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피부근염은 특발성의 염증성 결합조직 질환으로서 점진적인 근육의 쇠약과 특징적인 피부 발진의 증상을 보이는 전신적 자가 면역 질환의 일종이며 근력 약화와 함께 나타나거나 흔히 선행하는 특징적 발진에 의해 진단된다. 가장 특징적인 피부증상은 상안검의 부종과 함께 나타나는 푸르면서 보라색 발진인 heliotrophic rash, 안면부와 상부 흉부의 넓적하고 붉은 발진 (flat red rash), 피부의 인설(scaling)현상을 나타내는 손가락 관절(knuckle)부위의 두드러진 Gottron's papules (violaceous scaly eruption)등 이다. 근육 증상으로 주로 근위부 사지 근육의 약화를 동반한 근육의 염증성 및 퇴행성 변화를 보인다. 피부 근염은 종종 소화기계 (gastrointestinal tract)와 호흡기계 (respiratory system)를 침범하며 15%~25%에서 악성변화를 보인다. 치료는 피부증상뿐 아니라 근육 증상도 악화시킬 수 있는 자외선에 대한 노출을 피하고 일차적으로 전신적 corticosteroid를 사용하며 증상이 심하거나 steroid에 반응이 없을 때 다른 면역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피부근염에서 안면근은 침범되지 않으며 저작근의 이환 역시 거의 없다. 본 증례를 통해 피부근염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개구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근경축과 유사한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피부근염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구장애는 회복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점진적으로 개구량이 줄어드는 것을 막고 정상적인 개구량을 확보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개구운동 등의 치료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rmatomyositis (DM) is an idiopathic inflammatory connective tissue disorder and a systemic autonomic immune disease which shows a progressive muscle weakness and characteristic rash. It is identified by a characteristic rash accompanying, or more often preceding muscle weakness. Pathognomonic sk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피부근염으로 인한 근육 약화 시 안면근(facial muscles)과 안륜근(ocular muscle)은 이환되지 않는다.1) 저작근에 이환된 경우도 거의 보고된 바 없어 이에 피부근염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나타난 개구장애에 관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더불어 피부근염의 임상증상과 진단기준, 치료법을 소개하고 턱관절 장애와의 관련성 및 그에 따른 구강내과적 접근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1) 저작근에 이환된 경우도 거의 보고된 바 없어 이에 피부근염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나타난 개구장애에 관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더불어 피부근염의 임상증상과 진단기준, 치료법을 소개하고 턱관절 장애와의 관련성 및 그에 따른 구강내과적 접근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5) 피부근염으로 인한 근육 약화 시 안면근(facial muscles)과 안륜근(ocular muscle)은 이환되지 않는다.1) 저작근에 이환된 경우도 거의 보고된 바 없어 이에 피부근염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나타난 개구장애에 관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증성 근육병증은 어떻게 구분 가능한가? 근력약화의 원인이 되며 후천적으로 발병하는 근육질환에서 가장 흔한 질환군인 염증성 근육병증은 임상적, 역학적, 조직학적, 면역병태생리학적 기준에 의해 다발성 근염(polymyopathy), 피부근염(dermatomyopathy), 봉입체 근염(inclusion body myopathy)으로 구분 가능하다. 피부근염을 포함한 염증성 근육병증의 발생률은 대략 10만 명 당 1명 정도이며 다발성근염은 주로 성인에서 발병하며 피부근염은 성인과 소아 모두에서 발병하며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흔하다.
피부근염이란 무엇인가? 피부근염은 특발성의 염증성 결합조직 질환으로서 점진적인 근육의 쇠약과 특징적인 피부 발진의 증상을 보이는 전신적 자가 면역 질환의 일종이며 근력 약화와 함께 나타나거나 흔히 선행하는 특징적 발진에 의해 진단된다. 가장 특징적인 피부증상은 상안검의 부종과 함께 나타나는 푸르면서 보라색 발진인 heliotrophic rash, 안면부와 상부 흉부의 넓적하고 붉은 발진 (flat red rash), 피부의 인설(scaling)현상을 나타내는 손가락 관절(knuckle)부위의 두드러진 Gottron's papules (violaceous scaly eruption)등 이다.
피부근염 추정 시 가장 민감도가 높은 효소는 무엇인가? 임상적으로 피부근염으로 추정시 혈청 효소치 측정, 근전도, 근생검을 시행하여 확진한다. 가장 민감도가 높은 효소는 CK (creatine kinase)인데 질병의 활동기일 때 정상의 50배 정도 증가한다. 근생검시 조직학적으로 다발성 근염과 피부근염의 차이가 있는데 피부근염의 경우 염증반응이 근속(muscle fascicles)내에 주로 나타나지만 피부근염의 경우 혈관주위나 근속 주변부(perifascicular), 근속간격(interfascicular septae)에 주로 나타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asper et al.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6th ed.-vol.2. 2005. McGrow-Hill, p.2540-2545. 

  2. Jeffrey P. Callen, Robert L. Wortmann, Dermatomyositis. Clinics in Dermatology 2006;24:363-373. 

  3. Marie I, Hatron PY, Hachulla E, Wallaert B, Michon -Pasturel U, Devulder B. Pulmonary involvement in polymyositis and in dermatomyositis. J Rheumatol 1998;25:1336-1343. 

  4. Pautas E, Cherin P, Piette JC et al. Features of polymyositis and dermatomyositis in the eldery: a case-control study. Clin Exp Rheumatol 2000;18: 241-244. 

  5. Brennan MT, Patronas NJ, Brahim JS et al. Bilateral condylar resorption in dermatomyositis. A case repor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9;87:446-451. 

  6. Callen JP. Dermatomyositis. Lancet 2000;355:53-57. 

  7. Plotz PH, Rider LG, Targoff IN, Raben N, O' Hanlon TP, Miller FW. Myositis: immunologic contributions to understanding cause, pathogenesis, and therapy. Ann Intern Med 1995;122:715-724. 

  8. Targoff IN. Dermatomyositis and polymyositis. Curr probl Dermatol 1991;3:131-180. 

  9. Bohan A, Peter JB. Polymyositis and dermatomyositis. N Engl J Med 1975;292:344-7 and 403-7 [two part articles]. 

  10. Wortmann RL. Idiopathic inflammatory diseases of muscle. In: Weisman ML, Weinblatt ME, Louie JS, editors. Treatment of the rheumatic diseases. PHILADELPHIA, PA: W.B. Saunders Co.; 2001.p.390-402. 

  11. Spiera R, Kagen L. Extramuscular manifestations in idiopathic inflammatory myopathies. Curr Opin Rheumatol 1998;10:556-561. 

  12. Marie I, Hatron PY, Hachulla E, Wallaert B, Michon -Pasturel U, Devulder B. Pulmonary involvement in polymyositis and in dermatomyositis. J Rheumatol 1998;25:1336-1343. 

  13. Selva-O'Callaghan A, Labrador-Horillo M, Munoz- Gall X et al. polymyositis/dermatomyositisassociated lung disease: analysis of a series of 81 patients. Lupus 2005;14:534-542. 

  14. Pautas E, Cherin P, Piette JC et al. Features of polymyositis and dermatomyositis in the eldery: a case-control study. Clin Exp Rheumatol 2000;18: 241-244. 

  15. Peng JC, Sheem TS, Hsu MM. Nasopharyngeal carcinoma with dermatomyositis. Analysis of 12 case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5;121: 1298-1301. 

  16. Sinoway PA, Callen JP. Chlorambucil: an effective corticosteroid-sparing agent for patients with recalcitrant dermatomyositis. Arthritisrheum 1993;36: 319-324. 

  17. Villalba L, Adams EM. Update on therapy for refractory dematomyositis and polymyositis. Curr Opin Rheumatol 1996;8:544-551. 

  18. Gelber AC, Nousari HC, Wigley FM. Mycophenolate mofetil in the treatment of severe skin manifestations of dermatomyositis: a series of 4 cases. J Rheumatol 2000;27:1542-1545. 

  19. Vencovsky J, Jarosova K, Machacek S et al. Cyclosporine A versus methotrexate in the treatment of polymyositis and dermatomyositis. Scand J Rheumatol 2000;29:95-102. 

  20. Rowin J, Amato AA, Deisher N, Cursio J, Meriggioli MN. Mycophenolate mofetil in dermatomyositis: is it safe? Neurology 2006;66:1245-1247. 

  21. Cheong WK, Hughes GRV, Norris PG, Hawk JLM. Cutaneous photosensitivity in dermatomyositis. Br J Dermatol 1994; 131:205-208. 

  22. Woo TR, Rasmussen J, Callen JP. Recurrent photosensitive dermatitis preceding juvenile dermatomyositis. Pediatr Dermatol 1985;2:207-212. 

  23. Callen JP. Photodermatitis in a 6-year-old child. Arthritis Rheum 1993;36:1483-1485. 

  24. Zuber M, John S, Pfreundschuh M, Gause A. A young woman with a photosensitive pruritic rash on her face and upper trunk. Arthritis Rheum 1996;39:1419-1422. 

  25. Callen JP. Photosensitivity in collagen vascular diseases. Semin Cutan Med Surg 1999;18:293-296 

  26. Mastaglia FL, Garlepp MJ, Philips BA et al. Inflammatory myopathies: clinical, diagnostic and therapeutic aspects. 

  27. Cunningham JD, Lowry LD. Head and Neck manifestations of dermatomyositis-polymyositis.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5;93:673-6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