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전문물리치료사제도에 대한 물리치료사와 물리치료학과학생들의 인식도 조사
Attitudes and beliefs of physical therapy students and physical therapists about the system of physical therapy specialists in Korea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5 no.1, 2010년, pp.101 - 112  

박혜진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정경옥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경성훈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이해정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attitude and beliefs of physical therapists (PTs) and students (Ss) who major in physical therapy about the system of physical therapy specialists in Korea.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74 clini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 물리치료사들과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문물리치료사제도에 대한 인식도와 적절한 운영방법 등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고, 전문물리치료사 제도를 확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병원에서 행해지고 있는 물리치료사의 업무는 무엇이고,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가? 따라서 의사의 지도 없이 물리치료사의 고유 업무인 물리치료 업무를 행하는 것조차도 무면허 의료행위로 간주 되는 제도적인 모순 하에 놓여있다(박주현, 2006). 또한 현재 병원에서 행해지고 있는 물리치료사의 업무를 보면 물리적인 다양한 요인을 이용하는 온열치료, 전기치료, 광선치료, 수치료, 기계 및 기구치료는 물론 치료사의 신체를 이용하는 도수치료, 운동치료 등 그 업무 범위가 포괄적이고 다양한 반면, 물리치료 전문영역 즉, 신경계, 근골격계, 심폐 등 전문 영역에 대한 구축 정도가 비교적 약하며, 그에 따른 업무 수행의 전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다(김성학, 2002).
세계물리치료사연맹(WCPT)이 제시한 물리치료사의 업무 범위를 보면, 물리치료사는 어떻게 정의하는가? 세계물리치료사연맹(WCPT)이 제시한 물리치료사의 업무 범위를 보면, 물리치료사는 보건의료 전문인으로서 포괄적인 의료기술을 제공하며 환자의 건강관리 및 손상된 기능을 회복시키거나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업무를 수행 한다고 정의하고 있다(세계물리치료사연맹, 2009; Cahalin 2008). 따라서 물리치료는 물리치료사에 의해 혹은 물리치료사의 지시와 감독 하에 제공되는 서비스라 할 수 있으며, 세계물리치료사연맹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다른 보건 전문가와는 다르게 단독으로 업무 수행이 가능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송주영, 2005).
의료기사법시행령 제2조 제2항을 볼 때, 한국의 물리치료사 업무범위는 어떻게 되는가? 이에 반하여 한국의 물리치료사 업무는 세계물리치료사연맹이 규정하는 업무 수행 범위와 다소 차이나는 엄부 범위가 의료기사법에 규정되어있다. 의료기사법시행령 제2조 제2항을 보면 물리치료 업무범위를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지도를 받아 온열치료, 전기치료, 광선치료, 수 치료, 기계 및 기구치료, 마사지, 기능훈련, 신체교정운동 및 재활훈련에 필요한 기기, 약품의 사용과 관리 등 물리요법적 치료업무를 행한다(대한물리치료사협회, 2004)라고 명시함으로써 업무 법위를 의사의 지도 아래로 한정하고 있다. 따라서 의사의 지도 없이 물리치료사의 고유 업무인 물리치료 업무를 행하는 것조차도 무면허 의료행위로 간주 되는 제도적인 모순 하에 놓여있다(박주현,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성학, 박래준. 전문물리치료사의 역할과 자세,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2;14(4):95-99. 

  2. 뉴질랜드물리치료사협회(NZSP). 전문물리치료사 자격에 관한 규정. www.physiotherapy.org.nz. 2008. 

  3. 대한물리치료사협회(KPTA). 전문물리치료사 자격에관한 규정. www.kpta.co.kr. 2004. 

  4. 미국물리치료사협회(APTA). 전문물리치료사 자격에관한 규정, 2009. 

  5. 박주현. 한국 물리치료사 면허 제도에 대한 고찰. 2006. 

  6. 송주영. 한국 물리치료사의 개업권에 대한 물리치료사 및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의 인식도 조사. 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2005;17(1):25-39. 

  7. 세계물리치료사협회(WCPT). www.wcpt.org. 2009. 

  8. 호주물리치료사협회(APA). www.physiotherapy.asn.au. 2009. 

  9. Anastassaki A, Alkisti, Magnusson. Patients referred to a specialist clinic because of suspecte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survey of 3194patients in respect of diagnoses, treatments, and treatment outcome. Acta odontologica scandinavica. 2004; 62(4):183-92. 

  10. Bulley C, Donaghy M. Processes in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pecialist competencies and standards: the sports physiotherapy for All project. Journal of Neurologic physical therapy. 2008;32(3):122-8. 

  11. Bennett CJ, Garant MJ. Specialisation in physiotherapy: a mark of maturity. Journal of physiotherapy. 2004;50(1):3-5. 

  12. Cahalin LP, Matsuo Y, Cpllins SM, et al.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issues in physical therapyan international study. Physiotherapy theory & practice. 2008;24(5):344-56. 

  13. Chenot JF, Leonharot C, Keller S, et al. The impact of specialist care for low back pain on health service utilization in primary care patients: a prospective cohort study. European journal of pain. 2008;12(3):275-83. 

  14. Ebenbichler, Gerold , Kerschan-schinodle K, et al. The future of physical & rehabilitation medicine as a medical specialty in the era of evidence based medicin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2008;87(1):1-3. 

  15. Feleus A, Bierma-Zeinstra SM, Miedema HS, et al. Management in non-traumatic arm, neck and shoulder complaints; differences between diagnostic groups. European spine journal. 2008;17(9):1218-29. 

  16. Lebec MT, Jogodka CE. The physical therapist as a musculoskeletal specialist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nal of orthop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009;39(3):221-9. 

  17. Johanson MA. Association of importance of the doctoral degree with student's perceptions and anticipated activities reflecting professionalism. Physical Therapy, 2005;85(8):766-781. 

  18. Peerry SB, Rauk RP, McCarthy A. Competencybased validation of neurologic specialty practice. Journal of neulolgic physical therapy. 2008;32(2): 62-9. 

  19. Rusion SA. Extended scpope practitioners and clinical specialists: a place in nural health. Australian journal of rural health 2008;16(3):120-3. 

  20. Slack A, Hillt A, Jackson S. Is there a role of a specialist physiotherapist in the multi-disciplinary management of woman with stress incontinence referred from primary care to a specialist continence clinic. Journal of obstetrics & gyaecology. 2008; 28(4):41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