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관 바람 관측 자료를 이용한 북한 지역의 풍력자원 분석
An Analysis of Wind Energy Resources using Synoptic Observational Data in North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1 no.3, 2010년, pp.225 - 233  

윤준희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서은경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박영산 (국립기상연구소) ,  김학성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북한 지역의 27개 기상관측지점의 30년 바람 자료를 이용하여 고도 50 m에서의 풍력밀도를 분석하였다. 27개 지점의 연평균 풍력밀도는 58.6W/$m^2$로 1등급에 해당하는 풍력 자원이었다. 계절에 따른 평균 풍력밀도는 겨울보다 봄에 더 높았으며, 여름에는 봄의 50% 정도의 풍력밀도를 나타냈다. 풍력밀도의 일변화를 보면 거의 모든 관측 지점에서 오후에 비교적 높은 풍력밀도와 오전 3-6시 경에 낮은 풍력밀도를 보였으며, 일변화의 진폭은 봄에 가장 컸다. 특히 내륙 중심부인 개마고원 지역과 함경북도 동북부, 평안도 남부 해안, 황해도 해안 근처에서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냈다. 장진에서의 연평균 풍력밀도는 3등급인 151.2 W/$m^2$를 나타냈으며, 용연은 2등급인 102.4 W/$m^2$의 값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nd power density distribution over the North Korea territory was investigated by using 30-year wind observations at 27 meteorological stations. The mean annual wind power density over North Korea turned out to be 58.6W/$m^2$, which corresponds to the wind power class of 1. The wind po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30년간 지상관측 바람 자료를 이용하여 공기의 운동에너지 분포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북한의 전체적인 풍력자원의 분포와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북한의 풍력 에너지 활용의 경제성 평가와 풍력 자원 선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공기의 이동으로 형성된 운동에너지는 통과한 공기의 질량(m)과 풍속(V)의 함수로, 바람에 의한 단위 시간당풍력(wind power)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단, 시간에 따른 풍속의 변화가 없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의 풍력 자원 조사단을 통한 자료 수집 결과를 통해 무엇을 알 수 있는가? 북한은 1978년에 풍력 자원 조사단을 구성하여 지난 20년 동안 북한 전 지역 130개 지점에서 풍속 데이터 측정기를 설치하여 풍속 자료를 수집해왔다(이유진 외, 2007). 이 결과 연평균 풍속이 4.5 m/s인 지역이 국가 전 면적의 1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자료를 바탕으로 4GW에 달하는 풍력에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기후적 여건을 가지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손충렬, 2006). 2007년에는 총 5천 kW의 풍력발전을 시범 단지에 설치하여 풍력발전 도입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조동호 외,2007), 중장기적으로 2020년까지 풍력 단지 조성 및 풍력 에너지 분야 개발을 통해 총 풍력 발전 에너지량이 500 MW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손충렬,2006).
북한이 1978년에 풍력 자원 조사단을 구성하여 무엇을 수집하였는가? 북한은 1978년에 풍력 자원 조사단을 구성하여 지난 20년 동안 북한 전 지역 130개 지점에서 풍속 데이터 측정기를 설치하여 풍속 자료를 수집해왔다(이유진 외, 2007). 이 결과 연평균 풍속이 4.
북한이 화석에너지에 전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어떤 것이 필요하게 되었는가? 북한은 2005년에 지구온난화의 규제 및 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인 유엔기후변화협약인 교토의 정서에 동참하였다(손충렬, 2006; 장용훈, 2005). 화석에너지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북한으로서는 새로운 대체 에너지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에너지 공급 방식의 다양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전력난을 겪고 있는 북한에서는 대체 에너지 개발을 위해 풍력발전을 활용하는 방안이 확대 추진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경남호, 윤정은, 장문석, 장동순, 2003, 한반도 해역의 해상풍력자원 평가.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23, 35-41. 

  2. 고경남, 허종철, 2007, 풍력공학입문. 문운당, 서울, 252 p. 

  3. 기상청, 2007, 풍력자원지도 개발 연구 보고서. 기상청자료관리서비스팀, 11-1360000-000355-14, 102 p. 

  4. 김건훈, 경남호, 김은일, 장문석, 배재성, 김석우, 김성완,김홍우, 주영철, 하종호, 윤정은, 2005, 풍력자원 정밀조 사 및 풍력단지 개발 기술 증진 연구. 한국에너지기술 연구원 보고서, KIER-A44322, 504 p. 

  5. 김도우, 변희룡, 2008, 한반도 바람자원의 시공간적 분포.대기지, 18, 171-182. 

  6. 김현구, 최재우, 2002, 풍력에너지 이용 및 개발 현황.RIST 연구논문, 16, 479-485. 

  7. 김현구, 이화운, 정우식, 2005, 한반도 바람지도 구축에 관한 연구 I.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해상풍력자원 평가.한국대기환경학회지, 21, 63-72. 

  8. 김현구, 장문석, 이화운, 김동혁, 최현정, 2006, 수치바람모의에 의한 저해상도 국가 바람지도의 구축.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26, 31-38. 

  9. 박경호, 김건훈, 조덕기, 전홍석, 1994, 국내의 풍력자원 분포특성분석. 한국에너지공학회지, 3, 187-192. 

  10. 서은경, 윤준희, 박영산, 2009, 북한 지역에서의 30년 동안의 평균 바람 지도. 한국지구과학회지, 30, 845-854. 

  11. 손충렬, 2006, 북한과학기술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4, 109-124. 

  12. 윤재옥, 김명래, 2008, 대학교 캠퍼스의 풍력자원 측정 및 분석. 한국생태환경 건축학회 논문집, 8, 19-24. 

  13. 이민식, 2008, 세계 풍력발전산업의 동향 및 전망. 산업은행조사월보, 626, 97-107. 

  14. 이유진, 이강준, 윤지훈, 장주영, 2007, 남북에너지 협력방안 연구-재생가능에너지를 중심으로. 2007년도 국회 연구용역 과제 보고서, 120 p. 

  15. 이은정, 조일성, 허철운, 김태룡, 이동일, 김영신, 2008, 기상정보를 활용한 풍력자원지도 개발 연구. 한국기상학회 봄 학술대회 논문집, 332-333. 

  16. 장문석, 2008, 신재생에너지 백서. 지식경제부, 3, 294-316. 

  17. 장용훈, 2005, 北, 교토의정서 가입 배경과 전망. http://news.naver.com (검색일: 2009. 6. 10) 

  18. 조동호, 고일동, 김상기, 김상훈, 김은영, 이은경, 2007, KDI 북한경제리뷰. 한국개발연구원, 85 p. 

  19. Celik, A.N., 2003, A statistical analysis of wind power density based on the Weibull and Rayleigh models at the southern region of Turkey. Renewable Energy, 29, 593-604. 

  20. Elliot, D.L., Holladay, C.G., Barchet, W.R., Foote, H.P., and Sandusky, W.F., 1986, Wind energy resource Atlas of the United States. Solar Energy Research Institute (now the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Golden, Colorado. Available online, http://rredc.nrel.gov/ wind/pubs/atlas. 

  21. Jewer, P., Iqbal, M.T., and Khan, M.J., 2005, Wind energy resource map of labrador. Renewable Energy, 30, 989-1004. 

  22. Khan, M.J. and Iqbal, M.T., 2004, Wind energy resource map of Newfoundland. Renewable Energy, 29, 1211-1221. 

  23. Nyouky, P., 2009, A feasibility study on wind energy resource for utility-scale application: A case analysis from Greater Banjul Area, The Gambia. A Master’s Thesis, National Central University in Taiwan, 88 p. 

  24. Panofsky, H., 1973, Tower micrometeorology. Workshop on Micrometeor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151-176. 

  25. Panofsky, H.A. and Dutton, J.A., 1984, Atmospheric turbulence.John Wiley and Sons, NY, USA, 397 p. 

  26. Stevens, M.J. and Smulders, P.T., 1979, The estimation of the parameters of the Weibull wind speed distribution for wind energy utilization purposes, Wind Engineering, 3, 132-145. 

  27. Weisser, D. and Foxon, T.J., 2003, Implications of seasonal and diurnal variations of wind velocity for power output estimation of a turbine: A case study of Grenada, 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Research, 27,1165-1179. 

  28. Zhang, S.F., 1981,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ower law and the logarithmic law using wind data from a 164 m tower. Boundary-Layer Meteorology, 20, 117-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