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한 낙동강하구 지형변화탐지
Change Detection at the Nakdong Estuary Delta Using Satellite Image and GIS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18 no.1, 2010년, pp.21 - 29  

오치영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 ,  박소영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최철웅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전성우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 하구는 세계적 철새 서식지로 부산의 관광명소인 해운대와 광안리의 모래 공급지로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진우도, 신자도, 도요등, 다대포) 해안의 장기간 지형변화를 탐지 해석 하였다. 34년간의 위성영상 분석 결과 진우도의 전면과 후면의 중간부분이 증가하고, 신자도는 1970년 띠 형태로 양분, 80년대 이후 하나의 섬으로 형성하여 서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1990년대 이후 백합등 전면의 소규모 섬들이 급격히 발달하여 90년대 후반 도요등을 형성하여 성장하고 있었다. 낙동강 하구역 해안지도 제작을 위해 1975년부터 2009년간 Landsat 영상 112매 중 조위$99{\pm}13cm$인 영상 12매를 선택하고 NDVI값을 이용해 수역과 육역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GIS의 DSAS 4.0(Digital Shoreline Analysis System)과 MATLAB을 이용해 EPR(End Point Rate), LRR(Linear Regression Rate)등 해안선 변화율을 산정하였다. 지형변화탐지결과 EPR은 진우도 전면과 후면은 -0.93~2.56m/yr로 남진하고 해안선과 면적변화는 적고 안정적이며 신자도 전면과 후면은 1~4m/yr로 북진하나 서측은 2~3m/yr로 안정되고 동측은 10m/yr이상 북진하고 있다. 도요등 전면과 후면은 18~27m/yr로 북진, 면적은 증가하고 다대포해안은 7m/yr로 서진하며 확대되었다. LRR 또한 EPR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위성영상과 GIS 분석을 통해 지형변화 탐지와 자연현상의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였지만 자연현상의 지속적인 관찰과 다양한 분석 방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kdong Estuary Delta plays various roles of worldwide habitat for migratory birds and a sand supplier to Haewoondae Beach and Gwanganri, which are tourist attractions of Busan. In this study, long-term topographical changes of Nakdong Estuary (Jinwoo Islet, Sinja Islet, Doyodeung, Dadae Beach) co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를 이용하여 그림. 3과 같이 NDVI를 산정하고 무감독분류(Unsupervised Classification) 후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으로 수역과 육역을 구분하였다. 이를 ArcGIS의 Raster to Vector로 shp 파일을 제작하였다(그림 3).
  • 기준선 설정시 해안선과 과 후면(북쪽) 분석을 동시에 실시하기 위해 횡단측선 간의 교차를 고려하여 생성하였다. 그리고 정확한 분석을 위해 각각 작업을 달리하였다. 횡단측선 길이는 섬의 후면이 포함되는 800m(진우도, 신자도, 도요등), 500m(다대포)이고, 측선간격은 110m(진우도, 신자도, 도요등), 80m(다대포)로 설정하였다.
  • 5m 라는 해상도 측면에 있어 우수하지만 항공사진의 모자이크 처리를 위한 지상 기준점 설정으로 인한 자료 구축의 어려움이 있다. 그리나 본 연구에서는 영상 취득이 용이한 Landsat image를 사용하였고, Image Enhancement 기법을 이용해 다수의 영상을 쉽고 객관적인 판단을 통해 해안선을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섬의 전면분석을 통한 해안선 변화 연구와 달리 섬 전체의 변화 분석을 통해 하구섬 들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 0을 이용해 섬과 해변의 전면에 기준선(baseline)을 설정하고, 기준선에 수직인 횡단측선(transect)을 생성한다. 기준선 설정시 해안선과 과 후면(북쪽) 분석을 동시에 실시하기 위해 횡단측선 간의 교차를 고려하여 생성하였다. 그리고 정확한 분석을 위해 각각 작업을 달리하였다.
  • 둘째, 수치해안선분석시스템을 이용해 낙동강 하구 울타리 섬 과 다대포 해안의 변화율을 산정하였다. 해안선 변화율은 통계분석 기법과 관측 대상의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공통적으로 진우도는 전면 중앙부위의 증가, 신자도는 섬의 동측 부분의 북진, 도요등은 성장과 북진양상을 보였고 다대포의 경우 북쪽해안이 서쪽으로 확장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해안선 추출시 반자동 결정(Ryu et al, 2002)방식을 응용하였고, 고정밀 기하보정 후 조위와 파고에 의한 해안선의 단기적 변화성 감소를 위해 Landsat 위성영상 112장 중 조위는 99±13 ㎝이내, 파고는 1m이하인 영상을 선별 후 활용하였고, 측정시간의 비균일성 감소를 위해 2000년 이전은 5년 혹은 10년 주기로, 2000년 이후는 1년 단위로 구축하였다. 또한 해안선 변화량은 최대해안선 변화량(Shoreline change envelope), 순해안선 변화량(Net shoreline movement)으로 산정하고 해안선 변화율은 년해안선 변화율(End point rate), 최소자승법(Least median of squares), 선형회귀법(Linear Regression)으로 산정하여 각 변화량과 변화율의 통계적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위성영상과 GIS 분석을 통해 낙동강 하구 울타리 섬과 다대포 해안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급격히 변화하는 하구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분석은 불가능하였다.
  • 본 연구는 해안선 측정오차의 최소와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RS와 GIS을 이용하였다. 해안선 추출시 반자동 결정(Ryu et al, 2002)방식을 응용하였고, 고정밀 기하보정 후 조위와 파고에 의한 해안선의 단기적 변화성 감소를 위해 Landsat 위성영상 112장 중 조위는 99±13 ㎝이내, 파고는 1m이하인 영상을 선별 후 활용하였고, 측정시간의 비균일성 감소를 위해 2000년 이전은 5년 혹은 10년 주기로, 2000년 이후는 1년 단위로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안선분석시스템 4.0(DSAS 4.0: Digital Shoreline Analysis System 4.0)을 적용하여 진우도, 신자도, 도요등, 다대포 해변에 대한 장기간 해안선 변화율을 산정하였다. 그림 4 와 같이 영상에서 추출한 해안선과 DSAS 4.
  • 해안선 추출시 반자동 결정(Ryu et al, 2002)방식을 응용하였고, 고정밀 기하보정 후 조위와 파고에 의한 해안선의 단기적 변화성 감소를 위해 Landsat 위성영상 112장 중 조위는 99±13 ㎝이내, 파고는 1m이하인 영상을 선별 후 활용하였고, 측정시간의 비균일성 감소를 위해 2000년 이전은 5년 혹은 10년 주기로, 2000년 이후는 1년 단위로 구축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는 USGS에서 제공되는 1975년부터 2009년간 촬영된 Landsat영상을 사용하였고, Path 114, Row 36 지역의 영상 112매 중 조위가 99±13㎝ 이며 RMSE 가 0.5이하인 영상 12매를 사용하였다.
  • 그리고 정확한 분석을 위해 각각 작업을 달리하였다. 횡단측선 길이는 섬의 후면이 포함되는 800m(진우도, 신자도, 도요등), 500m(다대포)이고, 측선간격은 110m(진우도, 신자도, 도요등), 80m(다대포)로 설정하였다.

데이터처리

  • DSAS 4.0으로 분석한 결과를 SPSS 13.0으로 통계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는 그림 5와 표 2~6과 같다.
  • 낙동강 하구와 같이 인위적·자연적 변화를 많이 받는 지형은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다양한 모니터링 방법의 필요성으로 인해 많은 연구가 실행되고 있다. 기존의 낙동강 하구에 관해 시행된 많은 연구들 중 수치해안선 시스템 분석을 이용한 김백윤(2007)의 연구와 비교해보았다. 기본적으로 연구에 사용된 자료와 방법에 관한 차이는 표 8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선의 장, 단기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연적ㆍ인위적인 영향을 받는 해안선은 동적으로 변화하며 장기변화로 해수면상승, 하천의 수위변화 등에 영향을 받고 단기변화로 조석, 지진, 태풍에 영향을 받는다. 낙동강하구 연안의 사주, 습지, 섬 또한 자연적, 인위적 요인으로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해안선의 변화량과 변화율은 어떻게 산정하였는가? 해안선 추출시 반자동 결정(Ryu et al, 2002)방식을 응용하였고, 고정밀 기하보정 후 조위와 파고에 의한 해안선의 단기적 변화성 감소를 위해 Landsat 위성영상 112장 중 조위는 99±13 ㎝이내, 파고는 1m이하인 영상을 선별 후 활용하였고, 측정시간의 비균일성 감소를 위해 2000년 이전은 5년 혹은 10년 주기로, 2000년 이후는 1년 단위로 구축하였다. 또한 해안선 변화량은 최대해안선 변화량(Shoreline change envelope), 순해안선 변화량(Net shoreline movement)으로 산정하고 해안선 변화율은 년해안선 변화율(End point rate), 최소자승법(Least median of squares), 선형회귀법(Linear Regression)으로 산정하여 각 변화량과 변화율의 통계적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위성영상과 GIS 분석을 통해 지형변화 탐지를 수행한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장기간의 위성영상을 이용해 낙동강 하구의 토지이용변화 분석결과 70년대와 80년대 대규모 매립과수로 정비를 위한 굴착 등 인위적인 개발이 크게 나타났고, 이후 90년대 섬들의 변화는 수로 변경과 해수의 흐름에 의한 반 인위적인 자연변화로 신자도와 도요도가 증가하면서 북진을 나타내었고 다대포 해안 또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둘째, 수치해안선분석시스템을 이용해 낙동강 하구 울타리 섬 과 다대포 해안의 변화율을 산정하였다. 해안선 변화율은 통계분석 기법과 관측 대상의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공통적으로 진우도는 전면 중앙부위의 증가, 신자도는 섬의 동측 부분의 북진, 도요등은 성장과 북진양상을 보였고 다대포의 경우 북쪽해안이 서쪽으로 확장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항공사진을 이용한 김백윤 등(2007)의 연구 비교 결과 도요등의 진행 방향에 의한 방향 착오를 제외하면 전체적인 해안선 변화율은 비슷하게 나타나 연구 방법에 의한 해상도와 해안선 추출의 차이점으로 인한 해안선 변화율은 차이가 작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김백운, 김부근 이상룡, 2007,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섬의 해안선 변화율, 한국해양공학회", 해양공학회지,2007, 제 19권 4호, pp.361-374 

  2. 김상호, 신승호, 양승용, 이중우, 2003, "낙동강 하구 사주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6권 3호, pp.26-36 

  3. 김성환, 2005,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연안사주의 지형변화", 대한지리학회지, 제40권 4호,pp.416-424 

  4. 부산광역시, 2008, 낙동강하구 생태계모니터링(2007-2008). 

  5. 양지연, 2006, "GIS/RS를 이용한 해운대 해수욕장의 해안지형 및 토지피복 변화 분석", 부경대 일반대학원 석사논문, p.55. 

  6. 윤은찬, 이종섭, 2008, "STA 기법에 의한 낙동강 하구역의 토사이동경로 예측", 한국해안공학회 논문집, 해양공학회, 제20권 6호, pp.540-552. 

  7. ingraca, 2004, "Deposition, Erosion, and Bathymetric Change in south san francisco bay:1858-1983", USGS, No.1192, pp.10-20. 

  8. Fenster, M.S., Dolan, R., Elder, J.F., 1993. "A new method for predicting shoreline positions from historical data". J. Coast. Res. Vol. 9, No.1, pp.147-171. 

  9. John Jensen, 2000, Remote Sensing of the environment, Prentice hall, pp.400-430. 

  10. Loos, E.A., Niemann, K.O., 2002. Shoreline feature extraction from remotely sensed imagery.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2002. IGARSS '02. IEEE Int. 6 (24-28), pp.3417-3419. 

  11. Lillesand T.M. and Kiefer R.W., 1994, Remote Sensing and Image Interpretation, Third Edition, Wiley and Sons. p.506. 

  12. Pajak, M.J., Leatherman, S., 2002. "The high water line as shoreline indicator". J. Coast. Res. 18,pp.329-337. 

  13. Rousseeuw, P.J and Leroy, A.M, 1987, "Robust regression and outlier detection"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Vol. 6, No.4, pp.254-255. 

  14. Ryu, J.-H., Won, J.-S., Min, K.D., 2002. Waterline extraction from Landsat TM data in a tidal flat: a case study in Gosmo Bay, Korea. Remote Sens. Environ. 83, 442-456. 

  15. Sabyasachi Maiti, Amit K. Bhattacharya, 2009, "Shoreline change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to prediction: A remote sensing and statistics vased approach", Marine Geology 257, 2009, pp.11-23. 

  16. Singh, O.P., 2002, Inter annual variability and predictability of sea level along the Indian coast. Theor. Appl. Climatol. 72, pp.11-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