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리스의 사상과 분류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rris's Thought and Classification Scheme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1 no.2, 2010년, pp.69 - 80  

김정현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해리스 분류법과 관련하여 해리스의 사상적 활동과 해리스 당시 미국의 문헌분류 흐름을 살펴본 후, 해리스 분류법의 구성원리 및 내용, 베이컨과 헤겔, DDC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와 같이 해리스 분류법의 구성체계는 무엇보다 베이컨의 분류순서를 도치시킨 역베이컨식으로 배열하였다고 해리스가 직접 언급하고 있으며, 해리스 분류법에는 어디에도 헤겔의 사상을 반영하였다는 표현이 나타나 있지 않다. 그렇지만 분석결과 해리스 분류법이 발표된 시기에 그는 헤겔주의자이고 미국의 대표적인 헤겔 해설자였으므로 그의 분류법에는 헤겔의 세계관이 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헤겔의 사상이 분류체계 곳곳에 구체적으로 반영되어있다. 또한 베이컨의 분류사상이 반영되어 역베이컨식라고 부르는 것도 당연한 주장이며, 다만 지금까지 알려진 바와 같이 베이컨의 직접적인 영향도 있지만 존스톤을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Harris's philosophical ideas, American library classification in the Harris's era, and relationship to Bacon, Hegel, DDC based on the Harris's classification system. As is generally known so far, Harris himself described to have derived his classification from inverted Baco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해리스 분류법을 분석함으로써 지금까지도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DDC의 주류설정 원리가 보다 명확하게 규명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해리스의 사상활동과 당시의 문헌분류의 흐름 및 해리스 분류법의 특성을 분석한 후, 베이컨, 헤겔철학, DDC의 구조와 비교 분석을 함으로써 해리스 분류법이 문헌분류법에 끼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DDC가 나오기 이전인 1870년에 창안된 해리스 분류법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이며, 주로 문헌조사 분석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① 해리스의 사상적 활동 및 당시의 문헌분류 동향, ② 해리스 분류법의 구성원리 및 내용, ③ 해리스 분류법과 베이컨, 헤겔철학, DDC와의 관련 등 세 가지로 구분하여 고찰한 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한다.
  • 해리스 당시 미국 도서관계에는 베이컨 분류법과 부루네 분류법이라는 두 개의 분류사상으로 나뉘어 있었지만 여기서는 해리스 분류법의 결정 계기가 된 여러 가지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기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인트루이스 도서관의 정식 명칭은 무엇인가? 세인트루이스 도서관의 정식 명칭은 ‘세인트루이스 공립학교도서관(St. Louis Public School Library)’이며, 해리스의 전임자였던 교육장 디볼(I. Divoll)의 노력으로 1865년에 개설된 것이다.
해리스 분류 법은 어디에 영향을 미쳤는가? Harris 1835-1909)가 창안한 ‘해리스 분류 법’이 있다. 이는 분류기호와 도서기호를 서가배열, 목록 배열, 대출과 반납에 사용한 최초의 분류법으로 듀이십 진분류법(DDC)의 등장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DDC 초판의 서문에도 해리스에 대한 직접적인 감사의 글이 나타나 있을 만큼 해리스 분류법의 특성이 많이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부루네의 분류법 최초판이 소개된 책은 무엇인가? Brunet)는 1780년 파리 에서 태어났다. 1810년에 Manual du libraire et de l'amateur de livres(3권)가 출판되었으며, 세 번째 권인 Table Methodique en Forme de Catalogue Raisonne에 부루네의 분류법이라고 일컬어지는 최초의 판이 소개되어 있다. 최후의 판인 제5판은 1860-1865년에 전체 6권 으로 출판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명옥. 1993. 서양의 자료분류법의 발달과정: 고대에서 해리스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5: 185-213. 

  2. 김옥희. 1994. 認識論的 主題觀點에서의 知識과 文獻分類의 展開考.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3. 오동근. 2001. DDC 연구. 대구: 도서출판태일사. 

  4. 윤희윤. 2010. 정보자료분류론, 완전개정 제3판. 대구: 도서출판태일사. 

  5. 정필모. 1971. 文獻分類法. 서울: 中央大學校出版局. 

  6. 헤겔, C.W.F. 1998. 論理學. 금계숙 역. 서울: 서문문화사. 

  7. 헤겔, C.W.F. 2008. 예술철학. 한동원, 권정임 옮김. 서울: 미술문화. 

  8. 加藤宗厚. 1959. 圖書分類法要設, 改正增補版. 東京: 理想社. 

  9. 綠川信之. 1996. 本を分類する. 東京: 勁草書房. 

  10. 小倉親雄. 1977. アメリカ圖書館思想の硏究. 東京: 日本圖書館協會. 

  11. 庭野義英. 2000. 19世紀米國における理科敎育に?する考察: W.T.ハリスの理科敎育論. 上越敎育大學硏究紀要, 20(1): 7-18. 

  12. 鯨井俊彦. 1982. W.T.ハリスにおけるヘ?ゲル哲學の受用過程について(1). 日本デュ?イ學會紀要, 23: 27-33. 

  13. 鯨井俊彦. 1984. W.T.ハリスにおける圖書館分類思想の考察. 明星大學硏究紀要: 人文學部, 20: 11-24. 

  14. Comaromi, John P. 1983. The Foundation of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The First Two Editions, In Melvil Dewey: The Man and the Classification / ed. G. Stevenson and J. Kramer-Greene(Albany, New York: Forest Press): 135-147. 

  15. Comaromi, John P. 1976. Knowledge Organized is Knowledge Kept: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1873-1976, Quarterly Journal of Library of Congress, 33(4): 311-331. 

  16. LaMontangne, L. E. 1961. American Library Classification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Library of Congress. Hamden, Conn: Shoe String Press. 

  17. LaMontangne, L. E. 1972. Historical Background of Classification, In Reader in Classification and Descriptive Cataloging / ed. by A.F. Painter (Washington: NCR Microcard Editions): 24-31. 

  18. Harris, W. T. 1870. Book Classification. The Journal of Speculative Philosophy, Vol.4: 114-129. 

  19. Leidecker, K. F. 1945. The Debt of Melvil Dewey to William Torrey Harris, The Library Quarterly, 15: 139-142. 

  20. Graziano, E. F. 1959. Hegel's Philosophy as Basis for the Dewey Classification Schedule, Libri, 9(1): 45. 

  21. Olson, Hope A. 2004. The Ubiquitous Hierarchy: An Army to Overcome the Threat of a Mob. Library Trends, 52(3): 604-616. 

  22. Sayers, W.C.B. 1955. An Introduction to Library Classification. London: Grafton. 

  23. Troen, Selwyn K. 1975. The Public and the Schools: Shaping the St. Louis System, 1838-1920. Columbia: Univ. of Missouri Press. 

  24. Wiegand, W. A. 1998. The 'Amherst Method': The origins of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scheme, Libraries & Culture, 33(2): 175-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