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흥 남성리 패류양식장의 지형 구조와 저서생물 현장 조사
Topographic Placement(Structure) and Macro Benthos Community in Winter for the Shellfish Farm of Namsung-ri, Goheung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16 no.2 = no.41, 2010년, pp.175 - 183  

조영현 (전라남도해양바이오연구원) ,  김윤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류청로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이경식 (전라남도해양바이오연구원) ,  이인태 (해양비전 21) ,  윤한삼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전수경 (전라남도해양바이오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갯벌 패류양식장의 구조물 설치 및 지형적 공간배치에 따른 저서생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고흥 남성리 양식장의 실제적인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남성리 갯벌양식장의 지반 경사는 약 $1^{\circ}$ 미만으로 매우 평탄하며, 육지로부터 약 150 m까지는 $\sqcup$형, 그 후는 $\sqcap$형 지반형태를 가진다. $\sqcup$형 지반은 간출시 해수를 가두고 $\sqcap$형 지반은 외해 유출을 가로막을 뿐만 아니라 내부인자로서 해수 유출 시간을 지연시키는 작용/영향을 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2) 양식장 구분 시설물로 설치된 굴 패각 망태 또는 사석의 축제 형식은 총 5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양식장 대기 노출 시간과 침수시간은 각각 181분과 434분이었다. (3) 수치실험결과로서 대상해역의 내습 심해파랑은 최대파고 약 0.5m로서 매우 정온한 해역특성을 가지며, 탁월 입사파향은 나로대교 하단부는 S방향, 갯벌양식장 인근은 SE, SSW, S방향으로 조사되었다. (4) 고흥 남성리 주변 해역의 입도분석결과, 퇴적물은 Gravel 0.0~5.81(평균 1.70)%, 모래 14.15~18.39(평균 13.23)%, 실트 27.59~47.15(평균 30.84)%, 점토 35.79~55.73(평균 36.19)%로 구성되어 있으며, Folk 분류법에 의해 (g)M, sM(Sandy mud), gM(Gravelly mud)로 분류되었다. (5) 2010년 1월 남성리 패류 양식장 저서생물 현황조사에서는 총 11종이 1%이상의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이 중 연체동물이 1종, 다모류가 8종, 갑각류가 2종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nderstand the variation of macro benthos communit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structure and topographic placement in the shellfish farm on tidal flat, the practical example of the tidal shellfish growing area at Namsung-ri Goheung was observ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or the field obs...

주제어

참고문헌 (14)

  1. 강미란, 임동일, 장풍국, 김기범, 강영실(2009), 서해 함평만에서 조위변화에 따른 영양염 변동,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12권, 제3호, pp. 202-208. 

  2. 김도희, 양재삼(2001), 곰소만에서의 오염물질 플럭스 및 탈질산화,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4권, 제4호, pp. 32-41. 

  3. 김도희, 이경선(2008a), 연안에서의 바지락 폐사 원인규명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 pp. 145-147. 

  4. 김종구, 유선재, 안욱성(2008b), 줄포만 갯벌의 입도특성 및 중금성 오염도 평가,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14권, 제4호, pp. 247-256. 

  5. 박종수, 김선용(2009), 곰소만에 서식하는 바지락의 성장,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pp. 230-236. 

  6. 송재희, 김치홍, 박성우, 유진하, 조영조(2008), 한국 서해 백합 Meretrix lusoria의 생물학적 활성요인의 계절성, 한국양식학회, 제21권, 제2호, pp. 111-122. 

  7. 원문성, 허성범(1993), 바지락의 비만도와 치패의 출현, 한국양식학회지, 제6권, 제3호, pp. 133-146. 

  8. 조홍연, 구본주(2008), 강화도 남단 조간대에서의 수온 및 염분 변동양상 분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제20권, pp. 310-320. 

  9. 최상(1965), 바지락 패각의 형태변이와 바지락의 장형, 단형의 형태적 특성에 관하여, 물식물회지, 제8권, pp. 1-7. 

  10. 한국해양연구원(2005), 전해역 심해설계파 추정보고서 II, pp. 229-238. 

  11. 해양수산부(2006),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pp. 270-271. 

  12. 해양수산부(2003), 노후 양식어장의 효율적 저질 개선 방안 연구, p. 321. 

  13. Knowles, N.(2002), Natural and management influences on freshwater inflows and salinity in the San francisco Estuary at monthly to interannual scales, Water Resour. Res., Vol. 38, p. 25. 

  14. Park, H. B.(2009), Sensitivity of Input Parameters in the Spectral Wave Model, 한국해양공학회지, Vol. 23, No. 2, pp. 28-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