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 일부병원 치료식 섭취 환자의 영양상담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Nutrition Counseling Service for Patients Consuming a Therapeutic Diet at Hospitals in Busa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9, 2010년, pp.1305 - 1312  

이정례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은주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영양팀) ,  류은순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병원 영양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치료식 섭취환자의 영양상담에 대한 인식과 영양상담 만족도 요인으로서의 지식전달 요인, 인지적 대화요인, 감성적 대화요인, 촉진능력 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병원 영양과에서 환자들의 영양상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부산지역 400 병상 이상의 병원에 입원중인 치료식 섭취환자를 퇴원하기 직전에 직접 1:1 면담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중 총 153부(98.7%)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본 조사는 2008년 1월 21일~2월 28일에 진행하였다. 조사대상 환자 중 영양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가 전체의 57.5%로 나타났고, 영양상담을 받은 계기는 의료진이 권해서가 64.1%로 가장 높았고 영양상담 방법은 개별교육이 58.0%로 나타났다. 영양상담에 대한 인식에서 영양상담 이해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는 75.0%, 중요도는 83.0%, 영양관리에 도움이 되는 정도는 78.7%로 나타났다. 영양상담에 대한 전체 만족도 점수는 3.80점이며, 각 세부요인에서 지식전달 요인 3.80점, 인지적 대화 요인 3.71점, 감성적 대화 요인 4.05점, 촉진능력 요인은 3.61점으로 나타났다. 영양상담의 만족도 점수가 낮은 항목은 '퇴원 후 식사요법 정보제공', '맞춤형 영양정보 제공', '구체적인 식단 제시', '식단 작성 방법 설명'으로 나타났다. 영양상담에 대한 인식인 이해도, 중요도 및 영양관리 도움정도는 영양상담에 대한 만족도인 지식전달 요인, 인지적 대화 요인, 감성적 대화 요인, 촉진 능력 요인과 모두 유의적인(p<0.01)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영양사들은 환자들의 영양에 대한 이해도 및 중요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영양상담 도구의 개발 및 활용 방안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환자와의 영양상담시 환자 스스로 영양관리를 독립적으로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환자들을 위한 구체적인 식단제시, 조리방법, 맞춤형 영양관리 방법 등의 촉진 요인들에 대해서 영양사들은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겠다. 즉, 실제 식사와 관련된 조리체험교실, 시식회 등의 개최를 통해 환자들에게 보다 직접적이고 실질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환자 중심적인 영양상담이 필요하며 특히, 맞춤형 영양상담을 통해 환자의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현재로서는 부족한 영양사 인력의 증원이 절실히 필요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the nutrition counseling service for patients consuming a therapeutic diet at hospitals in Busan. The subjects were 153 inpatients at five hospitals with over 400 beds each. The research was performed through the inter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 영양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치료식 섭취환자의 영양상담에 대한 인식과 영양상담 만족도 요인으로서의 지식전달 요인, 인지적 대화요인, 감성적 대화요인, 촉진 능력 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병원 영양과에서 환자들의 영양상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부산지역 400 병상 이상의 병원에 입원중인 치료식 섭취환자를 퇴원하기 직전에 직접 1:1 면담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료식 섭취환자를 대상으로 영양상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영양상담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함으로써 앞으로 병원 영양과에서 영양사가 영양상담 실시 시 중점관리 사항 및 보완해야 할 사항을 파악하여 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상담 업무란? 영양상담 업무란 의뢰인이 영양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얻고 행동을 변화시켜 건강한 식생활 행동을 하도록 돕는 개별화된 영양지도를 제공하는 전체 과정이다. 영양지도는 환자에게 식사요법의 필요성과 식사섭취 방법 등 영양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고 환자의 식행동을 변화시켜 섭취율을 높이고 퇴원 후 가정에서도 준수해야 할 식사요법을 교육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1).
영양지도란? 영양상담 업무란 의뢰인이 영양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얻고 행동을 변화시켜 건강한 식생활 행동을 하도록 돕는 개별화된 영양지도를 제공하는 전체 과정이다. 영양지도는 환자에게 식사요법의 필요성과 식사섭취 방법 등 영양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고 환자의 식행동을 변화시켜 섭취율을 높이고 퇴원 후 가정에서도 준수해야 할 식사요법을 교육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1).
본 연구에서 치료식 섭취환자의 영양상담에 대한 인식과 영양상담 만족도에 관한 연구의 결과는? 7%)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본 조사는 2008년 1월 21일~2월 28일에 진행하였다. 조사대상 환자 중 영양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가 전체의 57.5%로 나타났고, 영양상담을 받은 계기는 의료진이 권해서가 64.1%로 가장 높았고 영양상담 방법은 개별교육이 58.0%로 나타났다. 영양상담에 대한 인식에서 영양상담 이해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는 75.0%, 중요도는 83.0%, 영양관리에 도움이 되는 정도는 78.7%로 나타났다. 영양상담에 대한 전체 만족도 점수는 3.80점이며, 각 세부요인에서 지식전달 요인 3.80점, 인지적 대화 요인 3.71점, 감성적 대화 요인 4.05점, 촉진능력 요인은 3.61점으로 나타났다. 영양상담의 만족도 점수가 낮은 항목은 '퇴원 후 식사요법 정보제공', '맞춤형 영양정보 제공', '구체적인 식단 제시', '식단 작성 방법 설명'으로 나타났다. 영양상담에 대한 인식인 이해도, 중요도 및 영양관리 도움정도는 영양상담에 대한 만족도인 지식전달 요인, 인지적 대화 요인, 감성적 대화 요인, 촉진 능력 요인과 모두 유의적인(p<0.01)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영양사들은 환자들의 영양에 대한 이해도 및 중요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영양상담 도구의 개발 및 활용 방안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Ohlson MA. 1973. Philosophy of dietary counseling. J Am Diet Assoc 63: 13-17. 

  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7. Guidelines for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p 291-298. 

  3. Hoadley PK, Vaden AG, Spears MC. 1981. Role differentiation of dietitians and dietetic technicians. J Am Diet Assoc 79: 145-153. 

  4. Parks SC, Moody DL. 1986. A marketing model: applications for dietetic professionals. J Am Diet Assoc 86: 403-405. 

  5. Lange CL, Weinberger MH, Miller JZ. 1985. Dietary counseling results in effective dietary sodium restriction. J Am Diet Assoc 85: 477-451. 

  6. Trudeau E, Dube L. 1995. Moderators and determinants of atisfaction with diet counseling for patients consuming a therapeutic diet. J Am Diet Assoc 95: 34-39. 

  7. Wood ER. 1990. Weight loss maintenance 1 year after individual counseling. J Am Diet Assoc 90: 1256-1267. 

  8. DeLuco D, Cremer M. 1990. Consumers' perceptions of hospital food and dietary service. J Am Diet Assoc 90: 1711-1715. 

  9. Glanz K. 1979. Strategies for diet counseling. J Am Diet Assoc 74: 431-437. 

  10. Hauenstein DJ, Schiller MW, Hurley RS. 1987. Motivational techniques of dietitians counseling individuals with type II diabetes. J Am Diet Assoc 87: 37-42. 

  11. Rosal MC, Ebbeling CB, Lofgren I, Ockene JK, Ockene IS,Hebert JR. 2001. Facilitating dietary change: The patientcentered counseling model. J Am Diet Assoc 101: 332-338. 

  12. MacLellan D, Berenbaum S. 2007. Canadian dietitians' understanding of the client-centered approach to nutrition counseling. J Am Diet Assoc 107: 1414-1417. 

  13. Lyu ES, Lee SM, Huh KY. 1996. A study of satisfaction with nutrition counseling service for consumers. J Korean Diet Assoc 2: 62-68. 

  14. Kim HS. 1999. The effect of nutrition counseling service on the patients' satisfaction.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74-77. 

  15. Shon CY. 1994. Nutrition counseling institute practice. Yonsei J ournal of Human Ecology 8: 31-38. 

  16. Kang HS. 2000. Nutritional consultation and clinical nutrition business of dietitian in hospitals. M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p 14-22 

  17. Um YR, Kim YO. 1996. Relation of the medical staffs' perception about nutrition with a performance of dietitians' nutrition care. J Korean Diet Assoc 2: 112-122. 

  18. Yi JR. 2008. Patients' perception of therapeutic-diet on foodservice and nutrition counseling at hospitals in Busan.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27-28 

  19. Kim YH, Shin ES, Kang EH, Kim JY, Kim MK, Kim KJ, Hong HS. 1996, Productivity and effectiveness of the clinical nutrition team. J Korean Diet Assoc 2: 199-215. 

  20. Roach RR, Pichert JW, Stetson BA, Lorenz RA, Boswell EJ, Schlundt DG. 1992. Improving dietitian's teaching skills. J Am Diet Assoc 92: 1466-1470. 

  21. Gillespie DS, Mattfeldt-Beman M, Sawicki M, Myers EF, Tomazic T. 1995. Effectiveness of individual versus group counseling for clients with hypercholesterolemia. J Am Diet Assoc 95: A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