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지온도를 이용한 여름철 폭염 스트레스와 일 사망률 증가와의 관련성 연구: 1991~2005, 서울
Relationship between Summer Heat Stress (Perceived Temperature) and Daily Excess Mortality in Seoul during 1991~2005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6 no.3, 2010년, pp.253 - 264  

이대근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변재영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최영진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김규랑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mortality and heat stress in Seoul, using perceived temperatures (PT) derived from a heat budget model. During the summer season, observed PT intensity showed the biggest magnitude of summer heat stress from the middle 10 days of July to the f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PT를 이용하여 서울의 여름철 고온스트레스를 중심으로 1991년에서 2005년까지 PT에 기반한 고온스트레스 분포를 조사하고, 현재 사용중인 여름철 생활기상지수인 열지수, 불쾌지수, PT와 초과사망률과의 관련성을 비교하여 보건에 영향을 미치는 열적 스트레스 지수의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자료 및 방법을 소개하고, 3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1991년에서 2005년까지 15년간 서울에서 관측된 일별 PT와 사망자료를 분석하여 고온스트레스와 일 사망률 증가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사망자료는 고령자를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PT와 현재 사용중인 여름철 열적 지수인 열지수와 불쾌지수와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에서 15년 동안 관측된 3시간별 PT를 통해 나타난 고온 스트레스의 여름 기간 내 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여름철 PT와 일 사망률 증가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 기간에서 집계된 극단적 고온스트레스 사례와 극단적 폭염사례로 알려진 1994년 하계의 PT와 초과사망자수와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하였다.
  • 서울에서 관측된 PT의 열 스트레스 등급증가에 따른 일 사망률 증가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최근 15년 동안의 서울에서 관측된 PT 등급의 범위와 빈도를 살펴보았으며, 일반적으로 폭염 스트레스가 강하게 존재하는 기간이 여름철 중 언제인지 그리고 가장 강하게 나타난 해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환경이 악화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문제는? 특히 인구가 많은 대도시 지역은 산업과 교통이 밀집해 있고, 대규모 냉난방 시설 등으로 인한 인공열의 방출이 많아 도시 열섬현상을 악화시킨다. 열환경이 악화되면 노년층의 초과사망자수와 내원환자수의 증가를 야기하며, 냉난방기 가동증가로 인한 최대 전력사용 기록의 갱신 등 여러 부문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Park et al., 2008; Ebi et al.
PT(Perceived temperature)는 무엇인가? 인체 열수지 모델은 지역생명기상모델과 도시생명기상모델에서 PT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PT의 정의는 인체가 저온 또는 고온스트레스를 느끼는 기본환경에서의 기온이다. PT는 인체 열수지 모델로부터 계산된 평균값으로부터 환산되어 ℃ 단위로 제공된다.
1991년에서 2005년까지 서울에서 관측된 일별 PT와 사망자료를 분석하여, 고온스트레스와 일 사망률 증가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는? 1) 고온스트레스의 시간적 분포조사 결과, PT를 통해 나타난 높은 고온스트레스 시기는 주로 7월 중순에서 8월 상순에 분포하고 있었다. PT에서 제안되고 있는 38도 이상의 가장 극단적인 고온 스트레스 등급은 주로 7월 중순이 지나 시작되고 있으며, 최대강도를 나타난 해는 당시 폭염과 관련된 여러 연구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1994년 여름철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초과사망자수 피해는 PT의 최대시기와 매우 밀접하게 나타나 높은 정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만성질환 취약군의 구성비가 높고,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이나 체열조절 능력이 취약한 65세 이상의 고령자 사망률의 기여가 컸으며, 고온스트레스의 영향은 한기 스트레스와는 달리 시간지연 효과가 없이 단기간에 직접적으로 나타났다. 3) 기후적 관점에서 일평균 PT가 42도 이상으로 관측된 극단적 고온스트레스 일수의 추출결과, 15년간 총 48일이 집계되었으며 그에 따른 PT와 일 사망자수 아노말리의 분석결과, 고온이 나타난 당일을 중심으로 전후로 PT와 일 사망자수는 분명한 정상관관계(0.79)를 띠면서 확연한 동시 증감패턴을 보였으며, PT 아노말리가 최대(9.27℃)를 나타낸 고온스트레스 시기와 동일하게 일 사망자수 역시 최대치(10.7명)를 나타내었다. 4) PT, 열지수, 불쾌지수에서 사용중인 열 부하 등급에 따른 다음 날 사망률과의 평균상대편차를 구한 결과, 열지수는 최고 등급인 위험 이상의 등급에서 양의 초과사망률이 나타났으며, 불쾌지수는 전체 분류된 구간에서 과소평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PT는 열 스트레스 등급의 증가에 따른 초과사망률의 증가경향이 잘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yon, J.Y., J.S. Kim, J. Kim, B.C. Choi, Y.J. Choi, and A. Graetz (2008a)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ceived temperature over the Korean peninsula during 2007 summer, Atmosphere, 18(2), 137-1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yon, J.Y., J. Kim, B.C. Choi, and Y.J. Choi (2008b) Forecast and verification of perceived temperature using a mesoscale model over the Korean Peninsula during 2007 summer, Atmosphere, 18(3), 237-2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angnon, S.A., K.E. Kunkel, and B.C. Reinke (1996) Impact and responses to the 1995 heat wave: A call to action, Bull. Amer. Meteor. Soc., 77, 1496-1506. 

  4. Ebi, K.L., T.J. Teisberg, L.S. Kalkstein, L. Robinson, and R.F. Weiher (2004) Heat watch/warning systems save lives: Estimated costs and benefits for Philadelphia 1995-1998, Bull. Amer. Meteor. Soc., 85, 1067-1073. 

  5. Fanger, P.O. (1970) Thermal Comfort, Analysis and Application in Environment Engineering, Danish Technical Press, Copenhagen, 244pp. 

  6. IPCC (2007) Climate Change: The Physical Science Basis-Summary for Policymakers, R. Alley et al., 18pp (http://ipcc-wg1.ucar.edu/). 

  7. Gagge, A.P., A.P. Fobelets, and P.E. Berglund (1986) A standard predictive index of human response to the thermal environment. ASHRAE Trans., 92, 709-731. 

  8. Jendritzky, G., H. Staiger, K. Bucher, A. Graetz, and G. Laschewski (2000) The perceived temperature-the method of the Deutscher Wetterdienst for the assessment of cold stress and heat load for the human body, In: Internet Workshop on Windchill, hosted by Environment Canada. 

  9. Jendritzky, G., A. Maarouf, and H. Staiger (2001) Looking for a Universal Thermal Climate Index UTCI for Outdoor Applications, Windsor-Conference on Thermal Standards, Windsor, UK. 

  10. Jendritzky, G. and T. Birger (2009) The thermal environment of the human being on the global scale, Climate change and global health: linking science with policy, Global Health Action Special Volume 2009, 10-21. 

  11. Kim, H., J.-S. Ha, and J. Park (2006) High temperature, heat index, and mortality in 6 major cities in South Korea, Archives of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Health, 61, 265-270. 

  12. Kim, J., D.G. Lee, I.S. Park, B.C. Choi, and J.S. Kim (2006) Influences of heat waves on daily mortality in South Korea, Atmosphere, 16(4), 269-2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J., K.R. Kim, B.-C. Choi, D.-G. Lee, and J.-S. Kim (2009a) Regional distribution of perceived temperatures estimated by the human heat budget model (the Klima-Michel model) in South Korea, Adv. Atmos. Sci., 26(2), 275-282. 

  14. Kim, J., D.G. Lee, and J. Kysely (2009b) Characteristics of heat acclimatization for major Korean cities, Atmosphere, 19(4), 309-3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unkel, K.E., R.A. Pielke Jr., and S.A. Changnon (1999) Temporal fluctuation in weather and climate extremes that cause economic and human health impacts: A review, Bull. Amer. Meteor. Soc., 80, 1077-1098. 

  16. Landsberg, H.E. (1972) The Assessment of Human Bioclimate, a Limited Review of Physical Parameters,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Technical Note No.123, WMO-No. 331, Geneva. 

  17. Lee, D.G. (2006) Study on the Corre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eather elements affecting Daily Mortality in the Korean Peninsula, Inje University Master’s Thesis, 89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D.G., J. Kim, and B.C. Choi (2007) Characteristics of daily mortality due to heat waves in Busan in July 1994, Atmosphere, 17(4), 463-470. (in Korean withEnglish abstract) 

  19. Lee, D.G., Y.J. Choi, J.Y. Byon, K.R. Kim, and L.S. Kalkstein (2009) Acclimatization effects of Korean metropolitan cities on Heat-Health Warning System (HHWS),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Autumn conference proceedings, 340pp. 

  20. Matzarakis, A., H. Mayer, M.G. Iziomon (1999) Applications of a universal thermal index: physio-logical equivalent temperature, Int. J. of Biometeo-rol., 43,76-84. 

  21. Meehl, G.A. and C. Tebaldi (2004) More intense, more frequent, and longer lasting heat waves in the 21st century. Science, 305, 994-997. 

  22. NIMR (2006) The Development of Biometeorology Technique II (MR060A44), 158pp. 

  23. NIMR (2007) The Development of Biometeorology Technique III (MR070A71), 282pp. 

  24. Park, J.K., W.S. Jung, and E.B. Kim (2008)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xtreme heat on daily mortality, Korean J. of Atmos. Environ., 24(5), 523-5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Staiger, H., K. Bucher, and G. Jendritzky (1997) Gefuhlte Temperatur. Die physiologisch gerechte Bewertung von Warmebelastung und Kaltestress beim Aufenthalt im Freien in der $Ma{\beta}zah$ l Grad Celsius, Annalen der Meteorologie, 33, 100-107. 

  26. UNEP(A2004) Impacts of summer 2003 heat wave in Europ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Early Warning and Emerging Environmental Threats Re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