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흉선종에 대한 방사선치료 성적 및 예후인자분석
Analysis of the Radiation Therapy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of Thymoma 원문보기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ei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v.28 no.1, 2010년, pp.1 - 8  

이석호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길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이규찬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길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최진호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길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이재익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길병원 흉부외과학교실) ,  심선진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길병원 내과학교실) ,  조은경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길병원 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흉선종환자에서 방사선치료 효과를 평가하고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8년 1월까지 본원에서 흉선종으로 진단 받고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21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대상환자의 추적관찰 기간은 3~89개월(중앙값, 37개월)이었다. 남녀 구성비는 4:3이었고 연령분포는 24~77세(중앙값, 57세)이었다. Masaoka병기는 II기 10명(47.6%), III기 7명(33.3%), IVa기 4명(19.1%)이었다. 전체 21명 중 15명(완전절제[흉선절제술], 14명; 불완전절제, 1명)에서 수술이 시행되었고, 시험적 개흉술(exploratory thoracotomy), 경부림프절 생검 등을 포함한 조직검사만 시행한 경우는 6명(28.6%)이었다. 병리학적으로 WHO 세포형 A 1명(4.8%), B1-3 10명(47.6%), C 10명(47.6%)이었다. 방사선치료는 3차원입체조형기법으로 시행하였고 총 방사선선량은 52~70.2 Gy (중앙값, 54 Gy)이었다. 성별, 연령, 종양의 크기, 병리학적 분류, Masaoka 병기, 수술시행 여부, 근무력증 유무 및 방사선량 등에 따른 전체 및 무진행생존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환자에서 3년 생존율은 80.7%이었고 3년 무진행생존율은 78.2%이었다. WHO 세포형 C 10명에서 완전절제를 시행한 4명 중 3명(75%)이 생존하였고, 조직검사만 시행한 6명 중 3명(50%)이 생존하였다. 수술을 시행받은 15명 중 방사선조사 범위 내에서의 재발은 없었다. 4명(19.1%)에서 원격전이가 확인되었다. 조직검사만 시행받은 6명의 치료반응은 부분관해 4명(66.6%), 불변 1명(16.7%) 그리고 진행 1명(16.7%)이었다. 치료 후 방사선폐렴이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RTOG) grade 1이 1명(4.8%), grade 2가 2명(9.5%), grade 3과 grade 4가 각각 1명(4.8%) 있었다. 단변량 분석상 생존율에 유의한 예후인자는 연령(60세 이상, 58.3%; 60세 미만, 100%; p=0.0194), 병리학적 분류(WHO 세포형 A-B3, 100%; C, 58.3%; p=0.0194), 수술시행여부(시행, 93.3%; 미시행, 50%; p=0.0096)이었다. 결 론: 수술 후 보조적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15명 모두 방사선치료 조사야 내 재발이 없었고 WHO 세포형 C에서 방사선치료 전 수술이 시행된 경우 조직검사만 시행된 경우보다 좋은 성적을 보였다. 이에 저자들은 흉선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방사선치료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radiation therapy (RT) and to investigate the prognostic factors for thymoma when treated with RT.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21 patients with thymoma and also received RT from March 2002 to January 2008. The medi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9,10) 생존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예후인자들로 연령, WHO 세포형, Masaoka 병기, 완전절제여부 등이 보고되고 있다.11) 본원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생존율을 분석하고 그 예후인자를 파악함으로써 방사선치료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2%)과 grade 2, 1명(1%)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식도염과 연관된 급성 및 만성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았는데 3차원입체조형치료기법을 이용하여 가능한 한 정상조직인 식도를 피하는 치료조사야를 선택하려 했던 노력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 결론적으로, 수술 후 보조적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15명 모두 방사선치료 조사야 내 재발이 없었고 WHO 세포형 C에서 수술이 시행된 경우 조직검사만 시행된 경우보다 좋은 성적을 보였다. 이에 저자들은 본원에서 경험한 흉선종의 방사선치료결과와 최근 보고된 국내외 문헌들을 고찰하여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Table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종격동에서 발생하는 종양들 중 흉선종은 약 몇 %를 차지하는가? 전종격동에서 발생하는 종양들 중 흉선종이 가장 흔하며 약 30%를 차지한다.1,2) 전체 악성종양들 중에서는 약 0.
흉선종의 발병원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2∼1.5%를 차지하는 매우 드문 종양으로 주로 40∼60세에서의 발생이 흔하고 밝혀진 발병원인으로는 바이러스, 방사선, 세포유전학적 변이 등이 있다.2∼5) 일반적으로 흉선종은 서서히 자라고 국소적으로 침윤하는 종양으로 알려져 있고 환자들 중 약 30%에서는 무증상으로 흉부촬영 검사 상 우연히 발견된다.
흉선종에 있어 생존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예후인자들로는 무엇이 있는가? 8) 흉선종에서의 방사선치료 적응증에 대해서는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후향적 연구결과들을 바탕에 근거하여 병기 II기 이상이거나 불완전절제가 시행된 경우에 국소재발을 낮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9,10) 생존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예후인자들로 연령, WHO 세포형, Masaoka 병기, 완전절제여부 등이 보고되고 있다.11) 본원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생존율을 분석하고 그 예후인자를 파악함으로써 방사선치료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owen D, Hannoun-Levi JM, Resbeut M, Alzieu C. Natural history and treatment of malignant thymoma. Oncology (Williston Park) 1998;12:1001-1005 

  2. Thomas CR, Wright CD, Loehrer PJ. Thymoma: state of the art. J Clin Oncol 1999;17:2280-2289 

  3. Dimery IW, Lee JS, Blick M, Pearson G, Spitzer G, Hong WK. Association of the Epstein-Barr virus with lymphoepithelioma of the thymus. Cancer 1988;61:2475-2480 

  4. Jensen MO, Antonenko D. Thyroid and thymic malignancy following childhood irradiation. J Surg Oncol 1992;50:206-208 

  5. Lam WW, Chan FL, Lau YL, Chau MT, Mok CK. Paediatric thymoma: unusual occurrence in two siblings. Pediatr Radiol 1993;23:124-126 

  6. Patterson GA. Thymomas. Semin Thorac Cardiovasc Surg 1992;4:39-44 

  7. LeGolvan DP, Abell MR. Thymomas. Cancer 1977;39:2142-2157 

  8. Yamakawa Y, Masaoka A, Hashimoto T, et al. A tentative tumor-node-metastasis classification of thymoma. Cancer 1991;68:1984-1987 

  9. Curran WJ Jr, Kornstein MJ, Brooks JJ, Turrisi AT 3rd. Invasive thymoma: the role of mediastinal irradiation following complete or incomplete surgical resection. J Clin Oncol 1988;6:1722-1727 

  10. Ogawa K, Uno T, Toita T, et al.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patients with completely resected thymoma: a multi-institutional, retrospective review of 103 patients. Cancer 2002;94:1405-1413 

  11. Oh DR, Ahn YC, Kim KM, Kim J, Shim YM, Han JH. Treatment outcome of thymic epithelial tumor: prognostic factors and optimal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J Korean Soc Ther Radiol Oncol 2005;23:85-91 

  12. Kondo K, Yoshizawa K, Tsuyuguchi M, et al. WHO histologic classification is a prognostic indicator in thymoma. Ann Thorac Surg 2004;77:1183-1188 

  13. Masaoka A, Monden Y, Nakahara K, Tanioka T. Follow-up study of thymoma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ir clinical stages. Cancer 1981;48:2485-2492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ndbook for reporting results of cancer treatment: World Health Organization Offset Publication No. 48.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79 

  15. Kim HJ, Park CI, Shin SS, Kim JH, Seo JW. Prognostic factors and treatment outcome for thymoma. J Korean Soc Ther Radiol Oncol 2001;19:306-311 

  16. Chun HC, Lee MZ. Role of radiation therapy for stage III thymoma. J Korean Soc Ther Radiol Oncol 2001;19:16-20 

  17. Ahn SJ, Park CI. The result of radiotherapy in malignant thymona. J Korean Soc Ther Radiol 1990;8:225-230 

  18. Yano M, Sasaki H, Yokoyama T, et al. Thymic carcinoma: 30 cases at a single institution. J Thorac Oncol 2008;3:265-269 

  19. Urgesi A, Monetti U, Rossi G, Ricardi U, Casadio C.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locally advanced thymoma. Radiother Oncol 1990;19:273-280 

  20. Dango S, Passlick B, Thiemann U, Kayser G, Stremmel C. The role of a pseudocapsula in thymic epithelial tumors: outcome and correlation with established prognostic parameters. Results of a 20-year single centre retrospective analysis. J Cardiothorac Surg 2009;4:33 

  21. Sugie C, Shibamoto Y, Ikeya-Hashizume C, et al. Invasive thymoma: postoperative mediastinal irradiation, and low-dose entire hemithorax irradiation in patients with pleural dissemination. J Thorac Oncol 2008;3:75-81 

  22. Utsumi T, Shiono H, Kadota Y, et al.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after complete resection of thymoma has little impact on survival. Cancer 2009;115:5413-5420 

  23. Kundel Y, Yellin A, Popovtzer A, et al. Adjuvant radiotherapy for thymic epithelial tumor: treatment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Am J Clin Oncol 2007;30:389-39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