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온대중부지역 소나무림 군락식재모델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Planting Model in the Central Cool Temperate Zone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3, 2010년, pp.107 - 114  

홍석환 ((주)기술사사무소 L.E.T 에코플랜연구센터)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곽정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온대중부지역 소나무림 군락식재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일대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다양한 경급의 소나무림을 조사하였다. 유령림부터 장령림까지 총 $10{\times}10m(100m^2)$의 방형구 92개소를 설치하고, 출현개체별 규격을 모두 조사하였으며, 개체간 생육거리 분석을 위해 44개 조사구에 대해서는 1/100 scale로 교목층과 아교목층 수목의 위치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조사구의 교목층은 양호하게 발달해 있었으나, 아교목층의 흉고단면적이 교목층의 10%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으며, 관목층의 경우 일정한 피복율을 보이지 않고 조사구마다 매우 다양하였다. 이에 소나무 군락식재는 교목층과 관목층의 구조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관목층의 경우에는 특정 경향이 없어 식재하려는 인접 지역의 소나무림을 별도로 조사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군락식재 모델을 위한 소나무 교목층 흉고직경급별 단위면적당 생육개체수 및 단위면적당 생육개체수와 생육수목간 최단거리와의 회귀식은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suggest a Pinus densiflora community planting model in the central cool temperate zone of Korea and nearby area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urveyed various DBH classes of the P. densiflora community in Dangjin-gun, Choongchungnam-do. We surveyed the size of en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소나무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소나무림의 경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생태형으로 생육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 수도권지역이 포함된 온대 중부지역 일대에 적용 가능한 소나무림 군락식재 모델을 위한 식재 수량 및 식재간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일대에서는 인위적 훼손이 거의 없고 저지대 완경사지에 분포하는 다양한 규격의 소나무 군락지는 찾기 어려워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당진군 일대 소나무림을 조사 - 분석하였다.
  • 소나무림의 경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생태형으로 생육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 수도권지역이 포함된 온대 중부지역 일대에 적용 가능한 소나무림 군락식재 모델을 위한 식재 수량 및 식재간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일대에서는 인위적 훼손이 거의 없고 저지대 완경사지에 분포하는 다양한 규격의 소나무 군락지는 찾기 어려워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당진군 일대 소나무림을 조사 - 분석하였다. 당진군 일대 소나무림에 92개 조사구를 유령림부터 장령림까지 다양하게 설치한 후 분석한 결과, 소나무가 교목층에서 우점하는 군락은 대체로 아교목층의 흉고단면적이 교목층의 3%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으며, 관목층 피도의 경우 일정한 피복율을 보이지 않고 조사구마다 매우 다양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온대중부지역의 생태적 기능을 지닌 소나무 경관림의 조성을 위한 군락식재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rown, L.(1981) Building a Sustainable Society, New York: Norton & Company. 

  2. Cho, W.(1998) Planting design in green open space, urban area: Planting evaluation of buffer green space in housing complex. Kor. J. of Env. and Eco. 12(1): 78-90. 

  3. Cousins, S. A. O. and M. Ihse(1998) A methodological study for biotope and landscape mapping based on CIR aerial photographs, Landsc. Urban Planning 41: 183-192. 

  4.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 der Vegetationskunde. Walter, H.(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IV. Stuttgart: 136. 

  5. Harris, L. D.(1984) The Fragmented Forest: Island Biogeography Theory and the Preservation of Biotic Diversi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211. 

  6. Jabu, S.(1987) Restoration of a kaolin clay strip mine for wildlife habitat using biotechnical and revegetation methods. MS thesis: Univ. of Georgia, Athens. 226. 

  7. Kang, H. K. (2001)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model for naturalness restoration of urban plant community. Ph. D. tehsis, Sangmyung Univ. p. 171. 

  8. Kim, J. Y.(2007)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planting models for the urban green space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middle temperate zones, Korea. Ph. D. thesis, Uinv. of Seoul. p. 264. 

  9. Korea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08) 2008 statistics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p. 405. 

  10. Kwon, J. O.(1997) Study on the ecological planting models by the analysis on the natural vegetation in middle district, Korea. p. 116. 

  11. Lee, K. J., B. H. Han and O. H. Lee(1998)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nd ecological destanc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Chayang-chon area,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1(4): 493-505. 

  12. Lee, S. D., K. J. Lee and J. W. Choi(2009) Management plan to consider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Seoul. Kor. J. Env. Eco. 23(3): 258-271. 

  13. Lim, K. B.(1985) Fundamental of Silviculture. Hayngmoon Press. p. 327. 

  14. O'Neill, R. V., B. T. Milne, M. C. Turner and R. H. Gardner(1988) Resource utilization scales and landscape pattern. Lands. Ecol. 2(1) : 63-69. 

  1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0) Guidelines on the biotope surbey and the eco-city construction for application the urban eco-system concept to urban planni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Korea. p. 245. 

  1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05) Biotpe map developmen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Korea. p. 264. 

  17. Westhoff, V., van der Maarel(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Handbook of vegetation science, Whittaker, R. H.(ed.)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Dr. Junk, The Hague. pp. 617-726. 

  18. Yli-Pelkonen and V. J. Niemela(2006) Use of ecological information in urban planning: Experiences from the Helsinki metropolitan area, Finland. Urban Ecosystems 9(3): 211-2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