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magnetic wave propagation in power transformer. A transformer which is similar to 154 kV single phase on-site transformer unit wa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The 12 dielectric windows on the transformer enclosure to install UHF (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UHF 전자기파 신호가 전력용변압기 내에서 전파하는 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규명함으로써 결함위치 추정분야 기술진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변압기의 결함 종류를 식별하는 기술은 무엇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가? 센서기술의 경우 변압기 외함에 센서 장착용 창 (window)을 이용하거나 변압기 보수용 밸브, 맨홀 등을 이용하여 센서를 장착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며, 센서의 장착위치 제한 때문에 센서 감도를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나 변압기의 구조가 갖는 밀폐특성 때문에 상당 수준 만족스런 감도를 얻을 수 있다 [7,8]. 결함 종류를 식별하는 기술의 경우 지금까지 여러 학자들이 절연물 표면방전, 절연부 공극결함, 돌출전극에 의한 코로나 방전결함, 부유전극 (floating electrode)결함, 도체간 접속불량을 주로 PRPD (phase resolved partial discharge)와 같은 인가전압 위상을 기준으로 분석해 온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9-14].
UHF 부분방전 기술을 전력용 변압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요소기술이 함께 개발되어야 하는가? UHF 부분방전 기술을 전력용 변압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GIS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러 분야의 기술이 함께 개발되어야 한다. 이들 요소기술은 센서설계 및 제작, 센서 배치, 결함위치 추정, 결함종류 식별, 잡음처리 기술을 포함하여 신호취득 및 처리와 같은 감시시스템의 설계 및 제조기술 등으로 구성된다. 변압기는 주요 절연 매질이 절연유이고 기기 외함구조가 육면체 형태인 3차원 구조인데다, 센서 장착 가능위치가 제한적이라든가 결함 존재위치가 매우 복잡한 형태를 갖는 코일이라는 점 등에서 GIS와 비교할 때 기술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
변압기가 GIS와 비교할 때 기술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이들 요소기술은 센서설계 및 제작, 센서 배치, 결함위치 추정, 결함종류 식별, 잡음처리 기술을 포함하여 신호취득 및 처리와 같은 감시시스템의 설계 및 제조기술 등으로 구성된다. 변압기는 주요 절연 매질이 절연유이고 기기 외함구조가 육면체 형태인 3차원 구조인데다, 센서 장착 가능위치가 제한적이라든가 결함 존재위치가 매우 복잡한 형태를 갖는 코일이라는 점 등에서 GIS와 비교할 때 기술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 센서기술의 경우 변압기 외함에 센서 장착용 창 (window)을 이용하거나 변압기 보수용 밸브, 맨홀 등을 이용하여 센서를 장착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며, 센서의 장착위치 제한 때문에 센서 감도를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나 변압기의 구조가 갖는 밀폐특성 때문에 상당 수준 만족스런 감도를 얻을 수 있다 [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P. Werle, H. Borsi and E. Gockenbach,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ical Insulation (IEEE, MA, USA, 2002). p. 166. 

  2. E. Gockenbach, 2004 Annual Report Conference on Electrical Insulation and Dielectric Phenomena (CEIDP '04) (IEEE, 2004) p. 466. 

  3. Z. B. Shen and E. F. El-Saadany, IEEE Power Engineering Society General Meeting 2006 (IEEE, Montreal, Canada, 2006) p. 6. 

  4. J. Fuhr, IEEE Trans. Dielectr. Electr. Insul. 12, 1005 (2005). 

  5. H. Xiaoyun, L. Yifeng, and L. Yi,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Dielectric Materials (IEEE, Xian, China, 2000) p. 753. 

  6. M. Homaei and A. Mazhab Jafar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dition Monitoring and Diagnosis 2008 (CMD 2008) (CMD, Beijing, China, 2008) p. 923. 

  7. A. M. Jafari and A. Akbari, IEEE Trans. Dielectr. Electr. Insul. 15, 1174 (2008). 

  8. P. Agoris, S. Meijer, J. J. Smit, and Lopez-Roldan,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Dielectric Materials (Bali, 2006) p. 230. 

  9. P. Agoris, P. Cichecki, S. Meijer, and J. J. Smit, IEEE Lausanne Power Tech. (IEEE, Lausanne, Swiss, 2007) p. 2070. 

  10. F. Massingue, S. Meijer, P. D. Agoris, J. J. Smit, J. Lopez-Roldan, Conference Record of the 2006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ical Insulation, 2006 (IEEE, Toronto, Canada, 2006) p. 542. 

  11. G. P. Cleary and M. D. Judd, IEE Proc.-Sci. Meas. Technol. 153, 47 (2006). 

  12. D. Aschenbrenner, H.-G. Kranz, IEEE Trans. Dielectr. Electr. Insul. 12, 216 (2005). 

  13. J.-Y. Yoon, H.-J. Ju, S.-G. Goo, and K. Park, J. KIEEME 22, 879 (2009). 

  14. R. A. Jongen, P. Morshuis, S. Meijer, and J. J. Smit, Annual Report Conference on Electrical Insulation and Dielectric Phenomena 2005 (CEIDP '05) (IEEE, TN, USA, 2005) p. 565. 

  15. Z. Tang, C. Li, X. Huang, Z. Li, and S. Fu, Annual Report Conference on Electrical Insulation and Dielectric Phenomena 2004 (CEIDP '04) (IEEE, 2004) p. 477. 

  16. L. X. Zhou and W. G. Li, 1st IEEE Conference on Industrial Electronics and Applications 1, 615 (2006). 

  17. Z. B. Shen and E. F. Ei-Saadany, 2006 Power Engineering Society General Meeting 1, 2660 (2006). 

  18. J. G. Yang, D. J. Li, J. Li, P. Yuan, and Y. M. L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dition Monitoring and Diagnosis 2008 (CMD 2008) (CMD, Beijing, China, 2008) p. 1088. 

  19. H. J. Ju, S. G. Goo, K. J. Park, K. S. Han, and J. Y. Yoon, Trans. KIEE 57P, 56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