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룸형 다가구주택 거주자의 주거선택 중요도와 주거만족도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Priority of Residential Choice and Housing Satisfaction among Studio-type Multi-family Housing Dwellers in the City of Gwangju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1 no.3, 2010년, pp.11 - 21  

강희구 (전남대학교 실내디자인협동과정) ,  김미희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ther baseline data on perceived priority of residential choice and housing satisfaction rates among consumers with the aim of using this information for future plann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to 196 studio-type multi-family housing dwelle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주거선택 중요도의 일반적 경향을 파악하고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거 특성과 같은 배경변인에 따라 주거선택 중요도는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단위주호에 대한 주거만족도의 일반적 경향을 파악하고 배경변인에 따라 단위주호에 대한 주거만족도는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주거선택 중요도와 단위주호의 주거만족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원룸형 다가구주택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그 주택을 선택할 때 어떤 요소들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단위주호에 거주하면서 어떤 부분들을 얼마만큼 만족하게 생각하는지를 파악하여, 향후 광주광역시 내에 원룸형 다가구주택을 계획함에 있어서 단위주호를 중심으로 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내에 소재하는 원룸형 다가구주택에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의 거주자들을 각 구별로 임의표집하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보고식으로 답하는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총 196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 둘째, 단위주호에 대한 주거만족도의 일반적 경향을 파악하고 배경변인에 따라 단위주호에 대한 주거만족도는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주거선택 중요도와 단위주호의 주거만족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이것은 향후 광주광역시 지역에 새롭게 계획되어질 원룸형 다가구주택의 주거 환경을 개선시키고 거주자들에게 보다 만족스러운 주거 공간을 계획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광주광역시 원룸형 다가구주택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그 주택을 선택할 때 어떤 요소들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단위주호에 거주하면서 어떤 부분들을 만족하게 생각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주거선택 중요도의 일반적 경향을 파악하고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거 특성과 같은 배경변인에 따라 주거선택 중요도는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룸형 다가구주택라는 새로운 주거형태가 나오게 된 배경은? 이처럼 인구 및 가구 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사회·경제적 측면에서의 변화, 그리고 라이프스타일과 가치관의 변화라는 배경 속에서 원룸형 다가구주택이라는 새로운 주거형태가 1993년부터 국내에도 본격적으로 선을 보이게 되었다. 원룸형 다가구주택은 공간 이용 효율의 극대화를 전제로 하여 주거의 모든 기능을 하나의 실에 통합 하되 화장실과 욕실의 기능만을 벽으로 구획한 형태의 주택을 말하며, 입 지의 특성에 따라 아파트, 오피스텔 보다는 경제적이며 젊은 신세대들이 선호한다는 점을 고려해, 주로 젊은 신세 대층 거주자인 대학생들이 밀집해 있는 대학주변이나 직장인들이 출퇴근하기에 용이한 역세권과 같이 교통이 편리한 곳을 중심으로 입지해 있고, 1~2인 주거의 대표적 형태의 하나로서 현재 자리 잡고 있다 (박순호, 2003).
주거만족도를 평가하는 기준에서 주관적 기준은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이러한 평가행위에는 어떠한 기준이 따르게 되는데, 그 기준에는 법규나 기술적인 성능과 같은 객관적인 기준과 개인의 감정, 행태적 특성과 같은 주관적 기준이 있다. 여기서, 주관적 기준은 개인의 기대수준과 희망수준, 형평의 수준 및 비교집단의 수준 등에 의해 결정된다(이 주택, 1994; 황기아 ·백미나, 2004, 재인용). 따라서, 주택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도 중요하지만 주관적 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
원룸형 다가구주택이란? 이처럼 인구 및 가구 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사회·경제적 측면에서의 변화, 그리고 라이프스타일과 가치관의 변화라는 배경 속에서 원룸형 다가구주택이라는 새로운 주거형태가 1993년부터 국내에도 본격적으로 선을 보이게 되었다. 원룸형 다가구주택은 공간 이용 효율의 극대화를 전제로 하여 주거의 모든 기능을 하나의 실에 통합 하되 화장실과 욕실의 기능만을 벽으로 구획한 형태의 주택을 말하며, 입 지의 특성에 따라 아파트, 오피스텔 보다는 경제적이며 젊은 신세대들이 선호한다는 점을 고려해, 주로 젊은 신세 대층 거주자인 대학생들이 밀집해 있는 대학주변이나 직장인들이 출퇴근하기에 용이한 역세권과 같이 교통이 편리한 곳을 중심으로 입지해 있고, 1~2인 주거의 대표적 형태의 하나로서 현재 자리 잡고 있다 (박순호,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김미희.노세희(2008), 광주.전남지역 대학생의 주거가치와 주거 만족도, 한국주거학회, 19(4), 11-20. 

  2. 김진영(2008), 원룸형 다가구주택 계획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박순호(2003), 원룸형 주택 거주자의 주거행태 및 주거 만족도, 지리학논구, 23, 107-113. 

  4. 박윤정.이지선.차종은(1996), 원룸주택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사례조사,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과학학술지, 51-55. 

  5. 신석하(2006),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선택 중요도와 인지가치 차이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2(3), 237-245. 

  6. 심미영.고경필(1996), 주생활양식이 주택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분석-주택구시 평가기준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4(2), 341-353. 

  7. 이혜정.홍영애.김성화.권소현.최무혁(1999), 대학 주변 원룸형 다가구주택의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0(2), 165-173. 

  8. 정금호(2002), 계층화분석방법을 이용한 주거선택의 중요도 결정방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정지영(2008), 부산광역시 원룸주거의 외부환경과 거주성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4(11), 263-270. 

  10. 조현주(2004), 중도시 거주자의 주거선택요소 중요도,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최승호(2009), 노년기 주거 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최은실(2001), 수요계층별특성에 맞는 원룸주택 계획지침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통계청, 2005-2030 장래가구추계 결과, 2007. 11. 

  14. 한겨레신문 "나홀로 가구 '1~2인용 아파트' 찜해볼까", 2009. 1. 18. 30면. 

  15. 황기아.백미나(2004), 원룸주택거주자의 주거행태와 요구도, 한국가정학회지,7(1), 81-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