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군소내장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Internal Organs of Aplysia kurodai Frac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0, 2010년, pp.1433 - 1438  

신미옥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해양생물 중 페기되어지인 군소내장을 추출하고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항산화 효과 및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효과를 알아 본 결과 AKMB층이 $286.66\;{\mu}g/mL$에서 50%의 DPPH free radical의 소거활성을 보여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ROS 제거활성 측정 결과에서도 AKMB층이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54.73\;{\mu}g/mL$에서 50%의 ROS 제거 활성을 나타내었고, $ONOO^-$ 제거활성 역시 AKMB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65.64\;{\mu}g/mL$에서 50%의 $ONOO^-$ 제거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한 항균효과 실험결과, Proteus vulgaris의 경우는 AKMH층과 AKMM층의 두층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외 사용한 모든 균주에서는 AKMM층에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항산화효과는 군소내장의 부탄올 분획층인 AKMB층에서 가장 높았으며, 항균효과는 주로 메탄올 분획층인 AKMM층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군소내장의 AKMB층과 AKMM층에서 항산화 활성과 항균력을 나타내는 효과적인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지며, 앞으로 더욱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물질들의 분리를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활성성분을 이용한 식품 저장성과 안전성 향상을 위한 항산화제, 식품첨가제 및 천연 식품 보존제 등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internal organs of Aplysia kurodai (AK). The internal organs of AK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AKM), which was then further fractionated into four subfractions by using solvent partition method, affording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폐기되어지는 군소 부산물인 군소 내장을 이용하여 항산화 및 항균효과를 검색함으로써 군소분획물의 식품 보존제 및 천연 항균제 등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류학상 군소란? 해양생물은 육상생물과 다르게 내압, 내염 및 저온이라는특수한 환경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물리적 방어능력이 부족한 해양생물들이 적자생존의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하여만들어내는 2차 대사산물이 육상생물과는 상이한 화학적 특성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 천연자원에서 의약품 등의 생리 활성물질을 탐색하여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0). 본 연구에 사용되어진 군소(Aplysia kurodai)는 무순목 군소과에 속하는 연체동물로, 우리나라와 일본, 대만 등지의 조간대 얕은 바다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으며,홍조류, 갈조류 및 녹조류 등을 먹이로 하며 이들 해조류가 무성한 바위근처에서 주로 볼 수 있다(11). 흑갈색에 회백색 얼룩무늬가 많으며 몸을 보호하는 패각 대신 군청색 색소를 뿜어 자신을 보호하는 특징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조리 시 내장과 보라색 색소를 빼내고 삶아 군소몸통을 먹으며, 경상
군소의 내장 부분은 어떻게 처리되는가? 도 해안지방에서는 제사상에도 올려진다. 그리고 군소 체중의 약 50%나 되는 생식기관을 포함한 내장부분은 거의 대부분 폐기되어진다. 한편, 군소는 단순한 신경계와 동정이 쉬운 거대 뉴런을 지니고 있어 신경생물학 연구에 중요한 실험동물로 이용되고 있고, 미국에서는 군소의 신경계를 이용하여 학습과 기억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12).
천연항균물질 중 상품화되어 있거나 항균성이 알려진 물질은 무엇이 있는가? lysozyme, polylysine, protamine, conalbumin, avidin, 유기산, polyphenol 물질 등이 대표적이다(8,9). 한편, 최근에는 천연소재로서 해양생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tratton SP, Liebler DC. 1997. Determination of singlet oxygen-specific versus radical-mediated lipid peroxidation in photosensitized oxidation of lipid bilayers: effect of beta-carotene and alpha-tocopherol. Biochemistry 36: 12911-12920. 

  2. Rice-Evans C, Burdon R. 1993. Free radical-lipid interactions and their pathological consequences. Prog Lipid Res 32: 71-110. 

  3. Schneider JE, Price S, Maidt L, Gutteridge JM, Floyd RA. 1990. Methylene blue plus light mediates 8-hydroxy-2'-deoxyguanosine formation in DNA preferentially over strand breakage. Nucleic Acids Res 18: 631-635. 

  4. Wright A, Bubb WA, Hawkins CL, Davies MJ. 2002. Singlet oxygen-mediated protein oxidation: evidence for the formation of reactive side chain peroxides on tyrosine residues. Photochem Photobiol 76: 35-46. 

  5. Wayner DD, Burton GW, Ingold KU, Barclay LR, Locke SJ. 1987.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vitamin E, urate, ascorbate and proteins to the total peroxyl radical-trapping antioxidant activity of human blood plasma. Biochim Biophys Acta 924: 408-419. 

  6. Yu HE, Leaniza MM, Bae YJ, Lee DH, Park JS, Kwak HS, Kim HK, Lee JS. 2005. Screening and extraction condition of antiaging bioactive substance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36-1142. 

  7. Namiki M. 1990. Antioxidants/antimutagens in food. Crit Rev Food Sci Nutr 29: 273-300. 

  8. Cho MH, Bae EK, Ha SD, Park JY. 2005. Application of natural antimicrobials to food industry. Food Sci Ins 38: 36-45. 

  9. Lee JH, Lee SR. 1994. Some phys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substances i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7-323. 

  10. Park JC, Choi JW. 1996. Screening of marine natural products on inhibitory effect of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ation. Kor J Pharmacogn 27: 117-122. 

  11. Choe BL, Lee JR. 1994. Opisthobranchs (mollusca: gastropoda) from Ullung and Dog-do islands, Korea. Korean J Zool 37: 352-376. 

  12. Kandel ER, Schwartz JH, Jessell TM. 2000.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4th ed. Mc Graw-Hill, New York, USA. p 180. 

  13. Kim HS, Choe BL. 1981. The fauna of marine invertebrate in Ulreung is and Dog-do is, special report. The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19: 193-200. 

  14. Lee JS, Min DK. 2002. A catalogue of molluscan fauna in Korea. Opisthobranchs 18: 93-97. 

  15. Nishiwaki S, Ueda H, Makioka T. 1975. Tagging studies on the growth of the sea hare Aplysia kurodai on an intertidal rocky shore. Marine Biology 32: 389-395. 

  16. Tusa Y. 1994. Size-related egg production in a simultaneous hermaphrodite, the sea hare Aplysia kurodai baba (mollusca: opisthobranchia). Publ Seto Mar Biol 36: 249-254. 

  17. Kim CH, Seo HJ, Hwang EY, Kim EJ, Go HJ, Kim IH, Seo JK, Moon JH, Huh MD, Park NG. 2001. Purification of myomodulin A and myomodulin E from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the sea lare, Aplysia kurodai. J Korean Fish Soc 34: 279-284. 

  18. Lloyd PE, Kuufermann I, Weiss KR. 1987. Sequence of small cardioactive peptide A: A second member of a class of neuropeptides in Aplysia. Peptides 8: 179-184. 

  19. Morris HR, Panico M, Karplus A, Lloyd PE, Riniker B. 1982. Elucidation by FAB-MS of the structure of a new cardioactive peptide from Aplysia. Nature 300: 643-645. 

  20. Seo JH, Jeong YJ, Lee GD, Lee MH. 1999. Monitoring characteristics of protease isolated from squid viscer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 195-199. 

  21. Kim JH, Ha JH, Lee EH. 1997. Refining of squid viscera oil. J Kor Soc Appl Biol Chem 40: 294-300. 

  22. Jeong YJ, Seo JH.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for doenjang using squid internal orga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89-93. 

  23. Oh SC, Cho JS. 2002. The change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low salt fermented squid affected by adding to squid ink. J Korean Oil Chem Soc 20: 64-71. 

  24. Shim JH, Kim KM, Bae DH. 2003. Comparison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in noodles containing spinach juice, beetroot juice and cuttlefish ink. Food Eng Prog 7: 37-43. 

  2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6. Paraiathathu T, Kegrer JP. 1992.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by mitochondria from normoxic and hypoxic rat heart tissue. Free Radic Biol Med 13: 289-297. 

  27. Crow JP. 1997. Dichlorodihydrofluorescein and dihydrorhodamine 123 are sensitive indicators of peroxynitrite in vitro: implications for intracellular measurement of reactive nitrogen and oxygen species. Nitric Oxide 1: 145-157. 

  28. Davidson PM, Parish ME. 1989. Methods for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J Food Sci Technol 1: 148-155. 

  29. Lee SH, Shin JH, Koo MO, Jung ES, Jeon GI, Park EJ, Park HR, Lee SC. 2007. Antigenotoxic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nglerfis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229-1234. 

  30. Bae SJ. 2004.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hondria crassicaulis. J Life Sci 14: 411-416. 

  31. Jung YH, Jung BM, Kang DY, Ku MJ, Shin MO, Bae SJ. 2006.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Gloiopeltis tenax. Korean J Nutr 39: 366-371. 

  32. Lee HJ, Kim YA, Ahn JW, Lee BJ, Moon SG, Seo YW. 2004. Screening of peroxynitrite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rom salt marsh plant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9: 57-61. 

  33. Jeong CH, Bae YI, Shim KH, Choi JS. 2004.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lantain (Plantago asiatica 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601-1605. 

  34. Lee HJ, Lee BJ, Lee DS, Seo TW. 2003.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in vitro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by Potulaca oleracea. Korean J Biotechnol Bioeng 18: 165-169. 

  35. Ames BN, Shigenoga MK, Hagen TM. 1993.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Natl Acad Sci 90: 7915-7922. 

  36. Harman D. 1956. Aging: a theory based on free radical and radiation chemistry. J Gerontol 2: 298-300. 

  37. Shin MO, Bae SJ. 2009. The anticarcinogenic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Hemicentrotus pulacherrimus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J Life Sci 19: 607-614. 

  38. Kang DY, Shin MO, Shon JH, Bae SJ. 2009.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elastrus orbiculatus. J Life Sci 19: 52-57. 

  39. Carr AC. 2000. Oxidation of LDL by myeloperoxidase and reactive nitrogen species: reaction pathways and antioxidant protection.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 1716-1723. 

  40. Chung HY, Kim HJ, Kim KW, Chio JS, Yu BP. 2002. Molecular inflammation hypothesis of aging based on the anti-aging mechanism of calorie restriction. Micro Res Techinq 59: 264-272. 

  41. Pannala AS, Rice-Evans CA, Halliwell B, Singh S. 1997. Inhibition of peroxynitrite-mediated tyrosine nitration by catechin polyphenols. Biochem Biophy Res Commu 232: 164-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