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치과위생사의 유니폼이 전문직 자기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Dental Hygienists' Uniforms on Professional Identity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4 no.8, 2010년, pp.1331 - 1340  

서주희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진기남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윤종희 (경일대학교 뷰티코디네이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if the uniforms of dental hygienists influence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on 534 dental hygienist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from March 28 to April 15, 2007. The dependent variable was professional identity. The indepe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이 연구는 전통적 유니폼에서 탈피하려는 탈 규범화 시도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유니폼의 전통적 디자인 경향, 즉 흰색 혹은 무늬 없는 유니폼의 긍정적 효과를 지지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유니폼의 객관적 특성과 이에 대한 주관적 태도가 전문직 자기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유니폼과 관련된 두 가지변수군을 동시에 고려하여, 종속변수에 대한 상대적 설명력도 살펴볼 것이다.
  • 본 연구는 유니폼 특성이나 이에 대한 태도가 전문직 자기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유니폼의 사회심리적 기능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유니폼 특성(색상과 무늬)에 따른 유니폼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치위생사의 조직 관련 특성, 유니폼 특성, 유니폼 인식이 전문직 자기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연구문제 L 유니폼 특성(색상과 무늬)에 따라서 간호사가 지 각한 유니 폼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 유니폼과 관련해서 유니폼의 객관적 특성과 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먼저 유니폼 특성은 색상과 무늬, 두 가지를 조사하였다(표 2).
  • 이를 위하여 치위생사의 조직 관련 특성을 통제한 가운데 위계적 중 다 회귀분석을 시도하겠다. 이러한 연구는 유니폼의 사회적 기능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 유니폼의 폭 넓은 유용성을 밝힌다는데 의의가 있다.
  • 따라서 외모관리에 관심이 많은 사람의 경우 유니폼에 의미를 더 부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유니폼에 대한 인식이 전문직 자기 이미지로 이어지는 효과가 더 부각되리라 가정해 볼 수 있다. 이런 논리에 준하여 외모관리 관심 유무에 따라서 유니폼이 전문직 자기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고애란, 진병호, 심정은. (2000). 청소년기 여학생의 의복행동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연령, 지역차이와 심리적 특성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한국의류학회지, 24(4), 475-486. 

  2. 김선미. (1991). 유니폼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선희. (2002). 국내 간호사복 착용현황에 대한 지역별, 병원규모별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 168-178. 

  4. 김선희, 류은정. (2002). 간호유니폼의 치수적합성과 디자인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8), 183-190. 

  5. 김아날리아, 이수경, 고애란. (2006). 남녀 프리틴 세대의 외모관리행동 영향요인. 한국의류학회지, 30(11), 1538-1549. 

  6. 김조자, 이원희, 허혜경, 김창희, 홍선경. (1993). 간호사의 복장 형태에 따른 간호사 이미지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3(4), 631-648. 

  7. 박상희. (2004). 환자복의 다자인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2(6), 13-21. 

  8. 박종연. (1992). 한국 의사의 직업성 추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박종연. (1993). 한국 의사의 전문직업성 추이. 한국사회학회지, 27, 219-244. 

  10. 심순학, 이정옥, 박숙현. (1993). 임상간호사의 간호유니폼에 대한 선호경향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논문집. 14(4), 95-122. 

  11. 안창현. (2006). 노인병원 간호유니폼 디자인 개발. 서울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이귀향, 이영복. (1988). 간호사회학. 서울: 수문사. 

  13. 이종직. (2003). 호텔직원의 유니폼 만족도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정연희, 김석범, 강복수. (1996). 의사와 간호사의 복장에 대한 의사, 간호사 및 환자의 견해. 영남의대학술지, 13(2), 324-346. 

  15. 정지숙. (2000). 간호사의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와 전문직 자기이미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Achterberg, J. (1991). Woman as healer. Boston: Shambhala. 

  17. Albert, S., & Whetten, D. (1985). Organizational identity. ln L. L. Cummings & B. M. Staw (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pp. 263-295). Greenwich, CT: JAI Press. 

  18. Albert, N. M., Wocial, L., Meyer, K. H., Na, J., & Trochelman, K. (2008). Impact of nurses' uniforms on patient and family perceptions of nurse professionalism. Applied Nursing Research, 21, 181-190. 

  19. Beijaard, D., Meijer, P. C., & Verloop, N. (2004). Reconsidering research on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 107-128. 

  20. Campbell, S., O'Malley, C., Watson, O., Charlwood, J., & Lowson, S. M. (2000). The image of the children's nurse: A study of the qualities required by families of children's nurses' uniform. Journal of Clinical Nursing, 9(1), 71-82. 

  21. Campbell-Heider, N., & Hart, C. A. (1993). Updating the nurse's bedside manner.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5(2), 133-139. 

  22. Coombes, S., & Heilman, J. (1993). A uniform with uniformity. Canadian Nurse, 89(8), 61-62. 

  23. Dobrow, S. R., & Higgins, M. C. (2005). Developmental networks and professional identity: A longitudinal study. Career Development lnternational, 10(6/7), 567-583. 

  24. Freidson, E. (1970). Profession of medicine.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25. Harmer, V. (2010). Are nurses blurring their identity by exlending or delegating roles? British Journal of Nursing, 19(5), 295-299. 

  26. Hawkey, B., & Clarke, M. (1990). Dress sense or nonsense? Nursing Times, 86(3), 28-31. 

  27. Johar, J. S., & Sirgy, J. M. (1991). Value expression versus utilitarian advertising appeal: When and why to use which appeals. Journal of Advertising, 20, 23-24. 

  28. Jones, A. (1988). The white angel (1936): Hollywood's image of Florence Nightingale. In A. H. Jones (Ed.), lmages of nurses (pp. 221-242).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9. Joseph, N. (1986). uniforms and nonuniforms: Communication through clothing. New York: Greenwood Press. 

  30. Kaiser, S. B. (1997).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2nd ed.). New York: Macmillan Pub. co. 

  31. Kalisch, B., & Kalisch, P. (1985). Dressing for success. American Journal of Nursing, 85, 887-893. 

  32. Lehna, C., Peterson, T. G, Grubaugh, K., Mastropietro, S., & Schocttle, B. (1999). Nursing attire: Indicators of professionalism? Jounal of Professional Nursing, 15(3), 192-199. 

  33. Negishi, K., Asahara, K., & Yanai, H. (2010). Developing a professional identity scale. Nippon Koshu Eisei Zasshi, 57(1), 27-38. 

  34. Nelson, K., & Bowen, J. (2000). The effect of employee uniforms on employee satisfaction. Cornell Hotel and Restaurant Administration Quarterly, 41(2), 86-95 

  35. O'conner, S., & Wright, M. (1990). Removing barriers to communication. Nursing Standard, 5(12), 26-27. 

  36. Page, J., & Lawrence, P. A. (1992). Attitude towards dress codes. Nursing Management, 23(12), 48-50. 

  37. Pavalko, R. M. (1971). Sociology of occupational and professions. Itasca: Peacock Publishers Inc. 

  38. Pratt, M. G, & Rafaeli, A. (1997). Organizational dress as a symbol of multilayered social identiti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0(4), 862-898. 

  39. Rafaeli, A. (1993). Dress and behavior of customer-contact employees: A framework for analysis. Advances in Services Marketing and Management, 2, 175-211. 

  40. Shaw, K., & Timmons, S. (2010). Exploring how nursing uniforms influence self image and professional identity. Nursing Times, 106(10), 21-23. 

  41. Sparrow, S. (1991). An exploration of the role of the nurses' uniforms. Nursing Standard, 8(19), 32-36. 

  42. Weitz, R. (1996). The sociology of health. illness, and health care. Boston: Wadsworth Publishing C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