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체 수관절 운동과 근전도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Human Carpal Motion and Electromyogram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A, v.34 no.10, 2010년, pp.1393 - 1401  

전한용 (숭실대학교 기계공학과) ,  김진오 (숭실대학교 기계공학과) ,  박광훈 ((주)피앤에스미캐닉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인체 수관절 운동과 표면 근전도의 상관관계를 실험적으로 다룬다. 수관절의 해부학적 구조를 분석하여, 수관절 운동 형상을 파악하고 운동을 발생시키는 주요 근육을 선정하였다. 수관절 재활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수관절 운동에 저항하는 토크를 가하고, 이 때 주요 근육에서 토크에 따른 표면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표면 근전도 신호의 크기를 계산하여 수관절 운동과의 연관성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수관절 토크와 표면 근전도 신호의 크기가 토크 $0.1\;N{\cdot}m$ 이하의 수관절 운동에서는 선형적으로 비례함을 밝혔고, 수관절 근육의 단면적에 따라 표면 근전도 신호의 크기도 선형적으로 비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관절 운동에 관여하는 각 근육의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각 운동을 발생시키는 가장 주도적인 2개의 근육 중에서 한 근육의 기여도가 약 60 %로서 일관성 있게 나타났다. 이러한 세 가지 실험 결과로 좀 더 정교한 수관절 재활 훈련 장치나 로봇 등을 제작하는데 응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experimental study, we hav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a human carpal motion and a surface electromyogram. The carpal motion patterns have been identified and the main muscles involved in the carpal motion have been determined by investigating the anatomical structure of a carpal.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실제적으로 그 범위에서 실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형 영역에서 실험한 결과로써, 수관절 토크와 표면 근전도 신호 크기와의 관계를 밝혔다.
  • 수관절 재활 훈련 장치로 여러 단계의 토크(τ)를 설정하고 수관절 운동을 실시하여, 수관절 토크와 표면 근전도의 상관관계를 밝힌다. 또한, 수관절 근육의 단면적 및 운동 형상과 표면 근전도와의 연관성에 관하여 고찰한다.
  • 본 논문은 인체 수관절 운동과 표면 근전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수관절 재활 훈련 장치로 여러 단계의 토크(τ)를 설정하고 수관절 운동을 실시하여, 수관절 토크와 표면 근전도의 상관관계를 밝힌다.

가설 설정

  • 신호가 전달되면, 신경으로부터 화학 물질이 방출되고 근섬유에 전기적인 흥분이 발생하여 근육이 수축한다.(1) 이러한 전기 적인 흥분이 근전도이다. 수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전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수관절 운동을 발생시키는 근육을 알아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관절 운동에서 수관절과 표면 근전도 신호의 상관관계는? 주요 근육들로부터 토크에 따른 표면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였고, 제곱 평균제곱근으로 신호 크기를 계산하여 수관절 운동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관절 토크와 표면 근전도 신호 크기는 선형적으로 비례함을 확인하였다. 수관절 근육의 단면적과 표면 근전도 신호 크기를 정규화 하여 비교한 결과, 선형적으로 비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운동 형상에 따른 근육의 운동 기여도는 각 운동을 발생시키는 가장 주도적인 2개의 근육 중에서 한 근육이 약 60 %를 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일관성 있는 결론을 얻었다.
인체 상지 중 수관절은 무엇인가? 인체 상지 중 수관절(carpal)은 손과 팔을 연결 하는 부분으로서 상지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손은 물건을 다루는 세부적인 운동을 하는데, 수관절은 이러한 손의 운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인체의 운동에 대한 연구방법으로 무엇이 이용되었는가? 인체의 운동에 대한 연구는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연구 방법으로 인체에서 발생하는 신호인 근전도(EMG, electromyogram),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m) 및 심전도(ECG, electorcardiogram) 등이 이용되었다. 근전도 중 표면 근전도(surface EMG)는 측정 장비가 간단하고, 측정 방법이 비교적 쉽기 때문에 인체의 운동 분석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Kizuka, T., Masuda, T., Kiryu, T., Sadoyama, T., 2006, Practical Usage of Surface Electromyogram, Tokyo Denki University Press. 

  2. Lee, J. H., Lee, Y. S., Lee, J. O. and Park, S. H., 2007, "Biomechanical Gait Analysis and Simulation on the Normal, Cavus and Flat Foot with Orthotics," Journal of KSME(A), Vol. 31, No. 11, pp. 1115-1123. 

  3. Lee, C. S. and Gonzalez, R. V., 2008, "Fuzzy Logic versus a PID Controller for Position Control of a Muscle-like Actuated Arm,"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22, No. 8, pp. 1475-1482. 

  4. An, K. N., Kwak, B. M., Chao, E. Y. and Morrey, B. F., 1984, "Determination of Muscle and Joint Forces: A New Technique to Solve the Indeterminate Problem," Journal of Biomechanical Engineering, ASME, Vol. 106, pp. 364-367. 

  5. Nagata, K. and Magatani, K., 2003, "Development of the Assist System to Operate a Computer for the Disabled," Proceedings of the 25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MBS, pp. 1666-1669. 

  6. Choi, C. M., Han, H. N., Ha, S. D. and Kim, J., 2007, "Development of an EMG-Based Computer Interface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Human-Computer Interface Conference, pp. 222-227. 

  7. Neuman, D. A., 2005,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Mosby, Chapter 7. 

  8. Mitsubishi, 2008, Mitsubishi Hysteresis Clutch and Brake Manual, pp. 11-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