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ested PCR법을 이용한 Cat Scratch Disease의 원인체인 Bartonella Henselae와 Bartonella Clarridgeiae균의 동물병원 수의사의 감염 실태조사
Prevalence of Bartonella Henselae and Bartonella Clarridgeiae in Veterinarian Working at the Veterinary Teaching Hospital (by nested PCR) 원문보기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27 no.4 = no.75, 2010년, pp.374 - 377  

최은화 (삼성생명과학연구소 실험동물연구센터) ,  이종화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인수공통질병연구소, 내과학교실) ,  윤화영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인수공통질병연구소, 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t scratch disease is a zoonotic disease usually caused by the gram-negative bacterium Bartonella henselae. It is transmitted commonly by scratch or bite from cats or kitten. Cat scratch disease typically affects children and young adults, who develop regional lymphadenopathy. In contrast, in imm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듯 야생 고양이뿐 만 아니라, 애완 고양이 및 애완견에서도 높은 양성률을 보여, 이 질병에 대한 관심과 예방 대책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진료 시 애완 고양이 및 애완견과의 접촉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수의사들을 대상으로 nested PCR 기법을 이용하여, Bartonella henselae 및 또 하나의 CSD 원인체로 지목되고 있는 Bartonella clarridgeiae의 감염률을 조사하여 그 감염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at scratch disease는 우리나라 말로 무엇이라고 명명되는가? Cat scratch disease (CSD)는 우리나라 말로 묘소병(猫搔病), 고양이 긁힘병, 고양이 할큄병이라고 명명된다. 이 질환은 인수공통전염병이며, 그람 음성 간상균인 Bartonella henselae에 의해서 발생된다(6,7).
Cat scratch disease 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Cat scratch disease (CSD)는 우리나라 말로 묘소병(猫搔病), 고양이 긁힘병, 고양이 할큄병이라고 명명된다. 이 질환은 인수공통전염병이며, 그람 음성 간상균인 Bartonella henselae에 의해서 발생된다(6,7). 잠복기가 대개 3-12일 정도로 급성 경과를 취하며 고양이와 접촉한 아이들과 젊은이에게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5).
고양이 긁힘병은 어떤 병인가? 고양이 긁힘병(Cat scratch disease)은 그람 음성 간상균인 Bartonella henselae에 의해서 발생되는 인수공통전염병이다. 고양이에게 물리거나 할퀴어서 전파되며, 주로 어린이나 어린 성인에 많이 발생하며, 국소 림프절병증을 일으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nderson BE, Neuman MA. Bartonella spp. as emerging human pathogens. Clin Microbiol Rev 1997; 10: 203-219. 

  2. Bass JW, Vincent JM, Person DA. The expanding spectrum of Bartonella infections: II. Cat-scratch disease. Pediatr Infect Dis J 1997; 16: 163-179. 

  3. Chang CC, Lee CC, Maruyama S, Lin JW, Pan MJ. Catscratch disease in veterinary-associated populations and in its cat reservoir in Taiwan. Vet Res 2006; 37: 565-577. 

  4. Chomel BB, Abbott RC, Kasten RW, Floyd-Hawkins KA, Kass PH, Glaser CA, Pedersen NC, Koehler JE. Bartonella henselae prevalence in domestic cats in California: risk factors and association between bacteremia and antibody titers. J Clin Microbiol 1995; 33: 2445-2450. 

  5. Chung JY, Han TH, Kim BE, Kim CK, Kim SW, Hwang ES. Human metapneumovirus infection in hospitalized children with acute respiratory disease in Korea. J Korean Med Sci 2006; 21: 838-842. 

  6. Guptill L, Slater L, Wu CC, Glickman LT, Lin TL, Welch DF, Crippen JT, HogenEsch H. Immune response of neonatal specific pathogen-free cats to experimental infection with Bartonella henselae. Vet Immunol Immunopathol 1999; 71: 233-243. 

  7. Kabeya H, Sase M, Yamashita M, Maruyama S. Predominant T helper 2 immune responses against Bartonella henselae in naturally infected cats. Microbiol Immunol 2006; 50: 171-178. 

  8. Keret D, Giladi M, Kletter Y, Wientroub S. Cat-scratch disease osteomyelitis from a dog scratch. J Bone Joint Surg Br 1998; 80: 766-767. 

  9. Kim YS, Seo KW, Lee JH, Choi EW, Lee HW, Hwang CY, Shin NS, Youn HJ, Youn HY. Prevalence of Bartonella henselae and Bartonella clarridgeiae in Cats and Dogs in Korea. J Vet Sci 2009; 10: 85-87. 

  10. Koehler JE, Glaser CA, Tappero JW. Rochalimaea henselae infection. A new zoonosis with the domestic cat as reservoir. JAMA 1994; 271: 531-535. 

  11. Kordick DL, Papich MG, Breitschwerdt EB. Efficacy of enrofloxacin or doxycycline for treatment of Bartonella henselae or Bartonella clarridgeiae infection in cat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97; 41: 2448-2455. 

  12. Kunz S, Oberle K, Sander A, Bogdan C, Schleicher U. Lymphadenopathy in a novel mouse model of Bartonella-induced cat scratch disease results from lymphocyte immigration and proliferation and is regulated by interferon-alpha/beta. Am J Pathol 2008; 172: 1005-1018. 

  13. Rampersad JN, Watkins JD, Samlal MS, Deonanan R, Ramsubeik S, Ammons DR. A nested-PCR with an Internal Amplification Control for the detection and differentiation of Bartonella henselae and B. clarridgeiae: an examination of cats in Trinidad. BMC Infect Dis 2005; 5: 63. 

  14. Resto-Ruiz S, Burgess A, Anderson BE. The role of the host immune response in pathogenesis of Bartonella henselae. DNA Cell Biol 2003; 22: 431-440. 

  15. Sander A, Zagrosek A, Bredt W, Schiltz E, Piemont Y, Lanz C, Dehio C. Characterization of Bartonella clarridgeiae flagellin (FlaA) and detection of antiflagellin antibodies in patients with lymphadenopathy. J Clin Microbiol 2000; 38: 2943-2948. 

  16. Slater LN, Welch DF, Min KW. Rochalimaea henselae causes bacillary angiomatosis and peliosis hepatis. Arch Intern Med 1992; 152: 602-606. 

  17. Tsuneoka H, Umeda A, Tsukahara M, Sasaki K. Evaluation of indirect fluorescence antibody assay for detection of Bartonella clarridgeiae and Seroprevalence of B. clarridgeiae among patients with suspected cat scratch disease. J Clin Microbiol 2004; 42: 3346-3349. 

  18. Manfredi R, Sabbatani S, Chiodo F. Bartonellosis: light and shadows in diagnostic and therapeutic issues. Clin Microbiol Infect. 2005; 11: 167-1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