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함수 개념의 현상학
Phenomenology of the concept of functions 원문보기

한국수학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23 no.3, 2010년, pp.75 - 90  

유윤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함수 개념을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측면에서 분석하면 인과, 명명, 연산, 변화, 도형, 형태, 변수, 범함수, 작용소 등 적어도 9가지의 양상이 존재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함수 개념은 현재 3단계로 성장해 왔다는 것이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function concept is classified in the phenomenological aspect. According to the study, function concept is classified as causality, designation, operation, change, figure, morhism, variables, functional, and operator. This classifications are categorized as pre-level function, basic 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함수의 현상학적 분류로서 함수의 형성 과정, 사용하는 맥락, 기능과 역할을 중심으로 기술하려고 한다.
  • 본체적 개념을 이용하여 함수 개념을 지도할 때 어떤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가를 심리적, 역사발생적, 수학적, 교수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자.
  • 위의 분석에 의하면 함수 개념은 적어도 전 함수 층위, 표준 함수 층위, 상위 함수 층위 등 세 가지 단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의 특징을 간략하게 살펴보자.
  • 이제 표준 정의를 해석학적 관점에서 다루어보자. 함수 개념을 어떤 식으로 전개하든 궁극적으로 해석의 문제로 귀착된다면 이제 대응이라는 Dirichlet의 견해는 어떻게 해석될까? 도대체 Dirichlet가 말하는 대응이라는 게 무엇인가? 정상적인 수학을 배운 사람이라면 대응 개념을 이해하고 있고 이 기반에 기초하여 함수인 것과 함수가 아닌 것을 구별할 수 있다.
  • 한편 이 문제를 역사발생적 관점에서 다루어 보자. 식물학자가 식물들을 관찰하고 유사성과 차이성을 통하여 개개의 식물을 분류한 후 그 전체의 윤곽을 그리다 보면 식물 분류표가 만들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사성 기반 견해의 초기 이론 두 가지에서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개념은? 한편 본보기 이론은 관찰자가 어떤 사례들을 마음속에 가지고 있고 새로운 대상이 나타났을 때 그 대상을 마음속에 이미 가지고 있는 사례들과 비교하여 범주화한다는 이론이다. 이 두 이론은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모두 fuzzy 개념을 가지고 있다.
현대 함수 개념은 누구에 의하여 제안되었는가? 현대 함수 개념은 Dirichlet에 의하여 제안되고 Bourbaki 학파에 의하여 정의된 Dirichlet-Bourbaki 함수 정의를 사용하고 있는데 여기서 이것을 표준 함수 정의라고 하자. 표준 함수 정의는 수학에서 나타난 모든 함수 현상을 추상하여 만든 정의이다.
표준 함수 정의란? 현대 함수 개념은 Dirichlet에 의하여 제안되고 Bourbaki 학파에 의하여 정의된 Dirichlet-Bourbaki 함수 정의를 사용하고 있는데 여기서 이것을 표준 함수 정의라고 하자. 표준 함수 정의는 수학에서 나타난 모든 함수 현상을 추상하여 만든 정의이다. 그 결과 이 개념은 함수 개념의 지표를 축조하기 위한 원리적이고 선언적 정의이지 실제 사용하기 위하여 제시된 정의는 아니라는 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derson, J. R., The Architecture of cogni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3. 

  2. Anderson, J. R., Cognitive Psychology and Its Implications, New York : W. H. Freeman & Company, 1995. 

  3. Davis, P. J. & Hersh, R., The Mathematical Experience, Boston, NJ: Birkhauser, 1981. 

  4. Davis, R. B., Complex mathematical Cognition. In H. Ginsburg (E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Thinking, New York: Academic Press, 254-290, 1983. 

  5. Dienes, Z. P.,Building up mathematics, London: Hutchinson Educational, 1960. 

  6. Dubinsky, E., Reflective Abstraction and Computer Experiences: A new approach to teaching theoretical mathematics, In Lappan, Glenda, Even, & Ruhama, (Eds), Proceedings of the Eighth Annual Meeting of PME-NA, E. Lansing, MI: Michigan State University, 1986. 

  7. Freudenthal, H., Mathematics as an Educational Task, Dordrecht, Netherlands: Reidel, 1973. 

  8. Gray E. M. & Tall, D., "Duality, ambiguity and flexibility: A proceptual view of simple arithmetic," Th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6(1994), No.2, 115?141. 

  9. Greeno, J, Conceptual Entity. In D. Genter & A. L. Stevens(Eds.) Mental Models, 227?252,1983. 

  10. Johnson-Laird, P. N, Mental model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3. 

  11. Lakoff, G. & Johnson, M., Philosophy in the Flesh: The Embodied Mind and Its Challenge to Western Thought, New York: Basic Books, 1999. 

  12. Lakoff, G. & Johnson, M., Metaphors We Live By,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3. 

  13. Lakoff, G. & Nunez, R., Where Mathematics Comes From: How the Embodied Mind Brings Mathematics into Being, New York: Basic Books, 2000. 

  14. MacLane, S., Categories for the working mathematician, New York: Springer Verlag, 1971. 

  15. Piaget, J., The Principles of Genetic Epistemology,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72. 

  16. Rosch, E.,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perceptual and semantic categories. In T. E. Moore(Ed.),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 acquisition of language, New York: Academic Press, 1973. 

  17. Rosch, E., Cognitive representation of semantic categorie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04(1975), 192-233. 

  18. Rosch, E.,& Mervis, C. B. "Family resemblance: Studies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categories," Cognitive Psychology 7(1975), 573-605. 

  19. Rosch, E. & Mervis, C. B, "Categorization of natural object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2(1981), 89-115. 

  20. Sfard, A, Two conceptions of mathematical notions: operational and structural, Proceedings of PME XII Montreal, Canada(1988), 162?1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