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도 괴상 응회질 각력암층에서 나타나는 화산암편의 암석학적 특성과 기원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Volcaniclasts within the Massive Tuff Breccia Formation from Dokdo Island,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9 no.2 = no.60, 2010년, pp.141 - 156  

심성호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임지현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장윤득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추창오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박병준 (한국석유공사 개발생산1처) ,  김정훈 (한국해양연구원 심해.해저자원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독도 괴상 응회질 각력암층의 다양한 화산암편에 대한 암석기재 및 지구화학 자료를 바탕으로 초기 수중 독도 화산체의 특성과 그에 대한 기원 및 진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야외지질조사 및 주원소 분석결과 동, 서도 간의 괴상 응회질 각력암층은 다소 상이한 특성이 나타난다. 동도의 경우 괴상 응회질 각력암층은 해안 절벽을 따라 대략 40-50 m 고도까지 노출되어 있으며 암편으로는 현무암과 조면현무암이 우세하고, 조면암스코리아 등도 상당부분 포함 되어 있다. 반면, 서도의 경우 어업민 숙소 부근의 조면안산암과 조면암맥에 암편이 포유되거나 물골 쪽에 소규모로 분포하는데 현무암, 조면현무암, 조면암의 비율이 비슷한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분화구 위치에 따른 차이와 하부 조면암 용암이 분출할 당시의 해수면에 대한 지형적인 차이로 인해 각력암의 퇴적양상이 달라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미량원소 분석 결과에 의하면 동도 조면암편의 Ba와 Sr은 66-103 ppm, 45-56 ppm인 반면 서도 조면암편은 각각 785-1259 ppm, 466-1230 ppm을 보여 동, 서도의 차이가 인지된다. 이러한 차이는 동일층 내에서의 층위 차이 혹은 P, Ti의 함량 차이와 더불어 알칼리장석, 준장석류, 흑운모, 인회석 혹은 티탄철석의 정출이 차별적으로 진행된 암석학적 차이를 의미한다. 하지만 $(La/Yb)_N$값은 동도에서 23.9-40.2, 서도에서 27.4-32.9로 거의 같은 범위로 나타나고 LREE, HREE의 패턴으로 미루어 보아 동, 서도의 차이는 동원마그마 내의 부분적인 조성 차이임을 시사한다. Ba, K, Rb의 부화는 섭입시 변성교대작용에 의해서 발생한 유체와 맨틀 업웰링(mantle upwelling)에 기인한 마그마와 상호작용에 의해서 생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okdo Island, Korea, is located in the East Sea belonging to back arc basin. In this study we examined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massive tuffaceous breccia (MTB) from Dongdo (Eastern islet) and Seodo(Western islet), the two largest islands of Dokdo. Field studies and chemical analysis distingu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여러 가정들이 포함되어 있어 그 생성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독도 화산 생성당시의 분출물인 독도 괴상 응회질 각력암층에 내재되어 있는 화산암편의 암석과 광물의 조직, 주원소, 미량원소 화학조성변화 연구를 통해 해수면 하에서 괴상 응회질 각력암층의 형성 및 초기 독도 화산체의 진화경향을 유추하는 것으로서 이 연구는 독도 및 울릉분지 해산의 생성기작에 대한 기초자료로 이용되어 질 것이다.

가설 설정

  • (b) Acicular clinopyroxene phenocryst. (c) Biotite phenocryst having trachytic texture in which microphenocrysts of K-felspar are aligned to flow. (d) Anorthoclase phenocryst having trachytic texture composed of small aligned K-feldspar lath.
  • (b) Spherulitic texture of clinopyroxene. (c) Zoned K-feldspar twinned. (d) Glomerophyric texture in feldspathoid.
  • (e) Euhedral sanidine phenocryst. (f) Particular groundmass composed of feldspars represents extinc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러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된 독도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독도는 중국의 북동부와 동부 그리고 한반도의 백두산과 한라산 등에서 관찰되는 제4기의 화산활동과 함께 일본열도 동쪽을 따라 아시아 대륙 밑으로 들어가는 태평양판의 섭입작용과 연관된 것으로 해석되었으나(Kuno, 1959), 여러 연구에서 섭입작용과는 무관한 상부맨틀 플룸의 상승에 의해 생성된 화산으로 새롭게 제안되었다(Nakamura et al., 1989; Tastumoto and Nakamura 1991).
본 논문에서 수행한, 초기 독도 화산 생성당시의 분출물인 독도 괴상 응회질 각력암층에 내재되어 있는 화산암편의 암석과 광물의 조직, 주원소, 미량원소 화학조성변화 연구를 통해 해수면 하에서 괴상 응회질 각력암층의 형성 및 초기 독도 화산체의 진화경향을 유추한 결과는 어떠한가? 1. 동도의 괴상 응회질 각력암층은 주로 수평층리나 사층리가 잘 발달하지만 서도에서는 비교적 가파른 경사와 점이 또는 역점이 층리가 발달한다. 또한 동도에서는 현무암역과 조면현무암역이 우세하고, 조면암 및 스코리아 등도 있지만 서도는 현무암과 조면 현무암 그리고 조면암의 비율이 유사하다. 2. 괴상 응회질 각력암에서 암괴들의 반정으로 산출되는 광물은 주로 휘석, 사장석, 알칼리 장석, 흑운모, 류사이트, 네필린이며, 석기로는 라쓰상의 사장석과 단사휘석이 대부분이며 소량의 유리질 기질, 불투명 광물로 구성된다. 3. MgO 변화도에서 일반적인 화산암류의 분화과정을 잘 나타내고 있고, 분화과정의 모든 단계에서 이들을 함유한 대표적 부성분광물인 저어콘 등이 분화과정에 참여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4. 미량원소와 희토류 원소는 해양도 현무암(OIB)의 특징을 보여준다. 그런데 Ba, K, Rb와 Ba/Nb비가 부화된 특징은 OIB와는 다른 DUPAL 이상 OIB의 기원으로 추론된다. 5. 괴상 응회질 각력암층 화산쇄설물의 퇴적양상은 하부 조면암용암의 차별적인 지표 노출 및 분화구의 위치 차이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원소 Ba, Sr는 동도와 서도에서는 각각 상당한 변이 폭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데, 이는 알칼리장석, 준장석류, 흑운모, 인회석 등의 정출이 차별적으로 진행되었음을 암시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독도는 무엇과 연관된 것으로 해석되었는가? 독도는 중국의 북동부와 동부 그리고 한반도의 백두산과 한라산 등에서 관찰되는 제4기의 화산활동과 함께 일본열도 동쪽을 따라 아시아 대륙 밑으로 들어가는 태평양판의 섭입작용과 연관된 것으로 해석되었으나(Kuno, 1959), 여러 연구에서 섭입작용과는 무관한 상부맨틀 플룸의 상승에 의해 생성된 화산으로 새롭게 제안되었다(Nakamura et al., 1989; Tastumoto and Nakamura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규한, 2000, 독도 알칼리 화산암류의 K-Ar연대와 Nd-Sr조성. 지질학회지, 36, 313-324. 

  2. 김윤규, 이대성, 1983, 울릉도 북부 알카리 화산활동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광산지질, 16, 19-36. 

  3. 김윤규, 이대성, 이경호, 1987, 독도 화산암의 분별결정작용. 지질학회지, 23, 67-82. 

  4. 김창환, 박찬홍, 고영탁, 정의영, 곽준영, 유상훈, 민경덕, 2007, 중력 및 자력자료 분석에 의한 울릉분지 북동부 독도 및 주변 해산들의 형성연구. 자원환경지질, 40, 153-170. 

  5. 송용선, 박맹언, 박계헌, 2006, 울릉도와 독도 화산암의 생성연대 및 진화사. 암석학회지, 15, 72-80. 

  6. 이종익, 허순도, 이미정, 유찬민, 박병권, 김예동, 권문상, K. Nagao, 2002, 독도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특성과 지구화학. Ocean and Polar Research, 24, 465-482. 

  7. 황상구, 전영권, 2003, 독도 화산의 분출윤회와 화산형태. 자원환경지질, 36, 527-536. 

  8. Condie, K.C., 1993, Chemical composition and evolution of the upper continental crust: contrasting results from surface sample and shales. Chem. Geol., 104, 1-37. 

  9. Itoh, Y., 2001, A Miocene pull-apart deformation zone at the western margin of the Japan Sea back-arc basin: implications for the back-arc opening mode., 334, 235- 244. 

  10. Iwamori, H., 1991, Zonal Structure of Cenozoic Basalts Related to Mantle Upwelling in Southwest Japan. Journal of Geophysical Reaserch., 96, 6157-6170. 

  11. Jolivet, L and Tamaki, K., 1992. Neogene kinematics in the Japan Sea region and the volcanic activity of the Northeast Japan arc. Proc. ODP, Sci. Results., 127/128, 1311- 1331. 

  12. Kim, C.H., Park, C.H., Jeong. E.Y., Hwang, J.S. and Ko. Y.T., 2009, Evolution of the Dok Do seamounts, Ulleung Basin, East Sea: constraints based on the recdonstruction of virtual geomagnetic poles using paleomagnetic data. Geo-Mar Lett., 29, 161-169. 

  13. Kim, K.H., Nagao, K., Sumino, H., Tanaka, T., Hayashi, T., Nakamura, T. and Lee. J.I., 2008, He?Ar and Nd?Sr isotopic compositions of late Pleistocene felsic plutonic back arc basin rocks from Ulleungdo volcanic island,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genesis of young plutonic rocks in a back arc basin. Geochem. J., 253, 180-195. 

  14. Kim, K.H., Tanaka, T., Nagao, K. and Jang, S.K., 1999, Nd and Sr isotopes and K-Ar ages of the Ulreungdo alkali volcanic rocks in the East Sea, South Korea, Geochem. J., 33, 317-341. 

  15. Kuno, H., 1959, Origin of Cenozoic Petrographic Provinces of Japan and Surrounding Areas. Bull. Volcanol., 20, 37- 76. 

  16. Lee, Y.S., Nishimura, S. and Min, K.D., 1997, Paleomagneto tectonics of East Asia in the Proto-Tethys Ocean. Tectonophysics., 270, 157-166. 

  17. Le Maitre, R.W., Batenam P., Dudek, A., Keller, J., Lameyre, Le Bas M. J., Sabine P. A., Schmid, R., Sorensen H., Streckeisen, A., Woolley, A. R. and Zanettin, B., 1989, A classification of igneous rocks and glossary of terms - Recommendations of the IUGS Subcommission of the systematics of igneous rock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 Oxford., 193p. 

  18. Nakamura, E., Campbell I..H., McCulloch, M.T. and Sun, S.S., 1989, Chemical geodynamics in a back arc region around the Sea of Japan: Implications for the genesis of alkaline basalts in Japan, Korea, and China. J. Geophy. Res., 94, 4634-4654. 

  19. Rollinson, H.R., 1993, Using Geochemical Data: Evaluation, Presentation, Interpretation. Longman Scientific and Technical, 74p. 

  20. Shelley, D., 1992, Igneous and Metamorphic Rocks under the Microscope: Classification, Textures, Microsructures and Mineral Preferred-Orientations. Chapman & Hall., 445p. 

  21. Shultz, A.W., 1984, Subaerial debris-flow deposition in the Upper Paleozoic Cutler Formation, Western Colorado, J. Sedim. Petrol., 54, 759-772. 

  22. Sohn, Y.K., 1995, Geology of Tok Island, Korea: eruptive and depositional precesses of a shoaling to emergent island volcano. Bull. Volcanol., 56, 660-674 

  23. Sohn, Y.K. and Park, K,H., 1994, Geology and evolution of Tok Island, Korea. J. Geol Soc. Korea., 30, 242-261. 

  24. Sun, S.S., McDonough, W.F., 1989, Chemical and isotope systematics of oceanic basalts: implications for mantle composition and processes. In: Saunders A.D. and Norry M.J. (eds.), Magmatism in ocean basins. Geol. Soc. London. Spec. Pub., 42, 313-345. 

  25. Tamaki, K., Suyehiro, K., Allan, J., Ingle, J.C., Jr., Pisciotto, K.A., 1992. Tectonic synthesis and implications of Japan Sea ODP drilling. Proc. ODP, Sci. Results., 127/128, 1333-1348. 

  26. Tatsumi, Y. and Eggins, S., 1995, Subduction zone magmatism. blackwell science, Cambridge, MA., 112-139. 

  27. Tatsumoto, M. and Nakamura, Y., 1991, Dupal anomaly in the Sea of Japan: Pb, Nd and Sr isotopic variations at the eastern Eurasian continental margin.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55, 3697-3708. 

  28. Xu, S., Uto, K. and Kim, Y,K., 1998, K-Ar dating of volcanic rocks from Ulreung Island. Korea, Geochem J., 32, 117-1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