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가발전효율 향상을 위한 유수관내 블레이드 형상의 모델링 및 해석
Modeling of Blades to Enhance Self-Power Generation in Pipe Flow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24 no.3, 2010년, pp.277 - 285  

여인환 (한양대학교) ,  김도윤 (한양대학교) ,  백종후 (한국세라믹기술원) ,  이영진 (한국세라믹기술원) ,  신민철 (자인테크놀로지(주)) ,  박재우 (한양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d the optimal shape of blades and efficiency of a self-power generator when the self-power generator using flow of the water in pipe as the power source was installed. Selected factors were the shape of blades, the number of blades, pitch angle, and the existence of separator. GAMBIT2.4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FLUENT의 경우 입력 값에서 유속을 변화시켜 간단하게 유량을 조절할 수 있지만, 실제 수리 실험에서 유량의 변화마다 그 값을 정확하게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유량은 자인 테크놀로지(주)에서 제작한 초음파유량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Fig.
  • 4m로 설정하였다. Velocity_inlet에서의 유속입력 값은 0.3m/s부터 13m/s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속에 대해 해석을 진행하였다. 특히 대부분 상수도관 내에서 유속의 흐름은 0.
  • 경계조건의 경우 유체가 관로 내에 흘러들어오는 면을 Velocity_inlet으로 설정하였고, 유체의 출구평면의 경우 Pressure_outlet으로 설정하였다. 두 면은 동일하게 Turbulence Method로 Intensity and Hydraulic Diameter Method를 사용하였으며, Turbulent Intensity는 5%, Hydraulic Diameter는 관로의 윤변을 고려하여 0.
  • 기존에 사용되었던 블레이드의 형상과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블레이드의 각도, 날개의 개수, 형상이 회전모멘트와 유체흐름에 미치는 영향과 Separator에 의한 간섭영향을 조사하였다. 회전모멘트변화 및 ε, k값 등의 변화 평가를 통해 최적의 블레이드 형상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기존의 기계식 유량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블레이드를 바탕으로 자가발전을 진행하였을 때, 얼마나 큰 전력량이 발생하는지 측정해보기 위해서, 건식실험에서는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였으며, 수리실험에서는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전력발생량을 측정하였다.
  • 날개의 각도는 Fig. 2과 같이 유체의 주 흐름방향에 수직인 음의 Y축에 대한 날개의 기울어진 정도를 각도로 지정하였고, 날개의 각도는 45도에서부터 70도까지 5도에서 2.5도의 변화를 주어가면서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초기각도인 45도는 현재 사용되는 기계식 유량계의 설계 각도를 고려하여 설정하였고, 최종 날개 각도의 경우 과도한 날개각도의 증가시 유체흐름에 지나친 방해가 될 수 있고, 수격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 해석의 필요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70도까지만 각도를 증가시켜가면서 모델링을 진행 하였다.
  • 경계조건의 경우 유체가 관로 내에 흘러들어오는 면을 Velocity_inlet으로 설정하였고, 유체의 출구평면의 경우 Pressure_outlet으로 설정하였다. 두 면은 동일하게 Turbulence Method로 Intensity and Hydraulic Diameter Method를 사용하였으며, Turbulent Intensity는 5%, Hydraulic Diameter는 관로의 윤변을 고려하여 0.4m로 설정하였다. Velocity_inlet에서의 유속입력 값은 0.
  • 따라서 계량기에 사용되는 블레이드를 최적화 하여 유량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고, 관수로 내의 유체흐름을 이용한 소규모 발전장치를 개발한다면, 전 유속에서의 유량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에너지의 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도 친환경적인 전력 생산을 통해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춰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일반적인 기계식 계량기에 사용되는 블레이드 모델을 바탕으로 자가발전시스템을 구축하여 전력생산량을 측정한 뒤, 설치된 자가발전장 지의 블레이드의 날개 개수, 날개의 각도, 날개의 형상, 분리기의 유무에 따른 기존의 블레이드와의 효율변화, 유체흐름을 전산유체역학을 통해 비교하여 수격현상을 방지하면서도 효율적인 자가발전이 가능한 최적 블레이드 설계요소 도출을 수행하였다.
  • 추가적으로 초음파유량계의 뒤편에 자가발전장치가 설치되었을 때, 자가발전장치로 인한 유체의 흐름변화가 초음파 유량계에 나타나지 않는 범위를 알아보았다. 모델링의 Mesh 작업은 Tet/Hybrid mesh를 적용하였으며, face의 경우 2mm 간격으로 Interior의 경우 5mm 간격으로 mesh작업을 수행 하였다.
  •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여 일정한 주파수를 인가하여 속도를 일정하게 변화시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운영하고, 이를 정류하여, 오실로스코프로 출력되는 결과 값을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데이터는 National Instrument 사의 Lab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전수에 따른 전력발생량을 디지털 방식으로 입력받았다. 본 실험 설비를 통해 유량을 임의로 변화시켜 유량계의 계측 값을 초음파 유량계를 통해 알아내고, 그에 따른 자가발전장치의 전력 발생량은 멀티미터를 통해 산출해 내었다.
  • 본 연구에 사용된 소형발전기는 일본의 Nippon사에서 제조되었으며, PE24KE 개량형 모델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될 소형 발전기는 저유속에서 발전되는 전력량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고, 동시에 관내의 수압을 견뎌내어 작동할 수 있는 방수성도 필요하였다. 모델은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것을 선정하였으며, Fig.
  •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해석(CFD)전용 Solver인 fluent X를 이용하여 해석을 하였다. CFD에서는 여러 가지 Solver를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해석을 하게 된다.
  • 수리 실험을 수행하기 전에 건식 실험을 통하여 발전기의 회전수에 따른 전력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여 일정한 주파수를 인가하여 속도를 일정하게 변화시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운영하고, 이를 정류하여, 오실로스코프로 출력되는 결과 값을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데이터는 National Instrument 사의 Lab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전수에 따른 전력발생량을 디지털 방식으로 입력받았다.
  • 수리 실험을 수행하기 전에 건식 실험을 통하여 발전기의 회전수에 따른 전력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여 일정한 주파수를 인가하여 속도를 일정하게 변화시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운영하고, 이를 정류하여, 오실로스코프로 출력되는 결과 값을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데이터는 National Instrument 사의 Lab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전수에 따른 전력발생량을 디지털 방식으로 입력받았다. 본 실험 설비를 통해 유량을 임의로 변화시켜 유량계의 계측 값을 초음파 유량계를 통해 알아내고, 그에 따른 자가발전장치의 전력 발생량은 멀티미터를 통해 산출해 내었다.
  • 자가발전장치 내부에 separator의 여부에 따른 모터효율을 알기위해서 추가적으로 separator의 존재 여부에 따른 해석을 진행하였다. 추가적으로 초음파유량계의 뒤편에 자가발전장치가 설치되었을 때, 자가발전장치로 인한 유체의 흐름변화가 초음파 유량계에 나타나지 않는 범위를 알아보았다.
  • 5도의 변화를 주어가면서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초기각도인 45도는 현재 사용되는 기계식 유량계의 설계 각도를 고려하여 설정하였고, 최종 날개 각도의 경우 과도한 날개각도의 증가시 유체흐름에 지나친 방해가 될 수 있고, 수격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 해석의 필요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70도까지만 각도를 증가시켜가면서 모델링을 진행 하였다. 최적 각도로 예상되는 60도를 전후로 하여 55도에서 65도까지 2.
  • 초기각도인 45도는 현재 사용되는 기계식 유량계의 설계 각도를 고려하여 설정하였고, 최종 날개 각도의 경우 과도한 날개각도의 증가시 유체흐름에 지나친 방해가 될 수 있고, 수격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 해석의 필요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70도까지만 각도를 증가시켜가면서 모델링을 진행 하였다. 최적 각도로 예상되는 60도를 전후로 하여 55도에서 65도까지 2.5씩 각도의 변화 폭을 줄여가면서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 자가발전장치 내부에 separator의 여부에 따른 모터효율을 알기위해서 추가적으로 separator의 존재 여부에 따른 해석을 진행하였다. 추가적으로 초음파유량계의 뒤편에 자가발전장치가 설치되었을 때, 자가발전장치로 인한 유체의 흐름변화가 초음파 유량계에 나타나지 않는 범위를 알아보았다. 모델링의 Mesh 작업은 Tet/Hybrid mesh를 적용하였으며, face의 경우 2mm 간격으로 Interior의 경우 5mm 간격으로 mesh작업을 수행 하였다.
  • 3m/s부터 13m/s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속에 대해 해석을 진행하였다. 특히 대부분 상수도관 내에서 유속의 흐름은 0.3m/s에서 1m/s의 범위 안에 분포하기 때문에 0.3m/s에서 1.1m/s까지 5개의 유속을 샘플로 하에 이에 대한 해석을 진행하였고, 이어서 1.5m/s에서 13m/s까지 마찬가지로 5개의 유속에 대한 해석을 진행하였다.
  • 해석을 위해 날개의 개수는 10개, 12개, 15개까지 변화시키면서 모델링을 하였고, 개수를 10개, 12개, 15개로 가정하고 모델링을 진행한 이유는 현재 일반적인 기계식 유량계에서 사용되는 날개의 개수가 12개이고, 날개의 개수가 너무 많아지게 될 경우 블레이드의 생산에 있어 경제성이 현저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최대치를 15개로 모델링하고, 최소 날개 개수를 10개로 모델링하여 날개 개수에 따른 경향성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 회전모멘트변화 및 ε, k값 등의 변화 평가를 통해 최적의 블레이드 형상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대상 데이터

  • 발전기는 유체가 블레이드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모멘트로 변환된 구동력을 전력으로 변환시켜주는 구성요소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소형발전기는 일본의 Nippon사에서 제조되었으며, PE24KE 개량형 모델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될 소형 발전기는 저유속에서 발전되는 전력량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고, 동시에 관내의 수압을 견뎌내어 작동할 수 있는 방수성도 필요하였다.
  • 자가발전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블레이드의 경우 관로의 크기에 따른 직경과 날개 개수, 날개의 각도, 전체적인 형상에 따라서 그 구체적인 치수가 결정되게 된다. 블레이드 모형의 재질은 관수로 내의 작은 유속에도 작동할 수 있을 정도로 가볍고, 내구성이 좋고, 물에 의한 화학적 침식과 같은 반응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는 Polyethylene(PE)을 이용하였다. 수차의 직경은 88mm 이고, 수차 날개의 유효길이는 26mm이었다.

이론/모형

  • CFD에서는 여러 가지 Solver를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해석을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Solver로 Energy equation과 Pressure Based Solver를 사용하여 해석을 진행하였고, Viscous Model의 경우 standard k-epsilon 모델을 채택하였다. 식 (1)과 식 (2)를 이용해 해석이 되는 standard k-epsilon 모델의 경우 turbulent모델을 해석하는 가장 대표적인 모델일 뿐만 아니라, turbulent kinetic energy의 정도를 알 수 있는 k값과 turbulent의 크기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ε(epsilon)값을 동시에 해석 수 있어, 유체의 흐름에 있어서 자가발전장치의 설치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수격현상과 간섭효과로 인한 에너지의 손실정도를 예측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 계량기의 경우 블레이드의 최적화가 이루어져 있지 않을 때 생기는 문제점은? 그러나 지금까지 모든 가정마다 한 개 이상의 블레이드가 사용되는 유량계에 사용되어지는 블레이드의 경우, 최적화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하였다. 이러한 면에서 볼 때, 기존 계량기의 경우 블레이드의 최적화가 이루어져 있지 않음으로 인해, 저 유속에서 유체가 흘러감에도 불구하고, 블레이드가 제대로 회전하지 않아 측정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또한, 고 유속에서는 블레이드의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축력을 활용하지 않음으로 에너지의 재활용면에서도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계량기에 사용되는 블레이드를 최적화 하여 유량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고, 관수로 내의 유체흐름을 이용한 소규모 발전장치를 개발한다면, 전 유속에서의 유량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에너지의 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도 친환경적인 전력 생산을 통해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춰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근래의 에너지 공급에 있어서 세계적인 추세의 두 가지 키워드는? 근래의 에너지 공급에 있어서 세계적인 추세는 에너지 비용의 절감(Dincer, 2000; Sinton at al., 2000; McDonald at al., 2002; Sodano at al., 2004), 환경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로 축약할 수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전 세계적으로 많은 분야에서 풍력발전에 사용되는 블레이드나, 일반 모터에서 쓰이는 팬의 최적화를 통해 에너지 비용의 절감과 환경의 키워드에 발을 맞춰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 효율적인 자가발전이 가능한 최적 블레이드 설계요소 도출을 수행한 결과는 무엇인가? 1) 블레이드 각도 및 날개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총모멘트가 증가한다. 2) 65도 이상에서 수격현상이 발생하는 역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블레이드의 각도를 계속 증가 시킬 수 없다. 3) 62.5도가 모멘트가 최대로 발생하며, 수격이 나타나지 않는 최적각도로 예상되며, Separator가 존재할 때 더 높은 효율을 보이고, 간섭효과가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4) 형상에 따른 변화의 경우 날개마다 날개의 중심부부터 끝부분까지 일정한 중심각을 갖고 부채꼴 모양으로 확장될 때의 경우가 기존 형상에 비해 높은 모멘트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Dincer, I(2000) Renewable energ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 crucial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 Vol. 4, pp. 157-175. 

  2. Sinton, J.E. and Fridley, D.G(2000) What goes up: Recent trends in Chinas Energy Consumption, Energy Policy, Vol. 28, pp. 671-687. 

  3. McDonald, C.F. and Rodgers, C(2002) The Ubiquitous Personal Turbine ?A Power Vision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Engineering for Gas Turbine and Power, Vol. 124, pp. 835-844. 

  4. Sodano, H. A., Inman, D. J. and Park, G(2004) A Review of Power Harvesting from Vibration using Piezoelectric Materials, The Shock and Vibration Digest, Vol. 36, No. 3, pp. 197-205. 

  5. 박홍광, 이지근, 노병준(2007) 환기용 축류팬의 가이드핀 블레이드 형상변화에 따른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설비공학논문집, 제19권, 제12호, pp.874-882. 

  6. 신형기, 방형준, 김석우(2007) 블레이드 공력 설계를 위한 설계 변수 특성에 대한 연구 블레이드 공력 설계를 위한 설계 변수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361-365. 

  7. 김병국, 김영호, 송우석, 이승배, 남상규, 김사만(2007) 수직축 풍력터빈 성능개선에 관한 실험적 연구. 유체기계저널, 제10권, 제5호, pp. 17-24. 

  8. Bell B(2007) A Technical Opinion on A Novel Vertical-Axis Wind Turbine Concept. Garrad-Hassan Report. 

  9. 신봉근, 정수인, 김귀순, 이은석(2004) 충동형 초음속 터빈 익렬의 설계 변수에 따른 익렬내 유동 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한국추진공학회지, 제8권, 제2호, pp.62-72. 

  10. Xue, S., Docker, B. and Narramore, J(2006) Integrated Aero-Acoustics Rotor Simulation and Design Optimization, 12th AIAA/CEAS Aeroacoustics Conference, Canbridge, Massachusetts, May 8-10 

  11. Hong, S. S., Kim, J. S., Choi, C. H., and Kim, J(2006) Effect of Tip Clearance on the Cavitation Performance of a Turbopump Inducer. Journal of Propulsion and Power, Vol. 22, No. 1, pp. 174-179. 

  12. Cho, S. S. , Choi, J. H. and Kim, K. Y(1998) Flow analysis and design optimization of an axial-flow fan, Proceedings, SAREK Winter Annual Meeting, pp.135-140. 

  13. Kim, C.S., Shin, Y.H., Kim, K.H. and Chung, J. T(1999) Experimental study on effects of stagger angle on performance and flow characteristics of axial fan, Proceedings, SAREK Summer Annual Meeting, pp.453-4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