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기 아동의 삶의 질과 아동이 인지한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와 의사소통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Patterns of School Age Children 원문보기

아동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v.16 no.3, 2010년, pp.220 - 229  

신희건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유일영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간호정책연구소) ,  오의금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간호정책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quality of life in school age childre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parenting attitude as perceived by childre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patter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y 26 and June 3, 2009 using self-rep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무엇보다도 아동의 삶의 질이나 부모의 양육태도, 의사소통과 관련된 자료를 아동으로부터 직접 수집하여 분석한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삶의 질 수준 및 부모와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삶의 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간호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와의 의사소통, 아동의 삶의 질 간의 관계 및 아동의 삶의 질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로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보고한 아동의 삶의 질과 부모들이 지각하는 자녀들의 삶의 질을 비교하고 아동이 지각하는 삶의 질과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아동과 부모가 보고한 아동의 삶의 질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그룹이 보고한 삶의 질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와 아동이 인지하는 학령기 후기 아동의 삶의 질을 비교하고, 아동이 인지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양상과 아동의 삶의 질과의 관계를 확인하여 학령기 아동의 삶의 질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질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삶의 질은 추상적이고 복합적인 개념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경제적 및 영적 영역에서 각 개인이 지각하는 주관적 안녕을 의미하며, 현재 상황에 관한 개인의 느낌으로 행복이나 삶의 가치 개념, 혹은 생활에 대한 만족으로 이해되고 있다(Padilla & Grant, 1985). 주관적인 개념인 삶의 질은 개개인의 영역이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려운데, 특히 성장발달 과정이 다른 아동에서는 성인과는 다르게 발달수준에 맞는 접근과 이해가 필요 하다.
자녀의 성장발달에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자녀의 성장발달에 중요한 요소로 부모와의 관계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학령기 후기 아동의 삶의 질이 양육태도나 의사소통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효율적인 부모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무엇보다도 아동의 삶의 질이나 부모의 양육태도, 의사소통과 관련된 자료를 아동으로부터 직접 수집하여 분석한 연구가 부족하다.
서울 및 경기도 지역 4개의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과 부모 148쌍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아동의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 한 결과는? 서울 및 경기도 지역 4개의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과 부모 148쌍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아동의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아동과 부모 모두 아동의 삶의 질을 높게 보고하였고, 부모의 양육 태도(r=.418, p<.001)와 부모와 의사소통(r=.453, p<.001)은 삶의 질과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또래집단과의 관계, 부모와의 의사소통, 학교 성적, 방과 후 집에 어른이 계시는지의 여부, 학교생활 만족 정도 및 출생순위는 아동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전체 모델의 47.7%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16.184, p<.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nes, L., & Olson, D. (1985).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circumplex model. Child Development, 56, 438-447. 

  2. Brief, A. P., Butcher, A. H., & George, J. M. (1993). Integrating bottom-up & top-down theories of subjective well-being: The case of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Social Psychology, 64, 646-653. 

  3. Bullinger, M., Schmidt, S., & Petersen, C. (2002). Assessing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chronic health condition and disabilities: A european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5, 197-206. 

  4. Chang, E. Y., & Oh, J. A. (2008). A concept analysis of the quality of life for the children. Journal of Korean Parent-Child Health, 11, 127-137. 

  5. Choi, E. S. (2004). Psychometric test of the PedsQL 4.0 generic core scale in Korean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 Docherty, S., & Sandelowski, M. (1999). Focus on qualitative methods: Interviewing childre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2, 177-185. 

  8. Dwyer, K. M. (2005). The meaning and measurement of attachment in middle and late childhood. Human Development, 48, 155-182. 

  9. Han, K. J., Yi, Y. H., Sim, I. O., & Choi, Y. J. (2005). Dimensions and attributes of quality of life in Korean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1, 167-178. 

  10. Han, S. C., Choi, A. M., & Park, S. H. (2004). Adolescent psychology. Seoul: YangSueWon Publishing Co. 

  11. Kang, K. A., Kim, S. J., Song, M. K., Sim, S. Y., & Kim, S. H. (2007).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meaning of life (MOL) for higher grade prim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3, 308-317. 

  12. Kim, H. S., & Shin, Y. H. (2004). The parent's perception on quality of life of their epileptic children.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8, 77-86. 

  13. Kim, Y. H. (1989).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juvenile delinquency and the couple relationship,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family functio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4. Kwon, M. K. (2009). Comparison of child-rearing attitudes of parents and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as perceived by parents an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5, 164-170. 

  15. Lee, I. Y., & Im, S. Y. (1998). The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y and their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7(2), 8-18. 

  16. Lee, K. N., Kim, K. H., Rhu, G. H., Moon, S. H., & Hong, B. S. (2000). The quality of life; Past, present and future. Journal of the Korean Child Welfare, 9, 9-49. 

  17. Lee, M. J. (2007). Relationship between parent child communication patterns & parenting attitude and depression & delinquent behaviors among adolescents in military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8. Moon, S. H. (2009). Relationship of peer relationships,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self-reported attachment security, to loneliness in upper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9, 401-408. 

  19. Oh, W. O. (2008). Factors influencing family quality of life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4, 396-404. 

  20. Padilla, G.V., & Grant, M. M. (1985). Quality of life as a cancer nursing outcome variable. Advanced Nursing Science, 8, 45-60. 

  21. Park, H. S., & Ha, J. H. (2007). The effect of the parents-adolescents communication level and adolescent's emotional autonomy on anger expression method and juvenile delinquency. Studies on Korean Youth, 18, 89-110. 

  22. Parker, G., Tupling, H., & Brown, L. B. (1979) A parental bonding instrument.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52, 1-10. 

  23. PedsQL data. (1998-2010). The PedsQL scoring algorithm. Retrieved March, 2009, from http://www.pedsql.org/score.html 

  24. Ravens-Sieberer, U., & Bullinger, M. (1998). Assess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ronically ill children with the German KINDL: First psychometric and content analytical results. Quality of Life Research, 7, 399-407. 

  25. Rohner, R. P., & Pettengill, S. M. (1985).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arental control among Korean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56, 524-528. 

  26. Shin, Y. H., Sim, M. K., & Kim, T. I. (2006). Resilienc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2, 295-303. 

  27. Song, J. Y. (1992). The development of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 Korean version: Evaluation of the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1, 979-992. 

  28. Varni, J. W., Seid, M., & Kurtin, P. S. (2001). $PedsQL^{TM}$ 4.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ediatric quality of life $inventory^{TM}$ version 4.0 generic core scales in healthy and patient populations. Journal of Medical Care, 39, 800-812. 

  29. Woo, M. S. (2003).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on children's development of self-concep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30. Yoon, Y. A. (1988). Developmental expectation level according to birth order of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