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열대의 영향을 고려한 블록 규모 단열 암반에서의 지하수 유동 모의
Groundwater Flow Modeling in a Block-Scale Fractured Rocks considering the Fractured Zones 원문보기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v.8 no.2, 2010년, pp.159 - 166  

고낙열 (한국원자력연구원) ,  지성훈 (한국원자력연구원) ,  고용권 (한국원자력연구원) ,  최종원 (한국원자력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핀란드 Okiluoto 섬 중앙부에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으로 예정된 부지에서 블록 규모 지하수 유동 모의를 수행하였다. 현장에 설치된 심부 관측공에서 관찰된 단열대에 관한 자료를 이용하여 단열망을 구성하였다. 이 단열망을 이용하여 3차원 유한 요소 격자망의 수리전도도장를 생성하고, 이를 지하수 유동 모의에 이용하였다. 현장에서 이루어진 양수시험 전과 후에 심부 관측공에서 측정된 수위와 구간별 유입, 유출량을 이용하여 시추공과 교차하는 단열대의 투수량계수와 부지의 함양률을 조절하며 지하수 유동 모형을 보정하였다. 양수 시험 전과 후를 순차적으로 보정해가며 모의한 결과, 보정된 지하수 유동 모형으로 계산한 지하 수위는 관측 자료와 비교적 일치하지만, 관측공에서의 지하수 유입, 유출량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구간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불일치는 지하수 유동로가 될 수 있는 구조가 지하수 유동 모의를 위한 개념모형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생기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배경단열과 같은 국지적인 유동로 구조가 개념모형에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lock-scale groundwater flow system at Olkiluoto site in Finland was simulated. The heterogeneous and anisotropic hydraulic conductivity field for the domain was constructed from the discrete fracture network, which considered only the fractured zones identified in the deep boreholes install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통해 단열 암반 대수층 현장의 심부 관측정에서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수 유동 모형을 세우고, 현장의 지하수 유동 특성을 보다 정확히 나타낼 수 있도록 현장 측정값을 이용해 모형을 보정하고 수정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은 이 연구에서 이용된 현장 외에도 앞으로 처분장 건설을 위해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다른 현장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보다 정확한 지하수 유동 모형 구축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핀란드의  Olkiluoto 현장의 지하 연구시설 부근의 수리지질학적 자료와 수리시험 결과, 이전에 이루어진 Olkiluoto 섬 전체에 대한 광역 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영역 내 단열대가 반영된 블록 규모 지하수 유동 모의 모형을 만들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단열대가 블록 규모 지하수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영역 내에서 수행된 수리 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부지의 함양률(recharge rate)과 단열대의 투수량계수를 보정하였으며, 보정 과정에서 지하수 유동 모형이 현장의 측정값과 보다 더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연구에서 이용된 방법의 적용가능성을 고찰해 보았다.
  • 이 연구에서는 이전에 이루어진 광역 지하수 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건설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블록 규모의 지하수계를 모의하였다. 핀란드의  Olkiluoto 현장의 지하 연구시설 부근의 수리지질학적 자료와 수리시험 결과, 이전에 이루어진 Olkiluoto 섬 전체에 대한 광역 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영역 내 단열대가 반영된 블록 규모 지하수 유동 모의 모형을 만들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단열대가 블록 규모 지하수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수층이 단열암반대수층일 경우 지하수의 흐름은 주로 무엇을 통해 이루어지는가? 이 때 대상 지역을 포함하는 광역 규모 지하수계에 대한 모의평가를 가장 먼저 수행하고, 뒤이어 지하 시설물의 건설에 의한 지하수계의 교란을 보다 면밀하게 살펴보기 위해 시설물 예정 구역 근방의 지하수계에 대한 보다 정밀한 조사와 모의, 평가를 수행한다. 대상 대수층이 단열암반대수층일 경우 지하수의 흐름은 주로 투수성이 큰 단열들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단열들의 투수성이나 연결성을 알아보기 위해 단일 관정 혹은 여러 관정을 이용한 수리 시험을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그 결과를 토대로 단열 암반의 수리적 연결성에 대한 개념 모델을 만들고 이를 지하수 유동 모델링을 통해 검토/확정한다.
전체적인 지하수계의 평가를 위해 지하수계에 대한 모의 평가 작업을 수행할때 순서는 어떻게 되는가? 그리고 축적된 자료의 일치성을 확인하고 전체적인 지하수계의 평가를 위해 지하수계에 대한 모의 평가 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대상 지역을 포함하는 광역 규모 지하수계에 대한 모의평가를 가장 먼저 수행하고, 뒤이어 지하 시설물의 건설에 의한 지하수계의 교란을 보다 면밀하게 살펴보기 위해 시설물 예정 구역 근방의 지하수계에 대한 보다 정밀한 조사와 모의, 평가를 수행한다. 대상 대수층이 단열암반대수층일 경우 지하수의 흐름은 주로 투수성이 큰 단열들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단열들의 투수성이나 연결성을 알아보기 위해 단일 관정 혹은 여러 관정을 이용한 수리 시험을 실시하게 된다.
심부 대수층에서 지하수를 개발하거나 심부 암반에 지하 저장소를 건설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기초조사를 위하여 무엇을 하게 되는가? 청정 수자원확보를 위해 심부 대수층에서 지하수를 개발하거나 심부 암반에 지하 저장소를 건설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기초 조사를 위해 심도 300 m 이상의 심부 관측정을 설치하고, 이들 관측정에서 부지의 수리지질학적 특성을 관측한다. 그리고 축적된 자료의 일치성을 확인하고 전체적인 지하수계의 평가를 위해 지하수계에 대한 모의 평가 작업을 수행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조원진, 권상기, 박정화, 최종원, "한국원자력연구원 지하처분연구시설," 방사성폐기물학회지, 5(3), pp. 239-255(2007). 

  2. 박경우, 지성훈, 김천수, 김경수, 김지연,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부지의 지하수 유동에 대한 수치 모사: 1. 지하수 모델링," 방사성폐기물학회지, 6(4), pp. 265-282(2008). 

  3. 지성훈, 고용권, "방폐물 처분장 안전성 평가를 위한 지하수 유동 모델링 연구 현황", 지질학회지, 46(2), pp. 181-195 (2010). 

  4. J. Andersson, H. Ahokas, J. Hudson, L. Koskinen, A. Luukkonen, J. Lofman, V. Keto, P. Pitkanen, J. Mattila, A. Ikonen and M. Yla-Mella. Olkiluoto site description 2006, Posiva Report, POSIVA 2007-03 (2007). 

  5. P. Anttila, H. Ahokas, K. Front, E. Heikkinen, H. Hinkkanen, E. Johansson, S. Paulamaki, R. Riekkola, J. Saari, P. Saksa, M. Snellman, L. Wikstrom and A. Ohberg. Final disposal of spent nuclear fuel in Finnish bedrock - Olkiluoto site report, Posiva Report, POSIVA 99-10(1999). 

  6. Posiva Oy, Olkiluoto Site Description 2008, Posiva Report, POSIVA 2009-01(2009). 

  7. H. Ahokas, T. Vaittinen, E. Tammisto and J. Nummela. Modelling of hydro-zones for the layout planning and numerical flow model in 2006. Posiva Oy, Working Report 2007-01 (2007). 

  8. 지성훈, 박경우, 김경수, 김천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부지 내 배경 단열의 통계적 특성 분석," 방사성폐기물학회지, 6(4), pp. 257-263(2008). 

  9. 고낙열, 지성훈, 고용권, "심부 관측공의 영향을 고려한 단열 암반에서의 지하수 유동 모의," 2009년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pp. 233-234, 2009.6.18-19, 경주교육문화회관. 

  10. M. Oda, "Permeability tensor for discontinuous rock masses," Geotechnique, 35(4), pp. 483-495(1985). 

  11. H. Diersch, "Discrete feature modeling of flow, mass and heat transport processes by using FEFLOW,". in: FEFLOW: Finite Element Subsurface Flow and Transport Simulation System, White Papers Vol. 1, WASY GmbH, ed., pp. 149-196, WASY GmbH, Berlin, Germany(2005). 

  12. H. Diersch, FEFLOW: Finite Element Subsurface Flow and Transport Simulation System, Reference Manual. p. 292, WASY GmbH Institute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Systems Research, Berlin, Germany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