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GIS 및 관망해석을 이용한 도시유역 분포형 유출해석
Distributed Rainfall-Runoff Analysis of Urban Basin with GIS Technique and Network Analysis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10 no.5, 2010년, pp.143 - 148  

유희상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문모 (신구대학 건설정보과) ,  김영섭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안원식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인 불광천 유역에 격자기반의 지표면 강우-유출해석과 기존의 ILLUDAS 모형을 결합하여 제시한 새로운 모형을 적용하였다. 지표면 유출해석으로 GIS기반의 자료를 이용하여 소유역별로 유출량을 산정한 후 관망해석을 통하여 최종 유출구 지점인 증산대교에서의 유출 수문곡선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유출 수문곡선은 증산대교 수위관측소에서 관측된 수위를 수위-유량곡선에 의하여 유량으로 환산된 값과 비교 분석 하였다. 4개 강우사상을 적용하여 유출수문곡선을 산정한 결과 총유출량은 11.70%~16.30%, 첨두유출량은 1.10%~6.96%의 상대오차를 나타내었고, 첨두시간은 1시간이내의 오차를 나타내어 실제 유출사상과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포형 모형은 재해방지를 위한 도시유역에서의 유출수문곡선 추정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mixed model of the surface rainfall-runoff analysis using grid data and Illudas model was applied to the urban watershed of Bulgang river. After the surface rainfall-runoff was estimated with GIS data, the runoff hydrograph was calculated using network analysis at Jeungsan brid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ILLUDAS 모형은 1974년에 미국에서 고안된 방법으로 직접연결 불투수지역 뿐만 아니라 간접연결 포장지역 및 녹지지역으로 부터의 유출 또한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이다. 모형에서는 배수구역내 유출이 배수로로 연결되는 과정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며, 각 소유역별 직간접 포장면적, 녹지면적, 침투능 등을 고려하여 산정된다. SWMM 방법은 1971년 미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와 Metcalf & Eddy Inc.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수재해의 원인은?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의 90% 이상이 악기상에 의한 재해이다 (심우배, 2005). 이러한 기상재해 중 대부분은 집중호우 또는 장마에 의해 발생하는 홍수재해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도시지역의 침수피해를 예방하고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관리하기 위하여 도시유역의 유출 양상을 추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좀 더 자세한 유출현상을 모의할 수 있는 GIS를 이용한 격자기반의 유출해석을 도시유역에 도입하는 것이 시급한 이유는? 따라서 도시지역의 침수피해를 예방하고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관리하기 위하여 도시유역의 유출 양상을 추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리적 거동에 기초한 강우-유출현상에 관한 정교한 해석이 필요하게 되었고, 유출해석에 있어서 강우량의 시·공간적인 분포와 유출장인 유역사면특성의 공간분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김문모 등, 2007). 특히, 기존의 도시유출 모형에서는 소유역별 특성치를 평균화하여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왔으나 최근 발생하고 있는 국지성 호우에 의한 내수침수 피해를 예측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좀 더 자세한 유출현상을 모의할 수 있는 GIS를 이용한 격자기반의 유출해석을 도시유역에 도입하는 것은 매우 시급하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자연 재해중 악기상에 의한 재해 비중은? 최근 우리나라는 기후변화 및 도시화에 따른 피해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의 90% 이상이 악기상에 의한 재해이다 (심우배, 2005). 이러한 기상재해 중 대부분은 집중호우 또는 장마에 의해 발생하는 홍수재해로 이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문모, 이정우, 이재응 (2007) 격자기반의 도시유역 지표면 유출 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40권, 제1호, pp. 25-38. 

  2. 김대식, 정하우, 김성준, 최진용 (1995) 소유역 지표유출의 공간적 해석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 응용모형(II). 한국농공학회지, 제37권, 제5호, pp. 35-42. 

  3. 김상현 (1998) 확장 TOPMODEL의 영역화 민감도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1권, 제6호, pp. 741-756. 

  4. 김성준 (1998) 격자기반의 운동과 강우유출모형 개발(II).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1권, 제3호, pp. 309-316. 

  5. 김진택 (1995) 농업비점원 오염모형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 호환모형의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6. 박진혁, 강부식 (2006) 댐유역 홍수예측을 위한 GIS기반의 분포 모형과 집중형모형의 유출해석 비교.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9권, 제3호, pp. 171-182. 

  7. 박상식, 박완희, 이종태 (2008) 토지용특성을 고려한 분포형 모형의 적정 매개변수 및 격자크기의 결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249-253. 

  8. 배덕효, 김진훈, 권원태 (2000) TOPMODEL의 단일유역 홍수예보능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3권, 제1호, pp 87-98. 

  9. 서울특별시 (2009) 대학과 연계한 하천관리에 관한 용역 보고서. 

  10. 심우배 (2005) 기상이변에 따른 자연재해와 도시방재. 국토, 제 281호, pp. 39-49. 

  11. 정강호, 정석재, 손연규, 홍석영 (2007) 유출곡선 지수법의 활용을 위한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농업과학기술원. 

  12. 정인균 (2008) 격자기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KIMSTORM의 개선(I).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8권, 제6B호, pp. 697-707. 

  13. 홍준범, 김병식, 윤석영 (2006) $Vflo^{TM}$ 모형을 이용한 물리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정확성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6권, 제6B호, pp. 613-622. 

  14. Beven, K.J. and Kirkby, M.J. (1979) A physically based 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 Hydrological Sciences Bulletin, Vol. 24, No. 1, pp. 43-69. 

  15. Charles, W.D. and Fred, L.O. (2002) GSSHA-User's Manual, US Army Engineering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pp. 66-68. 

  16. Hjelmfelt, A.T. (1986) Estimating Peak Runoff from Field-size Watersheds, WBR, American Vol. 22, No.2, pp. 267-274 

  17. Jia, Y., Ni, G., Kawahara, Y., and Suetsugi, T. (2001) Development of WEP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an urban watershed, Hydrological Processes, Vol. 15, pp. 2175-2194 

  18. Refsgaard, J.C. and Storm, B. (1995) MIKE SHE, Computer Models of Watershed Hydrology, V.P.Singh, ed.,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LLC, Highlands Ranch, Colorado, pp. 809-846. 

  19. Vieux, B.E. and Vieux, J.E. (2002) $Vflo^{TM}$ : a real-time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Proceedings of the Second Federal Interagency Hydrologic Modeling Conference 2002, Las Vegas, NV. 

  20. Vieux, B.E. (2004) Building Parameter Maps for $Vflo^{TM}$ , pp.43-46. 

  21. Young, R.A., Onstad, C.A., Bosch, D.D. and Anderson, W.P. (1989) AGNPS: a nonpoint-source pollution model for evaluating agricultural watershed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ol. 44, No. 2, pp. 168-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