the Coastal Dun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50. 

  21.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2003, Research Reports of Coastal Sand Dune in Nationwide(Dongho), 73-109. 

  22.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2005, Photo Book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and Animals, 247. 

  23.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4, Precision Research Reports of Coastal Dune in Nationwide, 466. 

  24. Numata, M., Kotaki, O., 1975, Naturalized Plants, Japan Society of Library, Tokyo, 160. 

  25. Oh, H. K., Kim, Y. H., Beon, M. S., Park, J. M., 2005, Vascular Plants in the Shindoo-ri Coastal Dune, Kor. J. For. Rec., 9(1), 37-48. 

  26. Park, K. T., Kim, S. S., 1997, Illustrated Catalogue of Butterflies in Korea, Institute of Life Science & Study Group of Insects Category in Korea, 381. 

  27. Park, S. H., Sin, J. H., Lee, Y. M., Lim, J. H., Moon, J. S., 2002,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nstitute of Forest, 184. 

  28. Park, S. J., Son, S. W., 2009, The Flora of Coastal Sand Dune area in Gyeongsangbuk-do, Kor. J. Env. Eco., 23(5), 392-410. 

  29. Sin, Y. H., 1991, Illustrated Book of Korean Buterflies in Color, Academy, Seoul, 364. 

  30. Song, H. K., Park, G. S., Park, H. R., Seo, E. Y., So, S. K., Kim, M. Y., 2005,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the Coastal Sand Dune in Sinduri, Taean-Gun., J. Kor. Env. Res. & Reveg. Tech., 8(6), 59-68. 

  31. Song, H. S., Jo, W., 2007, Diversity and Zonation of Vegetation Related Micro-Topography in Sinduri Coastal Dune, Korea -Focused on the Natural Monument Area-, Kor. J. Env. Eco., 21(3), 290-298. 

  32. Van der Maarel, E., 1971, Plant and species diversity in relation to management, in: Duffey, E., Watt, A. S. (eds.), The Scientific Management of Animal and Plant Communities for Conservati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 Oxford, 45-63. 

  33. Wilson, E. O., 1988, Biodiversit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521. 

  34. Yim, Y. J., Jeon, U. S.,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J. of Plant Biology, 23, 69-8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