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섬유와 PVA 섬유로 하이브리드 보강된 콘크리트의 슬럼프 및 역학적 특성
Slump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ybrid Steel-PVA Fiber Reinforced Concrete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2 no.5, 2010년, pp.651 - 658  

양근혁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콘크리트의 슬럼프와 역학적특성에 대한 마이크로 섬유와 매크로 섬유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강섬유와 PVA 섬유로 하이브리드 보강된 콘크리트 16배합과 무보강 콘크리트 1배합을 실험하였다. 주요 변수는 강섬유와 PVA 섬유의 체적비 및 길이이다.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역학적특성들은 섬유보강지수에 따라 분석되었으며, 강섬유 또는 PVA 섬유만으로 보강된 콘크리트와 비교하였다.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섬유 체적비와 형상비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으며, 할렬인장강도, 파괴계수, 탄성계수 및 휨 인성지수는 섬유보강지수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단일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섬유체적비에 비해 낮은 체적비를 갖는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파괴계수와 휨인성지수는 단일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비해 높았다.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 인성 향상을 위해서는 30 mm와 60 mm 길이의 강섬유를 함께 사용하는 것보다는 60 mm 강섬유만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xteen concrete mixes reinforced with hybrid steel-polybinyl alcohol (PVA) fibers and a control concrete mix with no fiber were tes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icro and macro fibers on the slump and different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Main variables investigated were length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강섬유와 PVA섬유를 하이브리드 혼입한 콘크리트의 초기 슬럼프 및 역학적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7배합을 실험하였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할렬인장강도, 파괴계수, 탄성계수, 응력-변형률 관계 및 휨 하중-변위 관계 등을 측정하였으며, 하중-변위관계로부터 인성지수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VA섬유의 특징은? PVA섬유는 수산기를 갖는 친수성 재료로서 시멘트 메트릭스와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분산성이 뛰어나며 직경이 15 µm 이하인 미세(micro) 합성 단섬유이다. PVA섬유의 인장강도는 Table 2에 나타낸바와 같이 1,200 MPa이 넘는 고강도이다.
강섬유의 특징은? 8,9) Lawler10)는 재료특성이 다른 섬유의 하이브리드는 콘크리트 강도와 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효과적이며, 길이가 다른 섬유의 하이브리드는 미세균열(microcrack)과 거시균열(macrocrack)제어에 효과적임을 보였다. 한편 강섬유는 건설산업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섬유로서 비록 콘크리트 유동성을 저하시키지만 강도와 연성향상에 매우 효과적이다.11,12) 폴리비닐 알코올(polybinyl alcohol, PVA) 섬유는 친수성 재료로서 강섬유에 비해 콘크리트 유동성 저하가 심하지 않으며 강성이 낮아 콘크리트 배합 시 분산성이 좋고 미세균열 제어에 효과적이다.
PVA섬유와 강섬유의 체적비가 0.65% 이하인 보통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역학적 특성에 대한 실험으로부터 결과는? 1)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상대슬럼프는 섬유체적비와 형상비의 곱인 등가 섬유비가 증가할수록 감소였다. 동일 등가 섬유비의 경우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단일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비해 높았다. 2)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상대압축강도는 섬유체적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섬유길이가 짧을수록 높았다.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증가기울기는 강섬유로 단일 보강된 콘크리트에 비해 컸는데,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무보강 콘크리트에 비해 6~31% 증가하였다. 3)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거듭제곱근에 대한 할렬인장강도 비(#)는 섬유보강지수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는데, 섬유보강지수가 2.5 이상일 때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는 섬유체적비가 낮더라도 단일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4)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거듭제곱근에 대한 파괴계수 비( fr / )는 섬유보강지수가 1.5 이상일 때 섬유보강지수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특히 전체 섬유체적비가 0.65%인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fr/ 는 체적비 1.02%인 단일 강섬유보강콘크리트와 비슷하였다. 5)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는 PVA섬유보다는 강섬유 체적비와 길이에 더 큰 영향을 받았는데, 강섬유 체적비와 길이가 클수록 최대응력 시 변형률이 증가하고 최대응력 이후 하강기울기도 완만하였다. 6)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 연성은 섬유보강지수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데, 강섬유의 길이가 길수록 그리고 30 mm와 60 mm 강섬유의 혼용보다는 60 mm 강섬유만을 이용하는 것이 연성향상에 유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CI Committee 544, “Fiber Reinforced Concrete,” ACI Special Publication SP-81, American Concrete Institute, 1984. 

  2. Snyder, M. L. and Lankard, D. R., “Factors Affecting the Strength of Steel Fibrous Concrete,” ACI Journal, Proceedings, Vol. 69, No. 2, 1972, pp. 96-100. 

  3. Shah, S. P., Ludirdja, D., Daniel, J. I., and Mobasher, B., “Toughness-Durability of Glass Fiber Reinforced Concrete Systems,” ACI Materials Journal, Vol. 85, No. 5, 1988, pp. 352-360. 

  4. Balaguru, P. and Shah, S.,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s,” McGraw Hill, 1992. 

  5. 철근콘크리트분과위원회, 섬유보강콘크리트, 기술보고서 ATR 97-2, 대한건축학회, 1997. 

  6. Quan, C. X. and Stroeven, P., “Fracture Properties of Concrete Reinforced with Steel-Polypropylene Hybrid Fibre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22, No. 4, 2000, pp. 343-353. 

  7. Ahmed, S. F. U. and maalej, M., “Tensile Strain Hardening Behaviour of Hybrid Steel-Polyethylene Fibre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3, No. 1, 2009, pp. 96-106. 

  8. 원종필, 박찬기,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특성 및 적용,” 콘크리트학회지, 18권, 1호, 2006, pp. 22-27. 

  9. Yao, U., Li, J., and Wu, K., “Mechanical Properties of Hybrid Fiber-Reinforced Concrete at Low Fiber Fraction,”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3, No. 1, 2003, pp. 27-30. 

  10. Lawler, J. S., “Hybrid Fiber Reinforcement in Mortar and Concrete,” Ph.D Thesis,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Northwestern University, USA, 2001. 

  11. Johnston, C. D., “Steel Fibre Reinforced Mortar and Concrete-A Review of Mechanical Properties,” Fiber Reinforced Concrete, SP-44, ACI, 1974, pp. 127-142. 

  12. Song, P. S. and Hwang, S.,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8, No. 9, 2004, pp. 669-673. 

  13. Arisoy, B. and Wu, H. C., “Material Characteristics of High Performance Lightweight Concrete Reinforced with PVA,”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2, No. 4, 2008, pp. 635-645. 

  14. 김무한, 김재환, 김용로, 김영덕, “마이크로 및 매크로 섬유에 의해 보강된 고인성 시멘트 복합재료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7권, 2 

  15. 양근혁, 오승진,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역학적특성에 대한 섬유체적비와 길이의 영향,”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8권, 1호, 2008, pp. 43-48. 

  16. 한국공업표준협회, KS 규준안: KS F 2405, KS F 2423, KS F 2408, 2006. 

  17. ASTM C1018, Standard Method for Flexural Toughness and First-Crack Strength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using beam with third-point loading),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2006. 

  18. ACI Committee 318,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08) and Commentary (ACI 318R-08), American Concrete Institute, 2008. 

  19. Hannant, D. J., Fibre Cements and Fibre Concrete, John Wiley & Sons, UK, 1978. 

  20. Beaudoin, J. J., Handbook of Fiber-Reinforced Concrete: Principles, Properties,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Noyes Publications, 1990. 

  21. Visalvanich, K. and Naaman, A. E., “Fracture Model for Fiber Reinforced Concrete,” ACI Journal, Vol. 80, No. 2, 1983, pp. 128-138. 

  22. Oluokun, F. A., “Prediction of Concrete Tensile Strength from its Compressive Strength: Evaluation of Existing Relations for Normal Weight Concrete,” ACI Materials Journal, Vol. 88, No. 3, 1991, pp. 302-309. 

  23. Xu, G., Magnani, S., and Hannant, D. J., “Tensile Behavior of Fiber-Cement Hybrid Composites Containing Polyvinyl Alcohol Fiber Yarns,” ACI Materials Journal, Vol. 95, No. 6, 1998, pp. 667-6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