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자간전증 태반에서의 Norepinephrine Transporter(NET) 발현
Expressions of Norepinephrine Transporter in Pre-eclamptic Placenta 원문보기

Development & reproduction = 발생과 생식, v.14 no.2, 2010년, pp.65 - 74  

나규환 (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  이현정 (차바이오앤디오스텍 CHA 줄기세포연구소) ,  정지은 (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  김기진 (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금까지 태반에서 monoamine들을 재 흡수할 수 있는 몇 가지 membrane transporter들이 발현됨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카테콜라민 트렌스포터(norepinephrine transporter, NET)의 발현과 부인과 질환을 포함한 태반 발달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보고된 것이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태반에서 NET의 발현을 동정하고, 그 기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상과 자간전증(preeclampsia) 태반에서 각각 NET 단백질을 동정하고, 영양막세포주인 HTR8-SV/neo 영양막 세포에 NET 유전자를 주입 후 그 기능을 분석하였다. NET 발현을 분석하고자 태반조직에서 다음과 같이 환자를 분류하여 semi-quantitative RT-PCR과 면역조직화학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만 고통이 없는 산모의 태반을 중심으로(none underwent labor): 1) 만기 정상 태반(term normal placenta)(n=15); 2) 만기 자간전증 태반(term with preeclamptic placenta)(n=15); 3) 중기 자간전증 태반(pre-term preeclamptic placenta)(n=11)을 수집하여, NET 발현을 RNA 수준에서 분석한 결과, mRNA 분석에서는 NET 유전자가 정상 태반 조직보다 자간전증 태반에서 낮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Western blot을 통한 NET 단백질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HTR8-SV/neo 영양막세포를 이용하여, NET 유전자의 기능을 알아보고자 NET 유전자의 플라스미드(a plasmid vector for NET gene)와 siRNA(NET gene-specific siRNA)을 HTR8-SV/neo 영양막 세포에 24시간 동안 각각 핵 내 주입하고, NET 유전자 발현에 따른 침윤은 NET 유전자를 증가시킨 경우 대조군보다 2.5배(p<0.05)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NET 유전자를 감소시킨 경우는 침윤능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또한 NET의 과도한 고발현 또는 저발현은 MMP-2와 MMP-9 발현과 활성을 저해하는 것이 관찰하였다. 따라서 자간전증에서 NET의 발현 감소는 영양막세포의 침윤능력을 억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들은 영양막세포의 침윤 기전뿐만 아니라 자간전증을 포함한 부인과 질환의 기초 연구에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acenta has been shown to be a site of expression of several of the monoamine membrane uptake transporters.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s of norepinephrine transporter (NET) and placental development including gynecological diseases is still unknown.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5). 이러한 보고들을 통하여 카테콜라민 트렌스포터인 NET의 발현 변화는 영양막세포의 침윤뿐 아니라 정상적인 태반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이 되어, 본 연구는 정상 태반과 자간전증 태반에서 NET 유전자의 발현과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고, 인간 영양막세포주(human extravilluos trophoblast cell line)인 HTR8-SV/neo cell를 이용하여 NET 유전자 발현 양상에 따른 영양막세포의 침윤 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NET 유전자 발현 조절에 따른 침윤관련 분비단백질인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와 -9의 발현 정도를 각각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보고들을 통하여 카테콜라민 트렌스포터인 NET의 발현 변화는 영양막세포의 침윤뿐 아니라 정상적인 태반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이 되어, 본 연구는 정상 태반과 자간전증 태반에서 NET 유전자의 발현과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고, 인간 영양막세포주(human extravilluos trophoblast cell line)인 HTR8-SV/neo cell를 이용하여 NET 유전자 발현 양상에 따른 영양막세포의 침윤 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NET 유전자 발현 조절에 따른 침윤관련 분비단백질인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와 -9의 발현 정도를 각각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Invasion analysis of HTR8-SV/neo cells depends on NET expression. (A) Invasion activity of HTR8-SV/neo cells with transfection depends on the concentration for pcDNANET. (B) Invasion activity of HTR8-SV/neo cells by the concentration of siRNA-NE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카테콜라민 트렌스포터의 주요 역할은 무엇인가? , 1996). 카테콜라민 트렌스포터(norepinephrine transporter, NET)은 뉴런(neuron)의 시냅스 막(synaptic membrane)에 존재하여 주로 노르에피네프린에 대해 재흡수(reuptake)를 하여 시냅스 기전 부위의 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Mao et al., 2004).
임신 중 자간전증 산모의 태반 내 카테콜라민 트렌스포터의 mRN발현량 농도 분석 결과는 무엇인가? , 2004). 본 연구 결과에서도 정상 태반과 자간전증 태반에서 NET mRNA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 탯줄 중심에 가까이 위치한 부분(center part)과 가장자리 부분(peripheral part) 모두 자간전증 태반에서 NET mRNA 발현량이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Fig. 1).
자간전증이란 무엇인가? 자간전증(preeclampsia)은 임신 중반 이후 산모에게서 나타나는 고혈압, 단백뇨, 그리고 부종 등을 통하여 진단되며, 이는 전체 임신부의 약 5% 이상의 발현빈도를 나타내는 산모와 신생아의 사망률이 높은 대표적인 고위험 산과 질환이다(Manyonda et al.,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derson EA, Sinkey CA, Lawton WJ, Mark AL (1989) Elevated sympathetic nerve activity in borderline hypertensive humans. Evidence from direct intraneural recordings. Hypertension 14:177-183. 

  2. Balkovetz DF, Tiruppathi C, Leibach FH, Mahesh VB, Ganapathy V (1989) Evidence for an imipramine-sensitive serotonin transporter in human placental brushborder membranes. J Biol Chem 264:2195-2198. 

  3. Benischke K, Kaufmann P (2000) Pathology of the human placenta. New York: Springer-Verlag. 

  4. Bottalico B, Larsson I, Brodszki J, Hernandez-Andrade E, Casslen B, Marsal K, Hansson SR (2004) Norepinephrine transporter (NET), serotonin transporter (SERT), vesicular monoamine transporter (VMAT2) and organic cation transporters (OCT1, 2 and EMT) in human placenta from pre-eclamptic and normotensive pregnancies. Placenta 25:518-529. 

  5. Brosens IA (1977)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uteroplacental bed in pregnancy hypertension. Clin Obstet Gynaecol 4:573-593. 

  6. Bzoskie L, Blount L, Kashiwai K, Tseng YT, Hay WW, Jr., Padbury JF (1995) Placental norepinephrine clearance: In vivo measurement and physiological role. Am J Physiol 269:E145-149. 

  7. Cudihy D, Lee RV (2009) The pathophysiology of pre-eclampsia: Current clinical concepts. J Obstet Gynaecol 29:576-582. 

  8. Dekker GA, Sibai BM (1998) Etiology and pathogenesis of preeclampsia: Current concepts. Am J Obstet Gynecol 179:1359-1375. 

  9. Ganapathy V, Ramamoorthy S, Leibach FH (1993) Transport and metabolism of monoamines in the human placenta. Placenta 14:35-51. 

  10. Granger JP, Alexander BT, Bennett WA, Khalil RA (2001) Pathophysiology of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Am J Hypertens 14:178S-185S. 

  11. Hayer-Zillgen M, Bruss M, Bonisch H (2002) Expression and pharmacological profile of the human organic cation transporters hOCT1, hOCT2 and hOCT3. Br J Pharmacol 136:829-836. 

  12. Ilekis JV, Reddy UM, Roberts JM (2007) Preeclampsia--a pressing problem: an executive summary of a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workshop. Reprod Sci 14:508-523. 

  13. Jayanthi LD, Prasad PD, Ramamoorthy S, Mahesh VB, Leibach FH, Ganapathy V (1993) Sodium- and chloride-dependent, cocaine-sensitive, high-affinity binding of nisoxetine to the human placental norepinephrine transporter. Biochemistry 32:12178-12185. 

  14. Jeschke U, Schiessl B, Mylonas I, Kunze S, Kuhn C, Schulze S, Friese K, Mayr D (2006) Expression of the proliferation marker Ki-67 and of p53 tumor protein in trophoblastic tissue of preeclamptic, HELLP, and intrauterine growth-restricted pregnancies. Int J Gynecol Pathol 25:354-360. 

  15. Klimek V, Stockmeier C, Overholser J, Meltzer HY, Kalka S, Dilley G, Ordway GA (1997) Reduced levels of norepinephrine transporters in the locus coeruleus in major depression. J Neurosci 17:8451-8458. 

  16. Knofler M (2010) Critical growth factors and signalling pathways controlling human trophoblast invasion. Int J Dev Biol 54:269-280. 

  17. Manyonda IT, Slater DM, Fenske C, Hole D, Choy MY, Wilson C (1998) A role for noradrenaline in pre-eclampsia: Towards a unifying hypothesis for the pathophysiology. Br J Obstet Gynaecol 105:641-648. 

  18. Mao W, Iwai C, Qin F, Liang CS (2005) Norepinephrine induces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and downregulation of norepinephrine transporter density in PC12 cells via oxidative stress. Am J Physiol Heart Circ Physiol 288:H2381-2389. 

  19. Mao W, Qin F, Iwai C, Vulapalli R, Keng PC, Liang CS (2004) Extracellular norepinephrine reduces neuronal uptake of norepinephrine by oxidative stress in PC12 cells. Am J Physiol Heart Circ Physiol 287:H29-39. 

  20. Melikian HE, Ramamoorthy S, Tate CG, Blakely RD (1996) Inability to N-glycosylate the human norepinephrine transporter reduces protein stability, surface trafficking, and transport activity but not ligand recog nition. Mol Pharmacol 50:266-276. 

  21. Moore KL, Persaud TVN (2008) The developing humanclinically orientated embryology. Potland (OR): Elsvier Saunders. 

  22. Prasad PD, Hoffmans BJ, Moe AJ, Smith CH, Leibach FH, Ganapathy V (1996) Functional expression of the plasma membrane serotonin transporter but not the vesicular monoamine transporter in human placental trophoblasts and choriocarcinoma cells. Placenta 17:201-207. 

  23. Ramamoorthy S, Prasad PD, Kulanthaivel P, Leibach FH, Blakely RD, Ganapathy V (1993) Expression of a cocaine-sensitive norepinephrine transporter in the humanplacental syncytiotrophoblast. Biochemistry 32:1346-1353. 

  24. Roberts JM, Cooper DW (2001) Pathogenesis and genetics of pre-eclampsia. Lancet 357:53-56. 

  25. Roberts JM, Taylor RN, Musci TJ, Rodgers GM, Hubel CA, McLaughlin MK (1989) Preeclampsia: an endothelial cell disorder. Am J Obstet Gynecol 161:1200-1204. 

  26. Roberts JM, Von Versen-Hoeynck F (2007) Maternal fetal/placental interactions and abnormal pregnancy outcomes. Hypertension 49:15-16. 

  27. Schobel HP, Fischer T, Heuszer K, Geiger H, Schmieder RE (1996) Preeclampsia -- a state of sympathetic overactivity. N Engl J Med 335:1480-148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