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음성 및 오디오 코덱은 각 신호의 특성 및 응용 분야가 다르기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 각기 다른 부호화 방법을 기반으로 개발되고 발전되어 왔다. 최근 방송 및 통신 시스템이 융합되는 흐름에 발맞추어 3GPP 및 ISO/IEC MPEG 등의 표준화 기관에서는 두 신호를 하나의 통합 코덱을 이용하여 압축 전송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그 일환으로 MPEG에서는 그 간의 표준화된 기술들을 통합하고, 다양한 주관적 음질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USAC (Unified speech and audio coding)이라고 불리는 코덱의 표준화를 진행 중이다. 그러나 USAC RM (Reference model) 소프트웨어의 구조적인 복잡성, 사용되지 않는 수많은 모듈로 인한 용량의 비대함, 그리고 부호화기의 열악한 성능 등으로 인하여 기존 RM을 개선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USAC에 포함된 주요 기술을 설명하고,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오픈 소스 기반으로 새롭게 설계된 RM 소프트웨어를 제안한다. 이는 2010년 4월 MPEG 회의에서 발표되었으며, 6월 모든 참여 기관을 위해 소스코드가 공개되었다.
Speech and audio codec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different type of coding technologies since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ignal and applications. In harmony with a convergence between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or standardization such as 3GPP and ISO/IEC MPEG have tried to compress and transmit multimedia signals using unified codecs. MPEG recently initiated an activity to standardize the USAC (Unified speech and audio coding). However, USAC RM (Reference model) software has been problematic since it has a complex hierarchy, many useless source codes and poor quality of the enco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introduces a new RM software designed with an open source paradigm. It was presented at the MPEG meeting in April, 2010 and the source code was released in June.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