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순천시의 폐사가축 처리실태에 관한 연구
Farm Animal Mortality Management Practices in Sunchon-si 원문보기

축산시설환경학회지 = Journal of livestock housing and environment, v.16 no.3, 2010년, pp.245 - 252  

홍지형 (순천대학교 산업기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축산업의 대규모 전업화로서 폐사가축이 급증되어서 대기, 수질, 토양, 지하수 등의 환경오염 및 쥐. 파리. 까마귀 등의 썩은 고기를 좋아하는 위해동물 번식으로 인하여 자연환경이 오염되어가고 있다. 전라남도 순천 지역 중심의 축종별 호당 연간평균 사육두수는 양계농가 251,000마리, 양돈농가 2,600두, 한우농가 142두 및 낙농가 92두 등 이었으며, 호당 연간추정 폐사가축 발생량은 양계농가 0.46톤, 양돈농가 15.32톤, 한우농가 0.36톤 및 낙농가 1.33톤 등이었다. 순천지역 축산농가의 연간 추정 폐사가축 발생량은 2,754톤 이였으며, 특히 양돈농가 폐사가축 발생량은 1,287톤으로 전체발생량의 47%를 차지하였다. 폐사가축 처리방식은 산지와 과수원 등에 매몰처리 (42%)와 축분에 투기처리 (36%)가 대부분 (78%)이며, 개별농가 사정에 따라서 렌더링, 간이소각, 침지소화 및 사체처리기 등이 활용되었다. 폐사가축처리시설 선정은 매몰처리로 발생하는 수질 및 대기오염, 위해동물 발생, 질병확산 위험 등이 없고, 처리비용이 다른 방법보다 저렴한 폐사가축 퇴비화시설 도입이 필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posal methods of managing carcass in Korea livestock production systems include burying, digesting, rendering, carcass dumping to manure pile, dead animal disposer and mini-incinerator. Burying was usually the most practical method of carcass disposal in our livestock farms. Burying, carcass dump...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 목적은 순천시 축산농가의 폐사가축처리방식 실태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축산업 실정에 가장 적합하고, 실용화 가능한 폐사가축 공동퇴비화처리시설의 기반을 구축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순천시 축산농가 (닭 1331호, 돼지 84호, 한우 2107호 및 젖소 72호)의 폐사가축 연간추정발생량, 처리 방법 및 이용실태 등을 분석하여, 폐사가축으로 인한 환경오염 없이, 퇴비화 또는 사료화 등으로 순환 자원화하는 실용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으며, 조사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아래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폐사가축처리 방법은 어떤 것이 있는가? 우리나라 폐사가축처리는 매몰 (burying), 간이소각 (incineration), 축분 (畜糞) 투기처리(dumping to manure), 렌더링 (rendering: 위탁 사료화처리), 죽은 닭과 새끼소 등의 무 질병 자연폐사, 분만가축을 침지소화 (浸漬消化:digesting) 처리 및 폐사가축처리기 (dead animal disposer)의 고온숙성 기계식 처리방법 등으로 동물사료화 하고 있으나, 안전성과 경제성 등의 여건상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어 왔다. 비용 면에서 유리한 지하 매몰처리가 사용되어 왔으나, 지하수오염과 매몰깊이가 얕아서 폐사가축이 야생 또는 유기동물의 먹이가 되어 병원균 전염경로가 되기도 하는 실정에 있었다.
선진 해외국가에서는 일반적으로 폐사가축 처리방법으로 어떤 것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가? 선진 해외국가에서는 일반적으로 폐사가축 처리방법은 질병전염 및 대기와 수질 등의 오염 방지 차원에서 폐사가축 퇴비화 처리방법이 가장 많이 연구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Kalbasi et al., 2005; Fulhage, 2001; ShermanHuntoon Rhonda.
한우농가의 폐사한우처리방법은 어떠하였는가? 36톤으로 주로 분만 할 때와 어린 소에서 발생이 많았다 (Table 3). 폐사한우처리방법은 대다수가 우사에서 가까운 산지 또는 인근 과수원에 매몰처리 하였으며, 특히 죽은 새끼소는 퇴적된 우분에 투기처리하거나, 분만 시에 자연 폐사된 한우는 자기 농가에서 삶아서 식용 (침지소화)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부산일보. 2004. 폐사가축 불법처리 무방비(10월 18일) 및 전염병가축매몰처리 문제 많다(6월 15일) 

  2. 홍지형. 2005. 순천시의 가축배설물처리 및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환경학회지. 5(2):29-37. 

  3. 홍지형, 박금주, 전병태, 홍성철. 1999. 동물사체 퇴비화처리시스템, 축산폐기물자원화, 도서출판 동화기술. 147-154. 

  4. 홍지형, 최병민. 1999. 부자재가 돼지사체 퇴비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5(1):45-52. 

  5. 홍지형. 1998. 동물사체 퇴비화시설의 운영관리. 한국농업기계학회지. 23(6):635- 640. 

  6. 홍지형, 최병민. 1998.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돼지사체 퇴비화.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473-478. 

  7. Council for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996. Animal mortality management. In Integrated Animal Waste Management. CAST Task Force Report. No. 128. p.58. 

  8. Fulhage, C. D. 2001. Management of livestock mortalities through composting. International symposium addressing animal production and environmental issues. National center for manure and animal waste management.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aleigh, NC. USA. 

  9. Kalbasi, A., Mukhtar, S., Hawkins, S. E. and B. W. Auvermann. 2005. Carcass composting for management of farm mortalities : A review. Compost Science and Utilization. 13(3):180-193. 

  10. Keener, H. M., S. S. Foster, S. J. Moeller and D. L. Elwell. 2002. Dealing with dead livestock. Resource. 9(8):9-10. 

  11. Keener, H. M., D. L. Elwell, M. J. Monnin. 2000. Procedures and equations for sizing of structures and windrows for composting animal mortalities. Applied Engineering in Agriculture. 16(6):681- 692. 

  12. McCaskey, T. A. 1997. Farm animal mortality management practices, Southea- stern Sustainable Animal Waste Management Workshop Proceedings, Feb.11-13, AWARE Team at the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Georgia, USA. 

  13. Rynk, R. ed. 1992. On-farm composting handbook. NRAES-54, Ithaca, N.Y., USA. 

  14. Sherman-Huntoon, Rhonda. 2000. Composting animal mortalities in North Carolina. Bio-Cycle. 41(12):57-5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