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중층에 발달하는 인산염 대 규산염 비의 불연속층
Phosphate vs. Silicate Discontinuity Layer Developed at Mid-Depth in the East Sea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2 no.3, 2010년, pp.331 - 336  

김봉국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시스템과학과) ,  이동섭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시스템과학과) ,  김일남 (오스틴 텍사스대학교 해양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REAMS (Circulation Research of the East Asian Marginal Sea) survey in 1999 revealed a sharp mid-depth discontinuity of the phosphate:silicate ratio in all basins of the East/Japan Sea. Incidentally, this discontinuity layer corresponds to the oxygen minimum layer. Directly below the discontinu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해 생지화학적 인자들의 광역 분포도 처음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CREAMS의 영양염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인산염 대 규산염의 비에서 동해 전역에 걸쳐 확실한 불연속면이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이에 대해 이 불연속면과 기존 수괴 분류와의 관계와 불연속면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살펴 보았으며, 이를 통해 동해의 수괴가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에 대해 생지화학적 측면에서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CREAMS의 영양염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인산염 대 규산염의 비에서 동해 전역에 걸쳐 확실한 불연속면이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이에 대해 이 불연속면과 기존 수괴 분류와의 관계와 불연속면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살펴 보았으며, 이를 통해 동해의 수괴가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에 대해 생지화학적 측면에서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의 심층의 특징은? 해의 심층이 수온이 매우 낮으며 산소가 비교적 풍부한 균질한 해수로 채워져 있다는 특징은 Uda (1934)에 의해 처음 관측되었으며, 그는 이 해수를 단일한 수괴라고 간주하고 고유수(Proper Water)라 명명하였다. 이후로 관측 장비의 개선에 힘입어 Nitani (1972)는 수온의 연직 구배에 근거하여 이 해수를 Deep Water, Upper Bottom Water, Lower Bottom Water로 구분하였다.
해수를 Deep Water와 Bottom Water로 구분한 근거는? 이후로 관측 장비의 개선에 힘입어 Nitani (1972)는 수온의 연직 구배에 근거하여 이 해수를 Deep Water, Upper Bottom Water, Lower Bottom Water로 구분하였다. 한편 Gamo and Horibe (1983)는 수온과 용존 산소, 규산염 자료에서 나타나는 불연속면에 근거하여 이 해수를 Deep Water와 Bottom Water로 구분하였다.
동일본 분지,서일본 분지, 울릉 분지,야마토 분지로 나누어 각 분지에서 불연속면이 나타나는 수심을 살펴본 결과는? 우선 불연속면이 나타나는 수심을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동일본 분지(Eastern Japan Basin; EJS), 서일본 분지(Western Japan Basin; WJS), 울릉 분지(Ulleung Basin; UB), 야마토 분지(Yamato Basin; YB)로 나누어 각 분지에서 불연속면이 나타나는 수심을 살펴 보았다(Table 1). 그 결과 서일본 분지에서 900 m 부근으로 가장 깊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동일본 분지에서 710 m 부근에 나타났으며, 야마토 분지와 울릉 분지에서는 각각 560 m, 540 m 부근으로 불연속면의 수심이 얕아졌다. 불연속면이 나타나는 수심에서의 수온과 염분을 살펴 본 결과, 뚜렷한 특징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이 수심에서 물리적인자를 통한 불연속면의 확인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rmstrong FAJ, Stearns CR, Strickland JDH (1967) The measurement of upwelling and subsequent processes by means of the Technicon AutoAnalyzer and associated equipment. Deep Sea Res 14(3):381-389 

  2. Bernhardt H, Wilhelms, A (1967) The continuous determination of low level iron, soluble phosphate and total phosphate with the AutoAnalyzer. Tech Symp 1:385-389 

  3. Gamo T, Horibe Y (1983) Abyssal circulation in the Japan Sea. J Oceanogr Soc Japan 39:220-230 

  4. Kajiura K, Tsuchiya M, Hidaka K (1958) The analysis of oceanographical condition in the Japan Sea. Rep Develop Fisher Resour in the Tsushima Warm Current 1:158-170 

  5. Kang DJ, Park SY, Kim YG, Kim K, Kim KR (2003) A moving-boundary box model (MBBM) for oceans in change : An application to the East/Japan Sea. Geophys Res Lett 30(6). doi:10.1029/2002GL016486 

  6. Kang DJ, Kim K, Kim KR (2004)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East/Japan sea in change : a simple moving-boundary box model approach. Prog Oceanogr 61:175-191 

  7. Kim K, Kim KR, Chung JY, Choi BH, Byun SK, Hong GH, Takematsu M, Yoon JH, Volkov Y (1996) New findings from CREAMS Observations: Water masses and eddies in the East Sea. J. Kor Soc Oceanogr 31:155-163 

  8. Kim K, Kim KR, Kim YG, Cho YK, Kang DJ, Takematsu M, Volkov Y (2004) Water masses and decadal variability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Prog Oceanogr 61:157-174 

  9. Kim K, Chung JY (1984) On the salinity minimum and dissolved oxygen maximum layer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Elsev Oceanogr Ser 39:55-65 

  10. Kim CH, Lie HJ, Kim KS (1991) On the intermediate water in the southeastern East Sea(Sea of Japan). In: Takano K (ed) Oceanography of Asian Marginal Sea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Amsterdam, pp 129-141 

  11. Miyazaki M (1953) On the water masses of the Japan Sea. Bull Hokkaido Reg Fish Res Lab 7:1-65 

  12. Nitani H (1972) On the deep and bottom waters in the Japan Sea. In: Shoji D (ed) Research in Hydrography and Oceanography. Hydrographic Department of Japan Maritime Safety Agency, Tokyo, pp 151-201 

  13. Seung YH (1997) Application of the ventilation theory to the East Sea. J of Kor Soc Oceanogr 32:8-16 

  14. Shin CW, Byun SK, Kim C, Seung YH (1998) Southward intrusion of the East Sea intermediate water into the Ulleung Basin: observations in 1992 and 1993. J of Kor Soc Oceanogr 33:146-156 

  15. Sudo H (1986) A note on the Japan Sea Proper Water. Prog Oceanogr 17:313-336 

  16. Uda M (1934) The results of simultaneous oceanographical investigations in the Japan Sea and its adjacent waters in May and June 1932. J Imp Fish Exp Sta 5:57-190 

  17. Yanagi T (2002) Water, salt, phosphorus and nitrogen budget of the Japan Sea. J Oceanogr 58:797-8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