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및 주변의 지진 메카니즘 특성

Focal Mechanism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13 no.3, 2010년, pp.198 - 202  

전명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전정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세기에 한반도 및 인근에서 발생한 지진 중, 그 메카니즘이 Waveform Modelling 혹은 Moment Tensor Inversion 등 정량적인 방법에 의해 밝혀진 규모 4.5 이상의 18개 지진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이들을 한반도 주변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진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한반도 및 인접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의 대부분은 주향이동 단층 운동에 의한 메카니즘에 다소의 역단층 운동이 첨가된 단층운동을 보여주고 단층작용을 일으킨 주응력 방향은 거의 수평한 동북 동-서남서 방향을 나타낸다. 이는 같은 판내 지역인 북동부 중국 지역과 일본 남서부의 주응력 방향과 매우 유사하고 동해 동부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는 한반도 및 그 주변에서 지진을 일으키는 주응력은 동쪽에서 유라시아판 밑으로 침강하는 태평양판의 영향뿐만 아니라 서남쪽에서 충돌하는 인도판의 영향도 상당히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18 intraplate earthquake focal mechanisms since 1936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focal mechanism and regional stress orientation and tectonics. These earthquakes are largest ones from the last century and may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판 내부의 경우 단층의 활동 주기가 길어 수 만년 혹은 수 십 만년에 한번씩 움직이면서 지진을 발생시키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제까지 밝혀진 한반도 및 인근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 중 메카니즘이 정량적으로 밝혀진 규모 4.5 이상인 18개 지진의 자료를 종합 분석하여 한반도 및 주변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메카니즘 특성을 밝히고 지진을 일으키는 주응력 방향을 파악하여 이를 인접 지역인 중국 북동부 및 일본 서남부 및 동해 동쪽과 비교 검토하여 동아시아의 판구조론적 관점에서 토의코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및 인근지역에서 발생한 지진 중, 메카니즘이 waveform modelling 이나 waveform inversion을 통해 정량적으로 밝혀진 지진 중 그 규모가 4.5 이상으로 그 특성이 일대의 텍토닉 특성을 반영한다고 판단된 18개 지진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반도 및 그 주변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메카니즘을 밝히고 이를 동아시아의 인접 지역 특성과 비교하고 판구조론적 관점에서 토의코자 한다.
  • 5 이상으로 그 특성이 일대의 텍토닉 특성을 반영한다고 판단된 18개 지진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반도 및 그 주변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메카니즘을 밝히고 이를 동아시아의 인접 지역 특성과 비교하고 판구조론적 관점에서 토의코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는 어떤 지역인가? 한반도는 유라시아 판의 동남부에 위치하면서 판 경계로부터 수백 Km 떨어진 판 내 지역에 해당한다. 이런 판 내에서발생하는 판 내부 지진(intra-plate earthquake)은 판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지진과 비교하면 지진이 시간적 지역적으로 불규칙하고 산만하게 발생하며 빈도도 상대적으로 낮고, 크기도 작다.
한반도 및 인근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지진이 가진 특성은 무엇인가? Beach ball에서 검은 부분은 압축(compression)을 흰 부분은 확장(dilatation)을 나타낸다. 한반도 및 인근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지진이 주향이동 단층 운동에 의한 메카니즘에 다소의 역단층(thrust faulting) 운동이 첨가된 단층운동 특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중부 동해안과 황해에서 각각 2개씩의 역단층 운동에 의한 지진이 나타나고 황해도 지역에서 정단층(normal faulting) 운동에 의한 메카니즘이 나타나는데 이는 지역적인 현상으로 판단된다.
원거리(Teleseismic) 지진 기록으로부터 초동의 polarity를 읽어 단층면 해를 구해 지진의 발생 메카니즘을 적용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이들 자료는 현재 우리가 이해하는 판구조론을 뒷받침하는 결정적인 자료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한반도 근처에서 발생하는 지진들은 크기가 작아서 원거리 지진기록이 매우 불량하여 이런 방법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런 경우는 근거리에서 조밀한 양질의 지진 관측망이 필요하나 한반도에서 양질의 Digital 지진관측은 최근에 시작되어 한반도 인근의 지진 발생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 일 수밖에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성균, 김민선, 서구원, 1996, 지진파형 역산에 의한 황해남부지진의 메카니즘, 한국지구과학회지, 17, 326-329. 

  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7, 실시간 지진분석 및 지진 재해 정량적 예측 기술 P.27(GP2007-006-02) 

  3. U.S. Geological Survey, 2010, http://earthquake.usgs.gov/ earthquakes/eqarchives/epi/epic_global.php (last accessed July, 2010) 

  4. Jun, M. S., 1990, "Source parameters of shallow intraplate earthquake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 Ph.D. Thesis, Uppsala University. 

  5. Jun, M. S., 1991, "Body-wave analysis for shallow intraplate earthquake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Yellow Sea", Tectonophysics, 192, 345-357. 

  6. Jun, M. S., and Kulhanek, O., 1991, "Source parameters of earthquake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deduced from spectral analysis", Phys. Earth Planet. Inter., 65, 255-266. 

  7. Jun, M. S., 1993, "Source properties of earthquake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1993 Joint Conference of Seismology in East Asia, p. 170-173. 

  8. Kang, S. D., and Choi, Y. C., 1993, "On the seismicity of Korea", in Continental Earthquakes, selected paper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inental Earthquakes, p. 185-193. 

  9. Kang, T. S., and Baag, C. E., 2004, "The 29 May 2004, Mw 5.1, offshore Uljin earthquake, Korea", Geoscience Jour., 8(2), 115-123. 

  10. Kato, T., 2003, "Tectonics of the eastern Asia and the western Pacific as seen by GPS observation", Geoscience Journal, 7, 1-8. 

  11. Kim, S. G., and Kraeva, N., 1999, Source parameter determination of local earthquakes in Korea using moment tensor inversion of single station data, Bull. Seism. Soc. Am. 89, p. 1077-1082. 

  12. Shimazaki, K., 1984, "Mid-plate, plate-margin, and plate-boundary earthquakes and stress transmission in far east", in A collection of paper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ntinental seismicity and earthquakes prediction (ISCSEP), p. 132-1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