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5T MR 기기를 이용한 확산강조영상에서 b Value의 증가에 따른 요추압박골절 환자의 신호대 잡음비와 현성 확산 계수의 변화
SNR and ADC Changes at Increasing b Values among Patients with Lumbar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on 1.5T MR Diffusion Weighted Images 원문보기

의학물리 = Korean journal of medical physics, v.21 no.1, 2010년, pp.52 - 59  

조재환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영상의학과) ,  박철수 (한림성심대학 방사선과) ,  이선엽 (한림성심대학 방사선과) ,  김보희 (강릉아산병원 응급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요추 압박 골절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1.5 T MR 기기에서 b value의 변화를 이용한 확산강조영상에서 압박 골절이 있는 요추의 신호대 잡음비와 현성 확산 계수가 어떤 변화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 1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요추 MRI를 촬영한 환자 중에서 만성 골다공증으로 척추 압박 골절을 보였던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1.5T MR scanner를 이용하여 b value를 400, 600, 800, 1000, $1200\;s/mm^2$으로 점차 증가시켜가면서 확산강조영상을 각각 획득하였다. 각각의 b value로 획득한 확산강조영상에서 1~5번의 요추체중 척추 압박 골절이 있는 부위와 골절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추간판등 세 부위에서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하였고 각각의 b value로 획득한 ADC map 영상에서는 세 부위의 신호대 잡음비와 현성 확산 계수를 측정 하였다. 정량적 분석방법으로 b value $400\;s/mm^2$으로 획득한 확산강조영상과 ADC map영상을 기준으로 각각의 b value로 획득한 영상과 비교하였다. 정성적인 분석방법은 b value $400\;s/mm^2$ 확산강조영상과 ADC map영상의 1~5번의 요추체중 척추 압박 골절이 있는 부위의의 신호강도를 분석하여 이를 기준으로 각각의 b value를 증가시켰을 때의 확산강조영상과 ADC map영상에서 신호강도가 상대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았다. 영상의 정량적 분석에서는 확산강조영상에서 b value가 증가함에 따라 척추 압박 골절이 있는 부위와 골절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추간판등 세 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ADC map영상에서는 b value가 증가함에 따라 척추 압박 골절이 있는 부위와 골절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추간판등 세 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ADC map영상에서 b value에 따른 관심영역의 현성 확산 계수는 b value가 증가함에 따라 척추 압박 골절이 있는 부위와 골절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추간판등 세 부위 모두 현성 확산 계수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영상의 정성적 분석에서 b value를 $400\;s/mm^2$ 이상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척추 압박 골절이 있는 부위와 골절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추간판등 세 부위 모두 신호강도가 점차 감소하였고 b value를 $1,000\;s/mm^2$ 이상으로 했을 때에는 세 부위 모두 영상의 잡음이 매우 심했다. 또한 척추 압박 골절이 있는 부위는 상대적으로 위, 아래 추간판 보다 높은 신호강도를 보였다. 확산강조영상에서 b value를 증가시킴에 따라 척추 압박 골절이 있는 부위와 골절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추간판 등 세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와 현성확산계수가 점차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고 향후 확산강조영상 검사 시 Multi b value를 사용하여 신호의 변화를 인지함으로서 여러 가지 척추질환으로의 적용에 도움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xamine among patients with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the extent to which signal-to-noise ratio (SNR)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values at the lumbar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site vary on diffusion-weighted MR images according to varying b values on the 1.5T MR device.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저자가 조사한 바 척추 검사의 확산강조영상에서 b Value의 변화에 따른 확산강조영상에 대한 연구보고는 없었고, 또한 척추 압박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확산 강조 영상에서도 b value의 변화에 따른 척추압박골절 환자의 확산강조영상에 대한 연구보고도 없었다. 이에 저자는 요추 압박 골절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1.5 T MR 기기에서 b value의 변화를 이용한 확산강조영상에서 압박 골절이 있는 요추의 신호대 잡음비와 현성 확산 계수가 어떤 변화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척추 골절은 어떤 위험을 초래하는가? 3) 척추 골절 환자에서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약 50%이고, 실제 임상적으로 진단되는 경우는 33%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우연히 발견된다고 한다.4) 그러나 척추 골절은 급성 및 만성 통증 척추 후만증(kyphosis), 신장 감소, 기능적 장애 등을 초래하며 골절 후 사망률이 증가 한다는 보고도 있다.4-6) 척추 골절이 발생하게 되면 다른 부위의 척추 골절이 3년 이내에 발생할 확률이 증가되어 척추 골절의 과거력은 그 자체가 새로운 골절 발생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MRI 기법 중 확산강조영상의 장점은? 자기공명영상(MRI)은 골다공증의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척추압박 골절이나 부전골절(insufficiency fracture) 등의 진단에 있어 MRI는 이들을 민감하게 발견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1) 자기공명영상 기법 중 확산강조영상(diffusion weighted image)은 세포 내외 공간에서 수분의 이동을 영상화하는 기법으로 골격근 손상이 있을 때 근육의 신호 강도 변화를 조기에 모두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상대적으로 미약한 손상을 받은 경우 T2강조영상 보다 유의하게 민감하였고12) 양성과 악성 척추 압박 골절의 감별 진단에 유용 하다고 보고되고 있다.13) 확산강조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보통 영상을 얻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경사자장 외에 매우 강한 한 쌍의 경사자장, 즉 확산강조 경사자장을 추가로 사용한다.
척추 골절과 동반된 질환을 정확히 진단하여 치료해야 하는 이유는? 7) 따라서 골다공증에 따른 척추 골절은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한편 골다공증 환자에서 척추 통증은 골절 외에도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며 척추 골절이 있는 경우에도 골절이 통증의 단독 원인인 경우보다는 다른 원인 질환과 동반된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골절뿐 아니라 동반된 질환을 정확히 진단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8) 척추 골절의 진단에는 단순 골 사진이 주로 이용되는데 중등도 이상의 척추 골절 환자에서도 진단율이 50% 정도에 불과할 뿐 아니라9) 골절이 진단되더라도 임상 증상과의 연관성이 낮다고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elton LJ, Lane AW, Cooper C, et al: Prevalence and incidence of vertebral deformities. Osteoporos Int 3:113-119 (1993) 

  2. Cummings SR, Black DM, Rubin SM: Lifetime risks of hip, Colles, or vertebral fracture and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white postmenopausal women. Arch Intern Med 149:2445-2448 (1989) 

  3. Melton LJ III, Kan SH, Frye MA, et al: Epidemiology of vertebral fractures in women. Am J Epidemiol 129:1000-1011 (1989) 

  4. Ross PD: Clinical consequences of vertebral fractures. Am J Med 103:30-43 (1997) 

  5. Cortet B, Houvenagel E, Puisieux F, et al: Spinal curvatures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vertebral fractures secondary to osteoporosis. Spine 24:1921-1925 (1999) 

  6. Pluijm SMF, Tromp AM, Smit JH, et al: Consequences of vertebral deformities in older men and women. J Bone Miner Res 15:1564-1572 (2000) 

  7. Cortet B, Roches E, Logier R, et al: Evaluation of spinal curvatures after a recent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Joint Bone Spine 69:201-208 (2002) 

  8. Cook GJR, Hannaford E, See M, et al: The value of bone Scintigraphy in the evaluation of osteoporotic patients with back pain. Scand J Rheumatol 31:245-248 (2002) 

  9. Gehlbach SH, Bigelow C, Heimisdottir M, et al: Recognition of vertebral fracture in a clinical setting. Osteoporos Int 11:577-582 (2000) 

  10. Grey C, Young R, Bearcroft PW, et al: Vertebral deformity in the thoracic spine in post-menopausal women: value of lumbar spine bone density. Br J Radiol 69:137-142 (1996) 

  11. Moon JS, Won KC: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Yeungnam Univ J Med 25:19-30 (2008) 

  12. Kim KJ: 토끼 골격근 손상의 자기공명영상: 확산강조영상과 T2강조영상의 비교. 대한방사선의학회지 42:175-179 (2000) 

  13. Bauer A, Stabler A, Bruning R, et al: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of bone marrow: differentiation of benign versus pathologic compression fractures. Radiology 207:349-356 (1998) 

  14. Lee JH: 3.0T MR 기기를 이용한 확산강조영상에서 b Value의 증가에 따른 정상 뇌의 신호강도의 변화. 대한방사선의학회지 49:455-460 (2003) 

  15. Chien D, Kwong KK, Gress DR, et al: MR diffusion imaging of cerebral infarction in humans. AJNR 13:1097-1102 (1992) 

  16. DeLano MC, Cooper TG, Siebert JE, et al: High-b-value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of adult brain: image contrast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map features. AJNR 21:1830-1836 (2000) 

  17. Burdette JH, Durden DD, Elster AD, et al: High b-value diffusion-weighted MRI of normal brain. J Comput Assist Tomogr 25:515-519 (2001) 

  18. Rho BH: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of bone marrow in the spine: differentiations of metastatic compression fracture, benign compression fracture & spondylitis. 대한방사선의학회지 43:349-355 (2000) 

  19. Chris A. Clark, Denis LB: Diffusion compartmentation and anisotropy at high b values in the human brain.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44:852-859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