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암컷 백서에게 태음조위탕과 도담탕을 8주 동안 경구 투여하였을 때 에너지와 포도당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태음조위탕은 체중과 복부지방에 지방 축적을 나타내는 mesenteric fat과 retroperitoneal fat 양을 감소시키는 경향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태음조위탕은 대조군에 비해 식이섭취량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도담탕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과 복부지방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것은 식이 섭취량의 감소에 기인하였다. 에너지 소모량은 고지방식이군과 저지방식이군에 차이가 없었고 태음조위탕과 도담탕도 에너지 소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에너지원으로 지방을 사용하는 것은 도담탕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고지방식이에서는 체내 인슐린 저항성을 나타내는 $HOMA_{IR}$의 값이 높았고, 도담탕은 이것을 통계적으로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또한,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양도 도담탕을 섭취한 백서에서 가장 많았고, 반면에 간에 저장된 중성 지방 함량은 가장 낮았다. 결론적으로 고지방을 장기간 투여한 암컷 백서에서 체내 에너지와 포도당 대사에 장애가 나타났으며, 태음조위탕과 도담탕이 모두 이러한 장애를 해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도담탕이 효과적으로 에너지와 포도당 대사를 정상화시켰다. 그러므로 비만인 사람에게서 효과적으로 에너지와 포도당 대사를 정상화시킬 수 있는 지에 대한 인체 실험을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ae-Um-Jo-wee-Tang (TUJWT) and Do-Dam-Tang (DDT) have been used as an anti-obesity herbal medicine but their effect and mechanism of action have not been studied.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UJWT and DDT on energy and glucose homeostasis using Sprague Dawley female rats with diet-induced obes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태음조위탕에는 식이 섭취량을 감소시켜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의이인과 마황이 함유되어 있어서 효과가 좋을 것으로 기대하였다[Hioki 등, 2004; Kim 등, 2004].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암컷 백서에게 고지방식이를 투여하면서 비만 처방으로 태음조위탕과 도담탕을 복용시켰을 때 항비만 효과와 기전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암컷 백서에게 태음조위탕과 도담탕을 8주 동안 경구 투여하였을 때 에너지와 포도당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태음조위탕은 체중과 복부지방에 지방 축적을 나타내는 mesenteric fat과 retroperitoneal fat 양을 감소시키는 경향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 또한, 한약으로는 태음조위탕이나 도담탕, 감비제습탕 등이 있는데 태음조위탕의 항비만 효과에 대한 논문은 몇 편이 있지만 도담탕에 대한 효과를 조사한 연구는 아직 없었고 이들의 기전 연구도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발시킨 태음조위탕과 도담탕을 변형시킨 한약 처방들의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의 주요 원인은? 이에 따라 정상 체중을 남자의 경우 체질량지수를 23 kg/m2 이하로 여자는 체질량지수 22 kg/m2 이하로 정하였다[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비만의 주요 원인으로 기름진 음식의 섭취, 균형 잡히지 못한 식단, 잦은 간식, 운동 부족 등으로 에너지 섭취량이 소모량에 비해 높은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체내 에너지 대사는 여러 단계에 의해서 조절되고 있으며 에너지 섭취량은 시상하부의 식욕촉진 중추와 식욕억제 중추의 조절에 작용하는 시신경전달 물질이나 호르몬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졌다[Bjorbaek와 Kahn, 2004; Sahu, 2004].
태음조위탕과 도담탕은 각각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태음조위탕과 도담탕 제조. 태음조위탕은 의이인, 건률, 나복자, 오미자, 석창포, 길경, 마황으로 구성되었고, 도담탕은 백복령, 천남성, 지각, 진피, 반하, 향부자, 자초, 목단피, 청피, 생강, 감초로 구성되었다. 태음조위탕과 도담탕은 Table 1과 같은 조성으로 약재의 총량과 물을 1:5로 80°C에서 3시간 동안 끓인 후 식힌 후 다시 한번 물을 1:3의 비율로 넣고 앞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태음조위탕이란?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한약처방으로 태음조위탕, 도담탕, 감비제습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태음조위탕은 이제마의 동의수세보원이 소개된 처방으로 태음인의 황달, 상한, 시기두통, 위궤양에 사용하던 처방으로 근세에는 비만 처방으로 사용되어 왔다[Jeon 등, 1996; Yoon 등, 2002]. 태음조위탕을 비만 처방으로 수행한 연구로는 여러 연구가 있으며 체지방과 간에 지방 축적의 감소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Jeon 등, 1996; Yoon 등,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dman MK and Flier JS (2007) The adipocyte as an active participant in energy balance and metabolism. Gastroenterology 132, 2103-2115. 

  2. Bjorbaek C and Kahn BB (2004) Leptin signaling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the periphery. Recent Prog Horm Res 59, 305-331. 

  3. Bonner RF and Nossal R (1990) Principles of laser-doppler flowmetry. In: Laser-doppler blood flowmetry. Shepherd AP. Oberg PA. eds. Kluwer Academic, Boston, 17-45. 

  4. Diepvens K, Westerterp KR, and Westerterp-Plantenga MS (2007) Obesity and thermogenesis related to the consumption of caffeine, ephedrine, capsaicin, and green tea. Am J Physiol Regul Integr Comp Physiol 292, R77-R85. 

  5. Dodt C, Lonnroth P, Wellhoner JP, Fehm HL, and Elam M (2003) Sympathetic control of white adipose tissue in lean and obese humans. Acta Physiol Scand 177, 351-357. 

  6. Garruti G, Cotecchia S, Giampetruzzi F, Giorgino F, and Giorgino R (2008) Neuroendocrine deregulation of food intake, adipose tissue and the gastrointestinal system i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J Gastrointestin Liver Dis 17, 193-198. 

  7. Gurevich-Panigrahi T, Panigrahi S, Wiechec E, and Los M (2009) Obesity: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management. Curr Med Chem 16, 506-521. 

  8. Hioki C, Yoshimoto K, and Yoshida T (2004) Efficacy of bofutsusho-san, an oriental herbal medicine, in obese Japanese women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Clin Exp Pharmacol Physiol 31, 614-619. 

  9. Hughes TA, Stentz F, Gettys T, and Smith SR (2006) Combining beta-adrenergic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stimulation improves lipoprotein composition in healthy moderately obese subjects. Metabolism 55, 26-34. 

  10. Jeon BH, Lee GJ, and Kim KY (1996) Effects of Taeyeumjoweetang on the obesity of mouse and induced adipocyte 3T3-L1. Kor J Oriental Path 10, 88-98. 

  11. Jeong HW and Kim HS (2000) Effects of Dodamtang on the cerebral blood flow improvement and action mechanism in rats. Kor J Oriental Path 14, 233-244. 

  12. Kim SO, Yun SJ, Jung B, Lee EH, Hahm DH, Shim I, and Lee HJ (2004) Hypolipidemic effects of crude extract of adlay seed (Coix lacryma-jobi var. mayuen) in obesity rat fed high fat diet: relations of TNF-alpha and leptin mRNA expressions and serum lipid levels. Life Sci 75, 1391-1404. 

  13. Kim TS and Ahn KS (1988) Effect of Dangkwisoosna and Dodamtang on the intravascular coagulation induced by endotoxin in rats. Kor J Oriental Path 3, 91-98. 

  14.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15. Lee YE, Park JE, Hwang JY, and Kim WY (2009) Comparison of health risks according to the obesity types based upon BMI and waist circumference in Korean adults: The 1998-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or J Nutri 42, 631-638. 

  16. Lusk G (1924) Analysis of the oxidation of mixtures of carbohydrate and fat. J Biol Chem 59, 41.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2) Report on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eoul. 

  18. Morgan DA, Thedens DR, Weiss R, and Rahmouni K (2008) Mechanisms mediating renal sympathetic activation to leptin in obesity. Am J Physiol Regul Integr Comp Physiol 295, R1730-R1736. 

  19. Niwa H, Ogawa Y, Kido Y, Abe Y, Kobayashi M, Mori T, and Tanaka T (1989) The rate of lipid oxidation in septic rat models. Jpn J Surg 19, 439-445. 

  20. Park S, Hong SM, and Ahn IS (2009) Long-term ICV infusion of insulin, but not glucose, modulates body weight and hepatic insulin sensitivity through modifying hypothalamic insulin signaling pathway in type 2 diabetic rats. Neuroendocrinology 89, 387-399. 

  21. Park S, Hong SM, Sung SR, and Jung HK (2008) Long-term effects of central leptin and resistin on body weight, insulin resistance, and $\beta$ -cell function and mass by the modulation of hypothalamic leptin and insulin signaling. Endocrinology 149, 445-454. 

  22. Pocai A, Lam TK, Obici S, Gutierrez-Juarez R, Muse ED, Arduini A, and Rossetti L (2006) Restoration of hypothalamic lipid sensing normalizes energy and glucose homeostasis in overfed rats. J Clin Invest 116, 1081-1091. 

  23. Richard D (2007) Energy expenditure: a critical determinant of energy balance with key hypothalamic controls. Minerva Endocrinol 32, 173-183. 

  24. Sahu A (2004) A hypothalamic role in energy balance with special emphasis on leptin. Endocrinology 145, 2613-2620. 

  25. Scarpace PJ and Zhang Y (2009) Leptin resistance: a prediposing factor for diet-induced obesity. Am J Physiol Regul Integr Comp Physiol 296, R493-R500. 

  26. Taubes G (2000) Weight increases worldwide? Science 280, 1368. 

  27. Vasques CA, Rossetto S, Halmenschlager G, Linden R, Heckler E, Fernandez MS, and Alonso JL (2008) Evaluation of the pharmacotherapeutic efficacy of Garcinia cambogia plus Amorphophallus konjac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Phytother Res 22, 1135-1140. 

  28. Yoon JH, Ryu SH, Chung KH, Choi DG, Jeong IG, Lee HH, Kim JO, and Lim EM (2002) Effects of 12 Weeks Taeyeumjoweetang administration on enzymes and fat accumulation in rat liver cells. Sports Sci 11, 53-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