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태백지역 2008년 가뭄의 원인분석 연구
A Root Cause Analysis for Drought in Taeback City, Kangwon-do in 2008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24 no.3, 2010년, pp.351 - 359  

김주환 (동명기술공단) ,  최계운 (인천대학교) ,  박상우 (서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기상이변 및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피해가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재해 피해 저감을 위한 대책을 수립할 시에 풍수해 관리 분야에 있어 대부분이 홍수피해에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가뭄 재해 또한 홍수피해에 못지 않은 규모의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가뭄 피해는 그 발생빈도가 아직 크지 않으나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부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강원도 태백시는 2008년 가을부터 2009년 봄까지 심한 가뭄 피해를 입어 심각한 물부족에 시달린 중요한 예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지역에 대한 물 부족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문기상학적 분석을 통한 가뭄빈도를 분석하였으며, 광역상수도 공급원인 광동댐의 운영과 수요-공급 분석을 통하여 물 부족 원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갈수우량의 빈도 분석을 통한 태백지역 가뭄은 20년 빈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광동댐 저수지에는 저수율이 약 52% 만 확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갈수기의 강우량은 평년에 비하여 작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피해 발생 시 태백시의 상수도 수요는 평년에 비하여 많았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뭄시 물 부족 원인을 분석하였으며, 이는 가뭄시 물 부족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re have been flood damages due to the climate change and the flash flood continuously in Korea and there are several flood disaster mitigation plans that are normally most of management plan for water related disasters even though drought disasters are as important as flood disaster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8년 가뭄이 발생한 강원도 태백시에 대하여 가뭄발생에 대한 원인을 수문기상학적인 요소와 저수지 운영에 관한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태백시의 2008년 가뭄사상을 대상으로 수문특성 및 광역상수원의 운영분석 등의 분석을 바탕으로 가뭄의 요인에 대해 연구를 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문기상학적 특성을 조사 하고, 태백지역의 광역상수도 공급원인 광동댐의 운영분석과 지역특성을 통해 2008년에 발생한 태백시의 가뭄의 현상을 파악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에 인위 재해의 몫도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런 물 부족은 우리나라에 가뭄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가뭄은 심한 물 부족으로 인하여 피해를 겪는 기상재해 중 하나이며, 불가피성과 반복성을 가진 자연현상인 것이 사실이지만 가뭄 발생 전의 사전대비계획과 가뭄발생시의 실효성 있는 가뭄관리체계가 구축되지 못해 가뭄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쳐 버린 인위재해의 몫도 있는 실정이다.
태백시가 상수를 공급받는 지역은 어디인가?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2008년 가뭄발생으로 인하여 피해를 입은 바 있는 강원도 태백시이다. 태백시는 광역상수원인 광동댐을 중심으로 골지천으로부터 상수를 공급받는 지역으로, 수자원 부존량은 105.81백만㎥/년으로 Table 1과 같으며, 유출량은 52.
태백시의 2008년 가뭄사상을 대상으로 수문 특성 및 광역상수원의 운영 분석 등의 분석을 바탕으로 가뭄의 요인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어떠한가? 1) 강우지속기간별 빈도 갈수우량을 산정한 결과 20년 가뭄빈도가 발생하였으며, 용수공급댐인 광동댐은 10년 빈도의 가뭄에 대비하여 설계 되어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댐 운영 및 가뭄대책에 대해 시급히 개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 2008년 광동댐의 운영수위를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1998∼2007년) 평균 운영수위보다 1.3m 낮은 669.08m를 유지하였으며, 이는 광동댐의 운영 규정을 준수 하였으나, 가뭄발생을 초래하였기 때문에 운영규정을 재검토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 태백지역의 타 지역보다 높은 누수율은 가뭄피해를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약 55% 노후관로의 경우, 새로운 다른 관로의 정비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 태백지역의 2008년 갈수기(10~12월) 수요량은 전년 도에 비하여 28% 증가하여, 가뭄의 한 원인이 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체 수원지 등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국토해양부(2006), 수자원장기종합계획, 국토해양부 

  2. 김휘린, 박무종, 윤용남(2004), 2001년 가뭄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1-5 

  3. 류성용, 변희룡, 김기훈(2000), 한반도의 가뭄발생특성, 한국기상 학회학술대회논문집, pp.198-201 

  4. 박정규, 박종서, 차유미(2004), 우리나라 봄철가뭄을 초래하는 원인분석, 한국기상학회학술대회 논문집, pp126-127 

  5. 상하수도협회(2009), 2008 상수도 통계, 상하수도협회 

  6. 윤용남(1972), 급수용 저수지 설계를 위한 저유하량의 통계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Vol.20 No.1, pp37-46 

  7. 태백시(2009), 발원지 고장 태백시 가뭄백서, 태백시 

  8. 환경부(2008), 2007 상수도 통계, 환경부 

  9. David H. White. (1999). Australia's national drought policy: Aims, Analysis and Implementation., Water Internationa, 24, pp.2-9 

  10. Landsberg, H. E. (1982), Climate aspects of droughts, pp.593-596 

  11. Sen, Z. (1980), Statistical analysis of hydrological critical droughts, J. Hydro. Div., ASEC, 106(1), pp.99-115 

  12. Wilhite, D.A. and M.H. Glantz.(1985),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on: The Role of Definitions. Water International, 10(3):111-1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