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상남도 남해안 연안습지의 생태적 가치평가
Evaluation of Ecological Values of the Southern Coastal Wetland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4 no.4, 2010년, pp.395 - 405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유주한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송봉근 (창원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상남도의 중요한 연안습지를 대상으로 생태적 측면에서의 가치평가를 실시하여 연안습지의 무분별한 개발과 훼손을 최소화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안습지 평가를 위한 현지조사 결과, 저서생물은 통영시 용남면 동달리, 화삼리의 종수가 가장 많았고 거제시 거제면 외간리, 내간리 일대는 개체수와 생체량이 가장 많았다. 종다양성지수는 고성군 삼산면 미룡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염생식물의 표징종과 수반종이 가장 많이 출현한 지역은 마산시 진전면 이명리와 거제시 거제면 외간리, 내간리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현지조사 결과를 토대로 연안습지의 생태적 가치를 5개 등급으로 평가한 결과, 퇴적환경은 고성군 회화면 당항리, 고성군 삼산면 미룡리, 사천시 곤양면 구호리, 하동군 진교면 술상리, 남해군 이동면 석평리가 II등급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저서생물은 마산시 진전면 이명리, 통영시 용남면 동달리, 거제시 거제면 외간리, 내간리가 II등급, 염생식물은 마산시 진전면 이명리와 거제시 거제면 외간리, 내간리가 II등급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평가요인별 평균값을 기준으로 한 최종적인 평가등급은 마산시 진전면 이명리, 거제시 거제면 외간리, 내간리가 가장 높은 II등급으로 나타났고 남해군 이동면 석평리가 IV등급으로 가장 낮았다. 향후 연안습지 생태계의 지속적인 조사와 장기적인 모니터링, 그리 연안습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GIS기반 연안습지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basic data to minimize the indiscreet development and damage of coastal wetlands through an evaluation from an ecological standpoint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he coastal wetland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Korea. The result of the macrobenthos survey for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연안습지의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 여러 평가기준을 제시하여 분석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생태적 가치평가에 대해서는 정확한 분석방법과 평가기준의 확립이 미흡한 수준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상남도 남해안의 주요 연안습지를 대상으로 퇴적환경, 저서생물, 염생식물 등과 같은 생태적 측면에서의 가치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안습지의 무분별한 개발 및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지속가능한 이용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연안습지의 지속가능한 개발의 방안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생태적 측면에서 가치평가를 실시하였다. 조사분야는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08)에서 제시한 연안습지 조사 지침서를 토대로 10개의 조사분야 중 퇴적환경, 저서생물, 염생식물을 선정하였고 지침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현장조사 등을 통해 평가를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람사르(Ramsar)협약에서는 습지를 어떻게 분류하는가? 습지에 관한 국제적 규약인 람사르(Ramsar)협약에서는 습지를 해양/연안습지, 내륙습지 및 인공습지로 분류하고 있다. 그 중에서 일반적으로 갯벌이라 명명되는 연안습지는 ‘만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으로부터 간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까지의 지역’이라 정의하고 있다.
습지는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가? 습지는 육상생태계와 수생태계의 전이지대로서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고 풍부한 영양물질과 높은 생산성을 가진 생태계이다(Park and Lee, 2006). 또한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지하수 저장 및 충전, 지표수의 공급 및 유량조절 등과 같이 인간에게 유익한 생태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Kim, 2003).
갯벌이라 명명되는 연안습지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습지에 관한 국제적 규약인 람사르(Ramsar)협약에서는 습지를 해양/연안습지, 내륙습지 및 인공습지로 분류하고 있다. 그 중에서 일반적으로 갯벌이라 명명되는 연안습지는 ‘만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으로부터 간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까지의 지역’이라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연안습지는 육상환경과 해양환경의 전이지대로서 해양생물의 서식 및 생산기능, 수질정화기능, 친수기능 그리고 자연재해 조절기능 등을 가지고 있으며, 연안 생태계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Park, 1999; Shin and Kim,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hn, Y.H. and K.M. Shin(2006)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and the vegetation on the tidal flat in Jebudo(Island). Kor. J. Env. Eco. 20(1): 52-69. 

  2. Bark, C.H. and S.H. Lee(2004)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on the function and value of tidal wet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3(2): 87-101. 

  3. Choi, B.G.(1998) A study on the use of halophytes on the reclaimed land in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3): 278-287. 

  4. Choi, M.H.(2004) Economic value of the Korean mudflat wetland.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25(4): 89-104. 

  5. Choi, S.H., Y.D. Kwon, H.S. Lee and S.C. Park(2009) Estimation of the Goseong tidalland valu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36(1): 117-136. 

  6. Kang, D.S., J.H. Nam and S.M. Lee(2006) Emergy valuation of a tidal flat ecosystem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and its comparison with valuations using economic methodologie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5(3): 243-252. 

  7. Kang, T.H., S.H. Yoo, S.W. Lee, O.I. Choi and C.B. Lee(2008) A study on the habitat use of waterbirds and grading assessment of the tidal flat at Muan Bay in Jeollanamdo, Korea. Kor. J. Env. Eco. 22(5): 521-529. 

  8. Kim, C.H., D.S. Cho, K.B. Lee and S.Y. Choi(2006) Population formation strategies of halophytes in Mankyeong river estuary. Kor. J. Env. Eco. 20(3): 299-310. 

  9. Kim, J.K. and Y.K. Lee(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science, Seoul, 240pp. 

  10. Kim, K.G.(2003) Wetlands and Environment. Academy Books, Seoul, 684pp. 

  11. Lee, D.K. and S.W. Youn(1999) A Study on the Economic Evaluation of Conservation Value of Coast Wetland. Sangmyung Univ. Industrial Science Research 7: 141-154. 

  12.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08) Survey Guideline of Coastal Wetlands. 382pp. 

  13. Park, K.H. and H.K. Lee(2006) Establishment of the wetland ecosystem information system based on Web-GIS in Gyeongnam Region.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6(1): 99-103. 

  14. Park, T.Y.(1999) A study on the management planning for the conservat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use of Korean coastal wetlands.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2(3): 64-73. 

  15. Shannon, C.E. and W. Wien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Science 185: 27-39. 

  16. Shin, B.S. and K.H. Kim(2007) Estimation of ability for water quality purification using ecological modeling on tidal flat. The Korean Society of Ocean Engineers 21(2): 42-49. 

  17. Yoo, J.W., C.G. Lee, B.S. Kho, S.W. Lee, D.U. Han, K.H. Choi, C.S. Kim and J.S. Hong(2010) Development needs and direction of an ecological grading system of Korean tidal flats. Ocean and Polar Research 32(2): 137-144. 

  18. You, J.H., K.H. Park, Y.C, Yoon and B.G. Song(2009) Vascular plants in coastal wetland in Gyeongsangnam-do, Korea.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11(2): 29-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