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TAW에 의한 스테인리스강 용접부위의 부식특성에 관한 전기화학적 평가
An Electrochemical Evaluation on Corrosion Properties of Welding Zone of Stainless Steel by GTAW 원문보기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34 no.5, 2010년, pp.678 - 685  

문경만 (한국해양대학교 공과대학 조선기자재공학부) ,  이규환 (한국해양수산연수원 운항훈련처) ,  김진경 (한국해양수산연수원 교육연구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S304와 22APU 스테인리스강가스 텅스텐 아크용접을 하였다. 이 경우 두 강의 용접부의 부식특성을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STS304 용접금속의 경도(Hv-250)는 22APU 강(Hv-217)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22APU의 용접금속과 STS 304의 열영향부의 부식전류 밀도는 다른 용접부위와 비교하여 각각 높은 값이 관찰 되었으며, 이것은 예민화 온도 영역에 있는 STS 304의 열영향부와 22APU의 용접금속에 형성된 크롬탄화물로 크롬결핍이 더욱 활성태의 양극으로 쉽게 부식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이들 두 강의 용접금속과 열영향부는 크롬결핍상태에 있는 입자 사이 경계의 선택부식으로 입계부식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다른 용접방법의 적용이나 적절한 용접봉 사용은 두 강의 용접부에 대한 내식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TAW was carried out to the austenitic 304(STS 304) and 22 APU stainless steels. In this case, difference of the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welded zone with STS 304 and 22APU mentioned above was investigated with electrochemical methods. Vickers hardness of weld metal in case of STS 304 (Hv-250)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크롬-니켈계 스테인리스강인 STS 304와 크롬계 스테인리스강인 22APU를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 즉, GTAW(Gas Tungsten Arc Welding)를 실시하여 각 용접부의 부식특성을 전기화학적으로 비교 고찰하여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각종 스테인리스강 구조물의 용접부에 대한 부식억제를 위해서 GTAW의 적합성 여부와 최적 용접방법 및 용접 재료의 선택과 사용에 유익한 참고 자료가 되리라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2APU 및 STS 304 스테인리스강에 대해 GTAW를 실시한 후 용접부위에 대한 내식성을 평가하여 내린 결론은? 1. 22APU와 STS 304의 시험편에 대해 GTAW를 실시한 결과 용접부위 중 용접금속의 경도가 모두 제일 높게 나타났으며, STS 304의 경우 용접열영향부 그리고 22APU는 모재의 경도가 각각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22APU 용접부위 중 용접금속의 내식성이 가장 좋지 않았으며 모재가 내식성이 가장 우수하였고, STS 304의 경우에는 용접열영향부의 내식성이 가장 나쁘고 용접금속의 내식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각 시험편의 모재에는 모두 입계부식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22APU의 용접금속과 STS 304의 용접열영향부에는 입계부식이 상대적으로 심하게 나타났다. 4. 결과적으로 용접부위의 입계부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두 강 모두 용체화처리가 필요하며, 특히 22APU 스테인리스강은 용접방법과 용접재료의 선택 그리고 STS 304는 용접방법 선택 등에 대한 적절한 대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육해상용 구조물과 설비의 재료로는 대부분 무엇이 사용되고 있는가? 육해상용 구조물과 설비의 재료는 철강 재료가 대부분이며, 이들 강구조물 등은 70~80%가 용접으로 제작되어 사용되어 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접의 중요성은 널리 인지되어 왔으며 강의 용접에 관한 용접부위의 물리적, 기계적 성질의 변화에 관한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1-4].
케미컬 탱커의 화물 탱크는 내식성을 증대하기 위해 무슨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가? 그런데 최근 원자력산업 및 석유화학산업 등의 발전과 케미컬 탱커의 화물 탱크 제작용 재료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케미컬 탱커의 화물 탱크는 내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사용하거나 혹은 클래드(clad) 강판을 사용하기도 하며, 가혹한 부식 환경이나 연료전지의 극판 등에는 크롬계 스테인리스강을 용접하여 제작함으로써 내식성을 증대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스테인리스강의 구조물 제작을 위한 용접에서 용접부위의 예민화 현상에 따른 크롬결핍으로 인한 입계부식에 대한 연구와 억제방법도 많이 보고되고 있다[9-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진경, 강명신, 김영식, "선박용 디젤기관의 주철 부품 보수 용접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0권, 제2호, pp. 41-45, 2006. 

  2. 안석환, 정정환, 남기우, "용접 열사이클 재현 에 의한 SS400강 및 STS304강의 특성평가", 한국해양공학회지, 제19권, 제4호, pp. 64-71 2005. 

  3. S. K. Jang and J. I. Jeon, "Wedability of A1 7075 alloy according to different tools and welding conditions by F.S.W.",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30, no.1, pp. 30-41, 2006. 

  4. J. D. Kim, B. L. Kil and C. J. Lee, "The weldability of haminated stator core for motor by pulsed Nd:YAG laser [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30, no. 5, pp. 629-635, 2006. 

  5. P. D. Bilmes, C. L. Liorente, Saire Huaman, L. M. Gassa and C. A. Gervasi, "Microstructure and Pitting Corrosion of 13CrNiMo weld metal", corrosion science, vol. 48, pp. 3261-3270, 2006. 

  6. I. H. Lo, M. C. Lee, K. Y. Lim, W. Ho, G. C. Y. Yang and W. T. Tsai,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pitting corrosion behavior of 347SS weld overlay", Corrosio science and technology, vol. 31, no. 5, pp. 361-367, 2002. 

  7. K. M. Moom, M. H. Lee, K. J. Kim, J. G. Kim and S. J. Kim, "A study on the post-weld heat treatment effect to mechanical properties and hydrogen embrittlement for heating Aaf fected zone of a RE36 Steel", Corrosio science and technology, vol. 2, no. 6, pp. 283-288, 2003. 

  8. V. S. Raja, S. K. Vershney, R. Raman and S. D. Kulkarni, "Influence of Nitrogen on the pitting corrosion behavior of 904L weld Clad", Corrosion Science, vol. 40, no.10, pp. 1609-1625, 1998. 

  9. T. M. Devine, "The mechanism of sensitization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Corrosion Science, vol. 30, no. 23, p. 135. 1990. 

  10. I. Hiroshi, "Study of weld decay in SUS 304", Journal of Japanese Welding Society, vol. 47, no. 3, pp. 153. 1978. 

  11. F. Nubuo, "Effect of thermal cycles on corrosion resistance in a Type 304 stainless steel", Journal of Japanese Welding Society, vol. 33, no. 1, pp. 55. 1964. 

  12. 이학렬, 금속부식공학, 연경문화사, pp. 116-119, 1991. 

  13. 전대희, 부식과 방식의 관리, 일중사, pp. 294-298, 1985. 

  14. 신민교, 기계공작법, 아성출판사, pp. 242-245, 1987. 

  15. 김진경, 조황래, 이명훈, 김윤해, 문경만, "5% 황산 용액에서 배기벨브 보수 용접부의 부식 특성에 미치는 용접방법과 용접봉의 영향",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제31권, 제6호, pp. 744-752, 2007. 

  16. D. A. Jones, Principles and Prevention of Corrosion, Prentice-Hall, Inc., pp. 314, 1998. 

  17. 전대희, 부식과 방식의 관리, 일중사, pp. 551-554,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