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착즙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가 육성돈의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Diets Including Liquid By-products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Growing Pigs 원문보기

축산시설환경학회지 = Journal of livestock housing and environment, v.16 no.1, 2010년, pp.81 - 92  

이제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정현정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동운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이성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상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인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인호 (단국대학교) ,  오상집 (강원대학교) ,  조성백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시험은 착즙부산물 발효사료가 육성돈의 영양소 소화율, 분뇨 배설량 그리고 질소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삼원교잡종 24두(개시체중 46.79 kg)를 공시하여 10일간의 적응기를 거쳐 7 일간 대사 케이지 ($0.5{\times}1.3m$)에서 소화시험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1) 기초사료 (CON), 2) 발효사료(기초사료를 발효한 사료, F), 3) 케일박 발효사료 (KF), 4) 신선초박 발효사료 (AF), 5) 당근박 발효사료 (CF) 빛 6) 포도박 발효사료(GF)로 하여 총 6개 처리이었으며 처리당 4반복으로 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건물 소화율은 대조구, F, CF 처려구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조단백질소화율은 F 처리구가 AF 및 GF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p<0.05), 조섬유 소화율은 GF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조지방 소화율에서는 AF 및 CF 처리구가 KF를 제외한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조회분 소화율은 CF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반면 칼숨과 인 소화율에서는 CF 및 GF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에너지 소화율에서는 대조구, F 및 CF 처리구가 KF, AF 및 GF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총 필수아미노산 소화율에서는 F 처리구가 AF, CF 및 GF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비필수아미노산의 평균 소화율에서는 F 처리구가 AF, CF 및 GF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총 아미노산의 평균 소화율에서는 F 처리구가 AF 및 CF 처리구보다 높았으며 (p<0.05), GF 처리구가 가장 낮았다 (p<0.05). 분으로 배설된 질소 비율은 GF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높았고(p<0.05), F 처리구가 낮았다 (p<0.05). 뇨로 배설된 질소 비율에서는 대조구와 GF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질소 축적비율에서는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며 (p<0.05), KF 처리구가 가장 낮았다 (p<0.05). 결론적으로 일반배합사료보다 착즙부산물 발효사료의 소화율이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사료에 혼합된 착즙부산물 수준 30%가 높은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어 추후 섬유소 수준을 낮추어 시험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포도박 발효사료 처리구에서 분 배설량이 많은 이유는 포도박 발효사료의 섬유소 함량이 대조구 및 발효사료 보다 높고 다른 착즙부산물에 비하여 소화되지 않는 포도씨가 다량 배설되었기 때문인 것 같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ermented diets including liquid by-products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growing pigs. Treatments were 1) CON (basal diet), 2) F (fermented diet with basal diet), 3) KF (fermented diet with basal diet including 30% kale poma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시험은 수분과 섬유소 함량이 높은 착즙 부산물을 양돈사료로 이용하고자 가루 사료와 착즙 부산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다음 생균제를 접종하여 제조한 발효사료에 대하여 영양소 소화율, 분뇨 배설량 및 질소 균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시험은 착즙부산물 발효사료가 육성 돈의 영양소 소화율, 분뇨 배설량 그리고 질소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삼원교잡종 24두(개시체중 4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ition.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USA. 

  2. Canibe, N., N. Miquel, H. Miettinen and B. B. Jensen. 2001. Addition of formic acid or starter cultures to liquid feed. Effect on pH, micro flora composition, organic acid and ammonia concentration. 15th Forum for Applied Biotechnol.,Gent, Belgium. pp. 431-432. 

  3. Cumby, T. R. 1986. Design requirements of liquid feeding systems for pigs: A review. J. Agric. Eng. Res. 34:153-172. 

  4. Dierick, N. A., Vervaeke, I. J., Demeyer, D. I. and Decuypere, J. A. 1989. Approach to the energetic importance of fibre digestion in pigs. I. Importance of fermentation in the overall energy supply.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23:141-167. 

  5. Dobrogosz, W. J. and Lindgren, S. E. 1994. Method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n antibiotic produced by Lactobacillus reuteri. US patent. 5, 352, 569. 

  6. Duncan, D. 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T tests. Biometrics. 11:1 Hong, T. T. T. and Lindberg, J. E. 2007. Effect of cooking and fermentation of a pig diet on gut environment and digestibility in growing pigs. Livestock Science. 109:135-137. 

  7. Geary, T. M., P. H. Brooks, J. D. Beal, and A. Campbell. 1999. Effect onweaner pig performance and diet microbiology of feeding ali quid diet acidified to pH 4 with either lactic acid or through fermentation with Pediococcus acidilactici. J. Sci. Food Agric. 79:633-640. 

  8. Hong, T. T. T. and Lindberg, J. E. 2007. Effect of cooking and fermentation of a pig diet on gut environment and digestibility in growing pigs. Livest. Sci. 109:135-137. 

  9. Jensen, B. B. and L. L. Mikkelsen, 1998a. Feeding liquid diets to pigs. In: Gamsworthy P.C., Wiseman, J. (Eds.), Recent Advances in Animal Nutrition. Nottingham University Press, Loughborough, UK, pp. 107-126. 

  10. Jensen, B. B. and L. L. Mikkelsen. 1998b. Feeding liquid diets to pigs. Recent Advances in Animal Nutrition. P. C. Garnsworthy and J. Wiseman, ed. Nottingham Univ. Press, Nottingham, U.K. pp. 107-26. 

  11. Lawlor, P. G., P. B. Lynch, G. E. Gardiner, P. J. Caffrey and J. V. O'Doherty. 2002. Effect of liquid feeding weaned pigs on growth performance to harvest. J. Anim. Sci. 80:1725-1735. 

  12. Lindecrona, R. H., B. B. Jensen, T. K. Jensen, T. D. Leser, and K. Moler. 2000. The influence of diet on the development of swine dysentery. The 16th Int. Pig Vet. Soc. Cong., Melbourne, Australia. pp. 7. 

  13. Low, A. G. and Rainbird, A. L. 1984. Effect of guar gum on nitrogen secretion into isolated loops of jejunum in conscious growing pigs. Br. J. Nutr. 52:499-505. 

  14. Mayer, E. A. 1994. The physiology of gastric storage and emptying. In: Johnson, L. R., D. H., Alpers, J. Christensen, E. D. Jacobson, and J. H. Walsh. (Eds.), Physiology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3rd ed., vol. 1. Raven Press, New York. pp. 929-976. 

  15. Mikkelsen, L. L. and Jensen, B. B., 1997. Effect of fermented liquid feed (FLF) on growth performance and microbial activit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weaned piglets. In: Laplace, J. P., C. Fevrier, and A. Barbeau. (Eds.), Digestive Phyiology in Pigs. EAAP. publication No. 88, $26{\pm}28$ May. Saint Malo, France. pp. 639-642. 

  16. Moran, C. A. 2001. Development and benefits of liquid diets for newly weaned pigs. Ph.D. Diss., Univ. of Plymouth, Plymouth, U.K. 

  17. Morgan, C. A. and Whittemore, C. T. 1988. Dietary fibre and nitrogen excretion and retention by pIgs.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19:185-189. 

  18. NRC. 1998. Nutrient requirement of pigs. 10th Edition. National Research council, Academy Press. Washington, D. C., USA 

  19. Russell, P. J., T. M. Geary, P. H. Brooks, and A. Campbell. 1996. Performance, water use and effluent output of weaner pigs fed ad libitum with either dry pellets or liquid feed and the role of microbial activity in the liquid feed. J. Sci. Food Agric. 72:8-16 

  20. SAS. 1996. SAS user's guide. Release 6.12 edition. SAS Institute. Inc., Cary, NC. 

  21. Sauer, W. C., Mosenthin, R., Ahrens, F. and den Hartog, L. A. 1991. The effect of source of fiber on ileal and fecal amino acid digestibility and bacterial nitrogen excretion in growing pigs. J. Anim. Sci. 69:4070-4077. 

  22. Sauer, W. C., Mosenthin, R., Ahrens, F. and den Hartog, L. A. 1991. The effect of source of fiber on ileal and fecal amino acid digestibility and bacterial nitrogen excretion in growing pigs. J. Anim. Sci. 69: 4070-4077. 

  23. Scholten, R. 2001. Fermentation of liquid diets for pigs. Ph.D. Diss., Wageningen Univ., Wageningen, The Netherlands. 

  24. Scholten, R. H. J., C. M. C. van der Peet-Schwering, M. W. A. Verstegen, L. A. den Hartog, J. W. Schrama, and P. C. Vesseur. 1999. Fermented co-products and fermented compound diets for pigs: a review.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82:1-19. 

  25. Scholten, R., and N. Verdoes. 1997. The Dutch benefit from a recycling role. Pigs. 13-2, pp. 16-17. 

  26. Scholten, R., C. M. C. van der Peet-Schwering, L. A. den Hartog, J. W. Schrama, and M. W. A. Verstegen. 2002. Fermented wheat in liquid diets: effects on gastrointestial characteristics in weanling piglets. J. Anim. Sci. 80:1179-1186. 

  27. Smiricky-Tjardes, M. R., E. A. Flickinger, C. M. Grieshop, L. L. Bauer, M. R. Murphy and G. C. Fahey, Jr. 2003.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elected oligosaccharides by swine fecal microflora. J. Anim. Sci. 81:2505-2514. 

  28. Taylor, W. H. 1959. Studies on gastric proteolysis. Biochem. J. 71: 627-632. 

  29. Taylor, W. H. 1962. Proteinases of the stomach in health and disease. Physiol. Rev. 42: 519-553. 

  30. Varel, V. H. 1987. Activity of fiber degrading microorganisms in the pig large intestine. J. Anim. Sci. 65:488-496. 

  31. Varel, V. H., Pond, W. G. and Yen, J. T. 1984. Influence of dietary fiber on the performance and cellulase activity of growing-finishing swine. J. Anim. Sci. 59:388-393. 

  32. Wilfart, A., Montagne, L. Simmins, H, Noblet, J. and van Milgen, J. 2007. Effect of fibre content in the diet on the mean retention time in differentsegments of the digestive tract in growing pigs. Livestock Science. 109:27-29. 

  33. Yang, S. Y., Ji, K, S, Baik, Y, H, Kwak, W. S. and McCaskey, T. A. 2006. Lactic acid fermentation of food waste for swine feed. Bioresource Technology. 97:1858-1864. 

  34. Zebrowska, T., Low, A. G. and Zebrowska, H. 1983. Studies on gastric digestion of protein and carbohydrate, gastric secretion and exocrine pancreatic secretion in the growing pig. Br. J. Nutr. 49:401-410. 

  35. Zervas, S. and ZijI stra, R. T. 2002.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fermentable fiber on nitrogen excretion patterns and plasma urea in grower pigs. J. Anim. Sci. 80:3247- 3256. 

  36. 김인배, 한인규, 최윤재, 민태선. 1992. 회장 Cannula를 설치한 돼지에서 섬유소의 종류와 수준이 다른 무단백질 사료가 내생 질소 배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16(5):275-2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