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클로미펜을 이용한 배란 유도 후 임신된 다낭성 난소 증후군 여성에서 발견된 병합임신: 양측 난관임신 및 쌍태아 임신 1예
Heterotopic Pregnancy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Woman Conceived after Ovulation Induction by Clomiphene Citrate: A Case of Bilateral Tubal Pregnancies and Intrauterine Twin Pregnancy 원문보기

대한생식의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v.37 no.3, 2010년, pp.261 - 266  

우장환 (관동대학교 의학대학 제일병원 산부인과) ,  최규홍 (관동대학교 의학대학 제일병원 산부인과) ,  김봉석 (관동대학교 의학대학 제일병원 산부인과) ,  안계형 (관동대학교 의학대학 제일병원 산부인과) ,  김윤영 (관동대학교 의학대학 제일병원 산부인과) ,  채용화 (관동대학교 의학대학 제일병원 산부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병합임신은 자궁 외 임신으로 인한 증상이 정상 자궁 내 임신으로 인한 것으로 오인되어 진단이 늦어지기 쉽다. 이러한 병합임신은 배란 유도제의 사용 및 보조 생식술로 인해 최근 증가되는 추세이다. 저자들은 다낭성 난소 증후군 여성에서 클로미펜을 이용한 배란 유도 후 임신된 여성에서 자궁 내 쌍태아 및 양측 난관에 임신이 된 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agnosis of heterotopic pregnancy could be delayed because of insufficient clinical symptoms. Many clinician mistook the symptoms associated with ectopic pregnancy for the symptoms of complicated normal intrauterine pregnancy. The incidence of heterotopic pregnancies has been increased because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6 클로미펜을 사용하는 경우 약 5~10%의 환자에서 다태임신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으며,7 드물지만 일부 문헌에서는 본 증례와 같이 쌍태임신과 동반된 자궁 외 임신의 보고도 있다.8 이에 저자들은 다낭성 난소 증후군 여성에서 클로미펜으로 배란 유도 후 나타난 전 세계적으로 드문 특이한 형태의 병합임신인 양측 난관임신 및 쌍태아 임신에 대해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저자들은 29세 경산부에서 다낭성 난소 증후군으로 배란 유도를 위해 클로미펜을 복용 후 발생한 드문 형태의 병합임신인 양측 난관임신 및 정상 쌍태아 임신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합임신 발병률은? 병합임신은 두 개 이상의 수정란에 의해 자궁강내 및 자궁 외 임신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으로, 자연임신에서는 약 10만 명당 3.3~6.4명에서 보이는 매우 드문 질환이나,1,2 최근에는 다양한 배란 유도 제의 사용과 보조 생식술의 발달 및 자궁 외 임신의 위험 인자인 골반염의 증가, 골반 수술의 증가로 인해 빈도가 증가되고 있다.3,4
병합임신은 무엇인가? 병합임신은 두 개 이상의 수정란에 의해 자궁강내 및 자궁 외 임신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으로, 자연임신에서는 약 10만 명당 3.3~6.
배란 유도제로 클로미펜이 사용되는 이유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은 배란의 장애로 인해 가임력의 저하를 보일 수 있는 질환으로,5 임신을 원하는 환자들에게서는 배란 유도를 위해 식이조절 및 체중감량과 같은 생활방식의 교정과 함께 배란 유도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수술적인 교정과 보조 생식술을 이용하기도 한다.6 특히 클로미펜은 가격이 저렴하고, 경구 투여가 가능해 환자들이 사용하기 편하며, 부작용이 비교적 적고, 난소 반응의 모니터링을 자주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과 함께 가장 많이 임상에서 사용된 약제로 풍부한 임상 결과로 인해 배란 유도를 위한 안전한 1차적 약제로 선택되고 있다.6 클로미펜을 사용하는 경우약 5~10%의 환자에서 다태임신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으며,7 드물지만 일부 문헌에서는 본 증례와 같이 쌍태임신과 동반된 자궁 외 임신의 보고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layton HB, Schieve LA, Peterson HB, Jamieson DJ, Reynolds MA, Wright VC. A comparison of heterotopic and intrauterineonly pregnancy outcomes afte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in the United States from 1999 to 2002. Fertil Steril 2007; 87: 303-9. 

  2. De VR, Pratt JH. Simultaneous intrauterine and extrauterine pregnancy. Am J Obstet Gynecol 1948; 56: 1119-26. 

  3. Mantzavinos T, Kanakas N, Zourlas PA. Heterotopic pregnancies in an in-vitro fertilization program. Clin Exp Obstet Gynecol 1996; 23: 205-8. 

  4. Svare J, Norup P, Grove Thomsen S, Hornnes P, Maigaard S, Helm P, et al. Heterotopic pregnancies after in-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a Danish survey. Hum Reprod 1993; 8: 116-8. 

  5. Hull MG. Epidemiology of infertility and polycystic ovarian disease: endocrinological and demographic studies. Gynecol Endocrinol 1987; 1: 235-45. 

  6. Thessaloniki ESHRE/ASRM-Sponsored PCOS Consensus Workshop Group. Consensus on infertility treatment related to polycystic ovary syndrome. Hum Reprod 2008; 23: 462-77. 

  7. Asch RH, Greenblatt RB. Update on the safety and efficacy of clomiphene citrate as a therapeutic agent. J Reprod Med 1976; 17: 175-80. 

  8. Fujii M, Mori S, Goto T, Kiya T, Yamamoto H, Ito E, et al. Simultaneous intra- and extra-uterine pregnancy with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after induction of ovulation: a case report. J Obstet Gynaecol Res 1996; 22: 589-94. 

  9. Tummon IS, Whitmore NA, Daniel SA, Nisker JA, Yuzpe AA. Transferring more embryos increases risk of heterotopic pregnancy. Fertil Steril 1994; 61: 1065-7. 

  10. Soriano D, Shrim A, Seidman DS, Goldenberg M, Mashiach S, Oelsner G. Diagnosis and treatment of heterotopic pregnancy compared with ectopic pregnancy. J Am Assoc Gynecol Laparosc 2002; 9: 352-8. 

  11. Tal J, Haddad S, Gordon N, Timor-Tritsch I. Heterotopic pregnancy after ovulation induction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 literature review from 1971 to 1993. Fertil Steril 1996; 66: 1-12. 

  12. Rotterdam ESHRE/ASRM-Sponsored PCOS consensus workshop group. Revised 2003 consensus on diagnostic criteria and long-term health risks related to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Hum Reprod 2004; 19: 41-7. 

  13. Franks S. Polycystic ovary syndrome. N Engl J Med 1995; 333: 853-61. 

  14. Zain MM, Jamaluddin R, Ibrahim A, Norman RJ. Comparison of clomiphene citrate, metformin, or the combination of both for first-line ovulation induction, achievement of pregnancy, and live birth in Asia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Fertil Steril 2009; 91: 514-21. 

  15. Hughes E, Collins J, Vandekerckhove P. Clomiphene citrate for ovulation induction in women with oligo-amenorrhoea.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0: CD000056. 

  16. Eijkemans MJ, Imani B, Mulders AG, Habbema JD, Fauser BC. High singleton live birth rate following classical ovulation induction in normogonadotrophic anovulatory infertility (WHO 2). Hum Reprod 2003; 18: 2357-62. 

  17. Homburg R. Clomiphene citrate--end of an era? A mini-review. Hum Reprod 2005; 20: 2043-51. 

  18. Messinis IE, Milingos SD. Current and future status of ovulation induction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Hum Reprod Update 1997; 3: 235-53. 

  19. Boomsma CM, Eijkemans MJ, Hughes EG, Visser GH, Fauser BC, Macklon NS. A meta-analysis of pregnancy outcomes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Hum Reprod Update 2006; 12: 673-83. 

  20. Legro RS, Barnhart HX, Schlaff WD, Carr BR, Diamond MP, Carson SA, et al. Clomiphene, metformin, or both for infertility in the polycystic ovary syndrome. N Engl J Med 2007; 356: 551-6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