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PS Foam의 변형률속도효과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 of the Strain Rate Effects of EPS Foam 원문보기

복합재료 : 한국복합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v.23 no.3, 2010년, pp.64 - 68  

강우종 (경일대학교 기계자동차학부) ,  전성식 (국립공주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자동차공학부) ,  이인혁 ((주)한국이에스아이) ,  최선웅 ((주)한국이에스아이) ,  민제홍 ((주)삼성전자) ,  이상혁 ((주)삼성전자) ,  배봉국 ((주)삼성전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EPS 폼은 충격하중으로부터 전자제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장재로 많이 사용되는 경량소재이며 밀도, 미세구조, 변형률 속도에 따라 에너지 흡수성능이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변형률속도와 밀도의 변화에 대한 EPS 폼의 에너지 흡수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18.5 ~ 37.0kg/m3의 밀도를 갖는 EPS 폼의 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중고속 압축시험을 위하여 낙하방식의 시험기를 개발, 사용하였으며 변형률 속도 0.06/s ~ 60/s에서의 압축시험을 통하여 EPS 폼의 변형률속도 효과를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변형률 속도가 0.06/s에서 60/s로 증가할 경우 EPS 폼의 강도는 약 1.7배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변형률 속도에 따른 소재의 민감도는 변형률이 증가할수록 커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panded polystyrene(EPS) foams are often used in packaging to protect electrical appliances from impact loads. The energy absorbing performances of the EPS foams depend on several parameters such as density, microstructure and strain rate. Thus, the effects of the parameters on the strength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낙하 시험기를 이용하여 포장재로 사용되는 EPS 폼의 변형률 속도에 따른 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폼의 밀도는 18.
  • 본 연구에서는 변형률 속도에 따른 동적 압축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낙하방식의 고속압축시험기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전자제품의 포장재로 사용되고 있는 EPS 폼의 동적 재료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준정적 시험과 변형률 속도 25/s, 60/$의 중고속 변형 시험을 실시하고 EPS 폼의 발포 배율과 압축 변형률에 따른 변형률 속도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aha M.C., Mahfuz H., Chakravarty U.K., Uddin M., Kabir Md.E. and Jeelani S., "Effect of deosity, microstructure, and strain rate on compression behavior of polymeric foams,"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A, Vol. 406, 2005, pp.328-336. 

  2. Avalle M., Belingardi G. and Ibba A., "Mechanical models of cellular solids: Parameters identification from experimental tests," l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34, Issue 1, 2007, pp. 3-27. 

  3. Bouix R., Viot P. and Latai1lade J.-L., "Polypropylene foam behaviour under dynamic loadings: Strain rate, density and microstructure effects," lnternational Journal of Solids and Structures, Vol. 36, 2009, pp. 329-342. 

  4. Mills N.J., Stampfli R., Marone F. and Bruhwiler P.A., "Finite element micromechanics model of impact compression of closed-cell polymer foams," lnternational Journal of Solids and Structures, Vol. 46, 2009, pp. 677-697. 

  5. Ouellet S., Cornin D. and Worswick M., "Compressive response of polymeric foams under quasi-static medium and high strain rate conditions," Polymer Testing, Vol. 25, No. 6, 2006, pp. 731-743. 

  6. Avalle M., Belingardi G. and Montannini R.,"Characterization of ploymeric structural foam under compressive impact loading by means of energy-absorption diagram," In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25, No. 5, 2001, pp.455-472. 

  7. Maea H., Omiyab M. and Kishimoto K., "Effects of strain rate and density on tensile behavior of polypropylene syntactic foam with polymer microballoons," Moterials Science & Engineering A, Vol. 477, 2008, pp. 168-178. 

  8. Masso-Moreu Y. and MiIIs N.J., "Impact compression of polystyrene foam pyramids,"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28, Issue 6, 2003, pp. 653-676. 

  9. Kim J.S., Huh H., Lee K.W., Ha D.Y., Yeo T.J. and Park S.J., "Evaluation of dynamic tensile characteristics of polypropylene with temperature variation," l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Vol. 7, No. 5, 2006, pp. 571-577. 

  10. 최기상, 강우종, 김기훈, 김성근, "EPP 범퍼 폼의 고속대변형 특성 연구,"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 17, No. 4, 2009, pp. 118-125. 

  11. 정광영, 전성식, "동일 충격 에너지 조건하에서 다공질 고분자의 충격거동에 관한 연구," 한국복합재료학회지, 제22권 제4호, 2009, pp. 27-32. 

  12. Ozturk U.E. and Anlas G., "Energy absorption calculations in multiple compressive loading of polymeric foams," Materials & Design, Vol. 30, Issue 1, 2009, pp. 15-22. 

  13. Subhash G., Liu Q., Gao Xin-Lin, "Quasistatic and high strain rate uniaxial compressive response of polymeric structural foams,"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32, 2006, pp. 1113-1126. 

  14. Subhash G., "Quasistatic and dynamic crushability of polymeric foams in rigid confin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olids and Structures, Vol. 36, 2009, pp. 1303-13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