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수력 자원량 산정과 지리정보시스템 구축
Estimation of Small Hydropower Resources and Development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10 no.2, 2010년, pp.103 - 110  

허준호 (공주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박완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연구부) ,  윤정환 ((주)노아솔루션) ,  정상만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수력은 신재생에너지 중 하나로 우리나라에는 부존량이 매우 풍부하여 최근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소수력 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소수력 자원량 산정의 정확성을 제고하고, 소수력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에너지원 발굴의 기반환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평균강우량, 유역면적, 유출계수를 세분화시켜 840개의 표준유역에 대한 소수력 발전소 시설용량과 연간전기생산량을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소수력 자원량과 분석기능, 그리고 국내 소수력 자원지도시스템에서 제공되지 않았던 소수력 발전소 현황, 하천, 유역, 강우관측소, 수위관측소 등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여 소수력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소수력 지리정보시스템은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소수력 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all hydropower is one of the many types of new and renewable energy, which South Korea is planning to develop, as the country is abundant in endowed resources. In order to fully utilize small hydropower resources, there is a need for greater precision in quantifying small hydropower resources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수력 자원지도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이를 소수력 지리정보시스템에 반영하였으며, 소수력 자원량 산정에 필요한 매개변수를 세분화하여 소수력 자원량의 정확도를 제고하고자 한다. 또한, 산정된 소수력 자원량과 소수력과 관련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분석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수력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소수력 자원량의 정확성을 제고하기 위해 세분화된 연평균강우량, 유출계수, 표준유역면적을 바탕으로 840개 표준유역에 대한 연평균유량, 소수력 발전소 시설용량과 연간전기생산량을 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수력 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서 우리나라 국토 전반에 산재되어 있는 소수력 자원량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소수력 자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소수력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수력 자원지도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이를 소수력 지리정보시스템에 반영하였으며, 소수력 자원량 산정에 필요한 매개변수를 세분화하여 소수력 자원량의 정확도를 제고하고자 한다. 또한, 산정된 소수력 자원량과 소수력과 관련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분석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수력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 속성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소수력 발전소 현황 및 시설용량, 소수력 자원량 산정에 필요한 기초정보 현황을 관리하고, 소수력 자원량 산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소수력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관련 자료의 확인을 위하여 대상범위를 설정하고, 소방방재청 통합GIS 구축 자료,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 기상청 등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도와 병행하여 표 3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초정보(소수력 발전소 현황정보, 소수력 발전소 시설용량 정보, 하천정보, 강우관측소 정보, 수위관측소 정보), 연평균유량, 시설용량, 연간전기생산량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정리·분석하였으며, 우리나라 국토 전반에 산재되어 있는 소수력 자원을 표현해 줄 주제도를 구축하였다. 이는 소수력 발전소 시설용량 및 연간전기생산량에 대한 자원정보와 각 유역의 특성을 효율적으로 보여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이렇게 산정된 소수력 자원량은 각 수계별 연평균강우량과 유출계수가 동일하여 배수구역에 대한 소수력 자원량이 유역면적의 크기에 따라 소수력 자원량의 크기가 결정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수력 자원량 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연평균강우량과 유출계수를 보다 세분화시켜 소수력 자원량 산정에 정확도를 제고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유역을 구분함에 있어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수력 자원지도시스템은 배수구역을 기준유역으로 적용하였으나, 소수력 자원량 산정 시 기준유역으로 배수구역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의 수자원단위지도에서 제공하는 표준유역 개념을 사용하였다.
  • 적용한 표준유역의 분할은 2002년 3월 “물관리 정보 표준화 실무 소위원회”에서 관련 부처 관계자(국토해양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의 물 정보 담당자) 및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반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수자원정보체계의 보다 효율적인 운영과 자료의 생산ㆍ관리 및 유통에 관한 표준화를 도모하기 위한 기반으로 물 정보 공동 활용을 위해 제시되었다.

가설 설정

  • 77로 분석하였으며, 이 값을 840개의 표준유역에 대한 소수력 발전소 시설용량 산정 시 소수력 발전소 효율로 사용하였다. 또한, 유효낙차는 국내에 산재되어 있는 소수력 자원량을 산정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나, 소수력 발전소 개발자가 해당 유역 내에 소수력 발전소를 설치하고자 할 때 개발형식과 보의 높이에 따른 수리해석이 선행되어 결정되어지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효낙차를 기본 단위인 1 m로 가정하여 소수력 발전소 시설용량을 산정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시설용량을 바탕으로 840개의 표준유역에 대한 소수력 발전소 연간전기 생산량을 식 3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수력은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가? 소수력은 친환경적인 청정에너지 중 하나로 다른 대체 에너지원에 비해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어 개발 가치가 큰 부존자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소수력 개발 지점에서의 사용 유량을 결정하는 최선의 방법은 무엇인가? 소수력 개발 지점에서의 사용 유량을 결정하는 최선의 방법은 해당 지점에 유속계 또는 수위계를 사용하여 장시간에 걸친 측정결과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통해 사용 유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장기간에 걸친 작업이 필요하고, 인원 및 장비에 따른 경제적 문제도 수반되어 소수력 개발 지점에 대한 특성을 단기간에 분석하기에는 부적합하기 때문에 소수력 개발 지점의 인근 강우관측소에서 측정된 강우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예측 할 수 있다(박완순, 2003).
유속계 또는 수위계를 사용하여 장시간에 걸친 측정을 통하여 사용 유량을 결정하는 방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소수력 개발 지점에서의 사용 유량을 결정하는 최선의 방법은 해당 지점에 유속계 또는 수위계를 사용하여 장시간에 걸친 측정결과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통해 사용 유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장기간에 걸친 작업이 필요하고, 인원 및 장비에 따른 경제적 문제도 수반되어 소수력 개발 지점에 대한 특성을 단기간에 분석하기에는 부적합하기 때문에 소수력 개발 지점의 인근 강우관측소에서 측정된 강우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예측 할 수 있다(박완순, 2003). 이러한 하천의 유량은 해당지역의 연평균강우량과 유역면적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산정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건설교통부 (1996) 수자원장기종합계획. 

  2. 건설교통부 (1996) 수자원장기종합계획. 

  3.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2006) 수리.수분조사 보고서 -한강유역조사- III. 

  4. 김길호 (2008) 소수력 개발을 위한 타당성분석 방안, 공학석사학위 논문, 인하대학교. 

  5. 박완순 (2003) 소수력 발전소의 성능예측 기법에 관한 연구. 공 학박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6. 산업자원부 (2006) 신재생에너지 자원조사.종합관리시스템 구축사업. 

  7. 손병찬, 신동열, 이상화, 김종휘 (1982) 국내소수력자원평가 및 타 당성조사 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KE-82T-12. 

  8. Baban, S.M.J. and Wan-Yusof, K. (2003). Modelling optimum sites for locating reservoirs in tropical environments, Water Resources Management, Wol. 17, pp.1-17. 

  9. Gismalla, Y.A. and Bruen, M. (1996) Use of GIS in reconnaissance studies for small-scale hydropower development in a developing country: A case study from Tanzania, in K. Kovar and H.P. Nachtnebel (eds), Hydro GIS '96: Applic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hydrology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Proceedings of the Vienna Conference, AIHS Publ. No. 235, pp.307-312. 

  10. Kaijuka, E. (2007) GIS and rural electricity planning in Uganda,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 15, pp.203-2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