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내과적 치료를 받는 관상동맥질환자의 간호표준 개발
The Development of Nursing Standard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Who Received Medical Treatment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6 no.3, 2010년, pp.326 - 335  

노원정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nursing standards for medical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CAD)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methodological study. The content of nursing standards for medical patients with CAD developed in this study was validated. The nursing standar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예비항목 작성은 미국간호협회(ANA)의 심혈관계 간호업무 표준과 대한간호협회의 간호표준(2003)을 바탕으로 하였다. 그에 더하여 관상동맥질환자를 간호하는 병동, 중환자실, 심도자실 등의 임상간호 매뉴얼을 바탕으로 하였다. 또한 관상동맥질환자의 간호 및 치료와 관련된 성인간호학(Kim et al.
  • 내용타당도가 검증된 관상동맥질환자 간호표준(안)에서 제시한 간호활동의 임상 수행율과 임상적합성을 조사하고, 수행율과 임상적합성이 떨어진 항목은 그 이유를 분석한 뒤 최종적인 관상동맥질환자 간호표준을 개발하는데 반영하였다. 조사대상은 심혈관센터 내에 외래와 심도자실, 심혈관계 중환자실이 있고, 관상동맥질환자 전담간호사가 있으며, 심혈관계 병동이 따로 있어 관상동맥질환자를 집중적으로 간호할 수 있는 서울 소재 K 대학병원으로 선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내과적 치료를 받는 관상동맥질환자의 간호요구에 부응하고, 관상동맥질환자 간호표준에 따른 기준과 지표, 간호활동을 개발하여, 관상동맥질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실무 지침서로 사용하고자 한다. 동시에 관상동맥질환자에게 제공하는 간호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임상실무 수행능력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내과적 치료를 받는 관상동맥질환자 간호의 질 평가 및 관상동맥질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업무 수행능력을 발전시키기 위한 간호표준 개발을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내과적 치료를 받는 관상동맥질환자에게 제공하는 간호서비스 질 평가의 근거가 되며, 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과적 치료를 받는 관상동맥질환자의 간호표준을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내과적 치료를 받는 관상동맥질환자의 간호표준에 따른 간호활동을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로서, 연구의 목적은 내과적 치료를 받는 관상동맥질환자에게 제공하는 간호서비스질 평가의 근거가 되며, 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과적 치료를 받는 관상동맥질환자의 간호표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 간호표준이란 간호 또는 간호전문직 수행의 바람직한 수준에 대한 요약된 진술(ANA, 1998)로 간호실무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것으로 바람직한 탁월성의 수준에 대한 요약적 진술이다(Lee, 1997).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질환자 간호 수행의 바람직한 수준에 대한 진술로 내과적 치료를 받는 관상동맥질환자 간호실무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의미한다. 이는 ‘자료수집, 진단, 계획, 수행, 평가’의 5가지 간호실무표준과 ‘윤리, 업무수행평가, 교육, 연구, 협동, 자원활용, 간호의 질관리’의 7가지 전문직 수행표준으로 총 12개의 간호표준으로 이루어졌다.
  • 간호기준이란 간호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업무에 대한 성취 정도에 대한 기대 수준으로 간호표준의 성취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 가능한 요소이며(ANA, 1998), 간호중재나 환자행동 및 환자에게 나타난 임상 현상에 대한 진술이다(Lee, 1997). 본 연구에서는 내과적 치료를 받는 관상동맥질환자 간호표준의 성취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24개의 요소를 의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내과적 치료를 받는 관상동맥질환자에게 제공하는 간호서비스 질 평가의 근거가 되며, 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과적 치료를 받는 관상동맥질환자의 간호표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내과적 치료를 받는 관상동맥질환자의 간호요구에 부응하고, 관상동맥질환자 간호표준에 따른 기준과 지표, 간호활동을 개발하여, 관상동맥질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실무 지침서로 사용하고자 한다. 동시에 관상동맥질환자에게 제공하는 간호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임상실무 수행능력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간호서비스의 질 평가를 위해서는 간호표준을 설정하여, 실무 기준을 작성하고 기준에 따른 실행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만들어 간호활동을 평가하고 수정·보완하는 순환과정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질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실무 지침서로 사용하며, 관상동맥질환자에게 제공하는 간호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임상실무 수행능력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관상동맥질환자 간호표준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상동맥질환이란? 관상동맥질환은 심근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죽상경화로 인해 좁아지거나 폐색되어 심근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산소를 공급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허혈성 질환으로, 일시적인 산소부족으로 나타나는 협심증과 비가역적인 심근의 괴사를 초래하는 심근경색증을 포함한다(Burke, 2003; Spoko, 2002). 미국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6)의 보고에 따르면, 관상동맥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과 같은 내과적 치료방법의 발달로 관상동맥질환으로 사망하는 환자수는 10년 전에 비해 14.
미국에서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어떠한가? 7% 감소하였다고 한다. 미국인 사망자 5명 중 1명이 관상동맥질환자로 사망률은 여전히 높지만 1950년 이후의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이다.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국내 사망률은 어떠한가? 1명이 증가하였다. 심장 질환 중에서도 심근경색증과 협심증을 포함하는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명 당 29.5명으로 심장질환 중에서 가장 높다(Statistics Korea,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6).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 

  2. American Nurses Association (1998). Standards of clinical nursing practice, 2nd edition. 

  3. Beyer, M. K. (1988). Quality; The banner of 1980s.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3(30), 617-623. 

  4. Burke, L. E. (2003). Primary prevention in patients with a strong family of coronary heart disease. J Cardiovasc Nurs, 18(2), 139-143. 

  5. Cho, H. Y. (2007).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 the patients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 Cornett, S. J., & Watson, J. E. (1984). Cardiac rehabilitation: An interdisciplinary team approach. New York: John Wiley & Sons. 

  7. Craft-Rogenberg, M., & Jirathummakoon, S. (2003). Nursing diagnosis extension and classification: Ongoing phase. Int J Nurs Terminol Classif, 14(s4), 2. 

  8. Kil, Y. K. (2002). Development of nursing activities based upon neurosurgical nursing service standar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unsei University, Seoul. 

  9. Kim, G. Y. (1998). Development of a critical pathway for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J Korean Acad Nurs, 28(1), 117-131. 

  10. Kim, K. M. J., Kim, K. J., Cha, Y. N, Jang, H. S., Han, H. S., Chung, J. S., Yoon, J., Kong, E. S., Chung, Y. S., Whang, S. J., & Yang, B. S. (2006). NANDA nursing diagnoses, goals and interventions. Seoul: Hyunmoonsa. 

  11. Kim, K. S. (2008). Development of critical quality indicators for care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2. Kim, J. J., Kim. N. C., Kim. M. J., Kim. S. S., Kim, O. S., Kim, Y. S., Kim. C. K., Rho. U. J., Park, J. H., Seo, Y. O., Song, R. Y., Shin, K. R., Oh, U. K., Oh, B. J., Choi, Y. H., Tae, Y. S., Hhu, H. K., & Hong, M. S. (2002). Adult Nursing II. Seoul: Hyunmoonsa. 

  13. Kinney, M. R., & Packa, D. R. (1996). Comprehensive cardiac care. Missouri: CV Mosby company. 

  14. Ko, Y. K. (2002). Job analysis of the staff nurse in cardiac surgery intensive care uni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5. Korea nurses Associations (2003). Nursing standards. 

  16. Lee, B. S. (1997).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tool for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abdominal surgery patients. J Korean Acad Nurs Admin, 4(1), 107-127. 

  17. Lee, Y. J. (2007). A meta analysis of the effects of nursing interventions o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8. Lim, K. C., & Park, K. O. (1997). A study on the role of neurology clinical nurse specialist in tertiary-affilited hospital. Seoul J Nurs, 11(1), 69-84. 

  19.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 Res, 35(6), 382-385 

  20. McCain, N. L. (1985). A test of Cohen's developmental model for professional socialization with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 Nurs Educ, 24(5), 180-186. 

  21. Park, C. H. (1994). Predictability of procedural success of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2. Song, C. R. (1999). Development of Korean standards of home health nursing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3. Spoko, G. (2002). Preventing cardiac events and restenosi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JAMA, 287(24), 3259-3261. 

  24. Statistics Korea (2007). URL http://www.nso.go.kr/kosisdb.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5. The Korean Society of Circulation (2004). The textbook of cardiovascular medicine. 

  26. Yoon, M. S. (2006). Development of discharge education content for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