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형 소하천의 종단측량 표준간격 연구
Research on Standard Cross Sectional Survey Length of Cross-to-Nature Sanggachun Stream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8 no.3, 2010년, pp.347 - 352  

박승기 (국립공주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정남수 (국립공주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천 구조물의 안전이나 고유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하상변동 조사가 수행되고 있는데 농어촌에 산재하는 자연형 소하천의 경우 조사구간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형 소하천정비 시범사업을 통해 하상단면이 정비되고 이후이 변동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구간을 대상으로 세굴과 퇴적특성을 분석하고 변량분석(ANOVA)을 통하여 평균길이별 세굴 및 퇴적량의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판단하며 조사간격에 따른 표준편차 변화율을 바탕으로 적정한 종단측점 간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단면조사자료의 기술분석 결과 평균조사간격은 14.91m(min: 7.0m, max: 39m)였고, 평균 단면 변동량은 공사시행 1차년도인 2004년도, 공사시행 2차년도인 2005년도에 각각 $0.82m^2$(min: $-3.80m^2$, max: $8.11m^2$)와 $0.24m^2$ (min: $-5.25m^2$, max: $8.55m^2$)였다. 단면 변동량과 단면간 길이를 바탕으로 계산된 침퇴적량을 바탕으로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동질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15m, 30m, 45m, 60m에서 유사하였으나 75m와 90m에서는 다른 집단 특성을 나타내었다. 하상변동 조사 측점간 거리가 짧으면 경제적인 비용이 증가하고 측점 간의 거리가 길으면 하천변동특성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게 되므로 평균조사길이별 산정된 침퇴적량의 표준편차를 도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연형 소하천의 단면조사 길이를 50m로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is a lack of survey standard for cross-to-nature small stream.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cross sectional survey data of Sanggachun stream, calculated variant quantity of soil, and suggested a survey interval. Descriptive analysis of cross sectional survey data shows the trend of stabiliz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상가천 자연형소하천정비 시범사업(박승기, 2004)에서 10에서 30m 종단측점 간격으로 실시한 하상변동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구간의 세굴과 퇴적특성을 분석하고 변량분석(ANOVA)을 통하여 평균 길이별 세굴 및 퇴적량의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판단하며 조사간격에 따른 표준편차 변화율을 바탕으로 적정한 종단측점 간격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하상변동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세굴과 퇴적특성을 분석하고 변량분석(ANOVA)을 통하여 평균 길이별 세굴 및 퇴적량의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판단하고 조사간격에 따른 표준편차 변화율을 바탕으로 적정한 종단측점 간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b The group sizes are unequal. The harmonic mean of the group sizes is us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하천의 수문기상학적 특성은 무엇인가? 소하천의 지형학적 특성은 유역면적이 작고 경사가 급해 유속이 빠르며, 대부분 농어촌, 산간 지방에 분포해 있다. 소하천의 수문기상학적 특성은 강우량 분포가 평지부 보다도 산지부에서 훨씬 많고 국지성 집중호우에 지배되며 홍수도달시간이 30분 이내로 짧고 첨두유출량이 크다(심재현, 2007).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조사지점별 단면변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산란도 작성과 기술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구간별의 변화에 따른 세굴 및 퇴적량 산정량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정(Post-Hoc Test)을 실시하였다(강주희, 2007).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LSD, Bonferroni, Sidak, Tukey, Duncan, Dunnett Scheffe 등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Tukey와 Dunkan은 집단의 수가 같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고, Scheffe는 집단의 수가 다를 때 쓰도록 고안된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체 집단에서 단위 구간을 제외하는 방식으로 세굴 및 퇴적량을 산정하였으므로 Scheffe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Maxwell, 2004).
소하천의 하상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적인 요인 및 인위적인 요인은 각각 무엇인가? 소하천의 하상은 자연적인 요인과 인위적인 요인에 의하여 근본적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인위적 요인으로는 댐 축조, 웨어 축조, 하천단면의 변화, 교량건설 등 상류경계조건의 변화에 의한 홍수 유량과 토사공급의 감소와 하상골재채취 및 준설에 의한 하도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자연적인 요인으로는 이상 대홍수의 발생 또는 홍수가 발생하지 않는 무 홍수 기간이 일정기간 지속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강주희 (2007), SPSS프로그램을 활용한 따라하는 통계분석, 크라운출판사. pp. 48-52. 

  2. 건설교통부 (2002), 하도정비지침 -안전하상설계-, 건설교통부, pp. 1-50. 

  3. 국립방재원 (1999), 자연형 소하천 정비공법 개발, 행정 자치부, pp. 1-63. 

  4. 김기흥, 이형래 (2007), 소하천의 자연형하천 정비사업에 따른 교란 및 적응 평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제 10권 제 3호, pp.71-87. 

  5. 대전지방국토관리청 (2002), 금강수계 하천정비기본계획(금강, 갑천, 유등천, 미호천, 논산천, 노성천, 강경천), 건설교통부, pp. 17-18. 

  6. 박승기 (2004), 자연형 소하천 정비 시범사업, 한국관개배수 11(2). pp. 297-306. 

  7. 심재현 (2007), 자연형 소하천 정비공법 개발(IV), 국립방재연구소, pp. 1-3. 

  8. 우효섭 (2002), 하천수리학, 청문각. pp. 574-575. 

  9. 예산군 (2002), 소하천정비 종합계획 보고서(II - I , II - II ), 국립지리원, pp. 39-48. 

  10. 이석배, 최보용 (2007), RTK GPS에 의한 하천현황측량,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5권 제 3호, pp. 267-275. 

  11. 정순찬, 김태식, 지계환 (2006), 우리나라의 바람직한 하상변동조사 제안,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357-1361. 

  12. 한국수자원학회 (2009), 하천설계기준 해설, 한국수자원 학회, pp 130-135. 

  13. Maxwell, S. E. and Delaney, D. H. (2004), Designing Experiments and Analyzing Data: A Model Comparis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p. 217-2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