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정식 메디아법을 이용한 선박의 오폐수 처리
Ship Sewage Treatment Using Fixed Media Method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13 no.2, 2010년, pp.99 - 104  

한상화 ((주)광산 기술연구소) ,  이대호 ((주)광산 기술연구소) ,  강부녕 ((주)광산 기술연구소) ,  배상범 ((주)광산 기술연구소) ,  윤종문 ((주)광산 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선박에서 발생되는 오폐수를 시중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Poly Propylene를 이용한 고정식 메디아법의 처리효과를 검증하고, MLTM 및 IMO의 MEPC에서 규정하는 2010년 1월 1일 이후 선박에 설치되는 선박분뇨처리 장치의 처리수의 처리 기준에 적합하고 현장에 적용 가능한 선박분뇨처리장치를 Pilot Scale을 통해 개발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배출수의 pH 기하평균은 7.68이고, $BOD_5$ 기하평균은 7.28 mg/l, $COD_{cr}$ 기하평균은 48.39 mg/l, TSS 기하평균은 18.00 mg/l, 잔류염소 기하평균은 0.19 mg/l, 분원성 대장균 기하평균은 1 cells/100 ml로 측정되었다. 각 항목별 처리효율은 $BOD_5$ 97.4%, $COD_{cr}$ 96.4%, TSS 97.6%로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났으며, 개발한 선박분뇨처리 장치는 국토해양부 및 MEPC의 해양오염방지설비 성능시험 규정에 적합한 제품으로 판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ewage Treatment Plant that treat sewage which occurred in ship using fixed media method and to consider applicable to the Pilot Scale device of the STP regulations in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MEPC(Marine Environment Protec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선박분뇨처리장치의 개정 규정에 맞추어 플라스틱 메디아를 이용하여 선박에서 발생하는 오폐수의 처리효과를 검증하고, 국토해양부 및 MEPC 기준에 적합한 선박분뇨처리장치 개발을 위하여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Pilot Scale의 선박 분뇨처리장치를 개발하였다. 국토해양부 및 MEPC에서 규정하는 선박분뇨처리장치를 개발하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선박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에 대해 시중에서 쉽게 구입이 가능한 Poly Propylene 메디아를 이용한 고정식 메디아법의 처리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Poly Propylene 메디아를 이용하여 국토해양부 및 IMO의 MEPC에서 규정하는 2010년 1월 1일 이후 선박에 설치되는 선박분뇨처리장치의 처리수 처리 기준에 적합한 현장(선박)에 적용 가능한 선박분뇨처리장치를 Pilot Scale로 제작하여 개발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 폭기조내의 미생물 안정화는 DO, pH, MLSS농도, 온도 등 여러 요소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본 연구에서는 접촉산화법의 미생물 안정화를 판단하기 위하여 폭기조의 MLSS(Mixed Liquor Suspended Solid) 농도가 1500 mg/l~2000 mg/l되었을 때 본 시험을 진행하였다(이 등, 200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정식 메디아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정식 메디아법(Fixed Media Method)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고정식 메디아법의 장점은 원하는 미생물을 우점종화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높은 처리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폭기조의 유효미생물이 담체에 고정화 되기 때문에 유효 미생물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며, pH나 온도, 유기물 부하변동에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Kang, 1998; Kornegay et al., 1968, Sen et al.
활성슬러지 공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기존에는(2010년 이전까지는) 선박용 분뇨처리장치 처리공법으로 활성슬러지법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장치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활성슬러지 공정은 폭기조의 미생물 농도가 낮게 유지되기 때문에 유입수 부하변동에 대한 적응성이 낮으며, 슬러지와 처리수를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침전조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넓은 설치 면적이 요구되고, 폭기조 내 잉여슬러지가 많이 발생하여 잦은 청소가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손 등, 2000; Hegemann, 1984; Focht et al., 1975).
활성슬러지 공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가 진행 중인 방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정식 메디아법(Fixed Media Method)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고정식 메디아법의 장점은 원하는 미생물을 우점종화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높은 처리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폭기조의 유효미생물이 담체에 고정화 되기 때문에 유효 미생물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며, pH나 온도, 유기물 부하변동에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Kang, 1998; Kornegay et al., 1968, S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국토해양부 해양오염방지설비 형식승인을 위한 성능시험 및 검정기준 고시 제2008-191호(2008.5.26) 

  2. 김인수, 2008, 해양환경보전을 위한 국제동향과 대책. 대한설비공학회, 설비저널 제37권, 제5호 5월호. 

  3. 박상호, 김인수, 2006, 선박 기인 오염물의 처리동향 및 대책, 해양환경안전학회 추계학술발표회. 

  4. 손경호, 이상락, 안정제, 권윤정, 정태영, 2000, 담체설치가 고질소함유 양돈폐수의 호기발효에 미치는 영향, 축산시설환경학회, 6(2) 65-72. 

  5. 손창규, 이춘우, 김태분, 박순길, 전찬준, 이창일, 박자영, 송성복, 허 완, 2008, 경북북부지역 먹는물에서 분리된 대장균군의 향균제 및 염소소독제 감수성, 환경위생공학, 제 23권 2호. 

  6. 이규성, 이수구, 조웅현, 안준수, 박주량, 김재건, 2001, 수처리공학, 형설출판사. 

  7. 임성문, 2000, 담체를 이용한 질산화 공정에서 유기물 부하가 미치는 영향,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환경공학과 석사학위논문. 

  8. 정형근, 차기철, 1998, 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을 위한 On-Line 측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제7권(제2호), 203-208. 

  9. 조선협회, 2009, 제 248호(12.8). 

  10. APHA, 200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th Edition,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1. US EPA 1603, 2006, United states enviromental protection agency. 

  12. Focht, D.D. and Chang, A.C., 1975,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Processes related Wastewater Treatment, Adv, Appl, Microbial, 19, 153-186. 

  13. Hegemann, W., 1984, A Combination of the Activated Sludge Process with Fixed Film Biomass to increase the Capacity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Wat. Sci. Tech., 16, 119-130. 

  14. IMO MARPOL 73/78(1973, 1978), Annex,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pollution from ships. 

  15. IMO, 2006, Resolution MEPC.159(55), Revised guidelines on implementation of efflu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tests for sewage treatment plants. 

  16. ISO 15705, 2002, Water quality-Determination of chemical demand index(ST-COD)-Small-scale sealed-tube method. 

  17. Kang, 1998, Assessment of Anaerobic Pretreatment of Swine Wastewater for the Subsequent Nitrogen and Phosphorous Removal by UASB Process, J Korea Solid Wastes Engineering Society, 15(5), 439-447. 

  18. Kornegay, B.H. and Andrews, J.F., 1968, Kinetics of Fixed Film Biological Reactor, J, WPCF, 40(11), 460-468. 

  19. Sen, D. and Randall, C.W., 1994, Performance of fixed film media integrated in the activated sludge reactor to enhance nitrogen removal. Wat. Sci. Tech., 30(11), 13-2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