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소배가스 중 질소산화물(NOx) 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기술
Biological Removal of Nitrogen Oxides from Combustion Flue Gase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1 no.3, 2010년, pp.243 - 251  

이기세 (명지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소배가스에 존재하는 질소산화물의 제거를 위해서는 촉매 환원, 흡수, 흡착 등 화학적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데, 장기적으로는 환경친화적이고 에너지 소모가 적은 생물학적 공정의 개발 및 이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연소 배가스에 존재하는 질소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생물학적 공정의 기술동향을 살펴보고 각각의 장단점을 고찰하였다. 질산화와 탈질 기작을 이용하는 박테리아 시스템과 광합성 미세조류를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기술의 원리와 현재의 기술 수준을 논하였다. 두 경우 모두 처리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불용성의 일산화질소를 일단 적절한 흡수제에 고농도로 포집시킨 후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 또는 고정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며, 배가스 중 $CO_2$와 NOx를 동시에 고정이 가능하고 별도의 탄소원이 요구되지 않는 미세조류의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trogen oxides (NOx) in combustion flue gas are currently mitigated by chemical processes such as catalytic reduction, absorption and adsorption. However,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sustainable biological processes is necessary in the near future. In this paper, the up-to-dated R&D trend of b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ee와 Sublette [37,38]은 Thiobacillus denitrificans를 이용하여 NO가 단독으로 포함된 배가스 처리에서는 성공적으로 NO가 제거됨을 보였다. SO2를 H2S로 환원시키는 Desulfovibrio desulfuricans와 H2S를 SO42-로 전환하는 Thiobacillus denitrificans를 연속으로 운용함으로써 SOx의 제거와 NOx의 동시 제거를 시도하였는데 NO를 제거하는 동안에는 SO2의 환원이 저해되는 현상이 존재하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가설 설정

  • Figure 7. Concept of CCCM using photosynthetic microalgae and its application to flue gas treatm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소 후 처리 대책에는 어떤것이 있는가? 전자는 연소공정의 개선을 통한 NOx 발생량을 저감하는 일종의 청정기술적 노력이며, 후자는 이미 발생한 NOx에 대한 사후처리(end-of-pipe treatment)에 해당한다. 연소 후 처리 대책은 대부분 화학적 환원 방법인 선택적촉매환원(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과 선택적비촉매환원(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SNCR), 그리고 흡수(scrubbing) 및 흡착(adsorption) 등의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NOx 성분을 생물학적으로 제거하는 공정 중, 탈질 미생물을 이용하는 공정은 추가적으로 무엇이 필요할까? 탈질 미생물을 이용한 공정에서는 Fe(II)-NO-EDTA 형태로 가용화된 NO를 이화적 환원작용에 의하여 N2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나, 산화된 Fe(III)를 Fe(II)로 환원 재생하기 위해서는 탈질 미생물 이외 철환원 능력이 있는 다른 미생물 군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박테리아 혼합배양 시스템에서는 독립영양 미생물이 관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별도의 유기 탄소를 에너지원으로 공급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질소산화물은 무엇과 반응해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이 되는가? 화석 연료의 연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산화물(nitrogen oxides, NOx) 성분들은 대기중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등의 탄화수소와 반응하여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이 되며 황산화물(SOx)과 더불어 수분과 반응하여 산성비의 원인이 된다. 또한 대류권에서는 오존의 생성 반응에 관여하며, 성층권에서는 오존의 분해 반응을 촉진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4)

  1. NIER, National Air Pollutants Emission 2007, 11-1480523-000198- 10,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09). 

  2. B. Ramachandran, R. G. Herman, S. Choi, H. G. Stenger, C. E. Lyman, and J. W. Sale, Catal. Today, 55, 281 (2000). 

  3. A. Fritz and V. Pitchon, Appl. Cat., B13, 1 (1997). 

  4. H. Bosch and F. Janssen, Catal. Today, 2, 369 (1988). 

  5. T. Kurvits and T. Marta, Environ. Pollut., 102, 187 (1998). 

  6. Y. Jin, M. C. Veiga, and C. Kennes, J. Chem. Tech. Biotechnol., 80, 483 (2005). 

  7. M. Bradford, R. Grover, and P. Paul, Chem. Eng. Prog., 98, 42 (2002). 

  8. J. O. L. Wendt, W. P. Linak, and P. W. Srivastava, AIChE J., 47, 2603 (2001). 

  9. M. Bradford, R. Grover, and P. Paul, Chem. Eng. Prog., 98, 38 (2002). 

  10. M. H. Thiemens, H. Mark, and W. C. Trogler, Science, 251, 932 (1991). 

  11. C. Kroeze, Sci. Total Environ., 143, 193 (1994). 

  12. A. Shimizu, K. Tanaka, and M. Fujimori, Chemosphere GCS, 2, 425 (2000). 

  13. B. B. Sundaresan, C. I. Harding, F. P. May, and E. R. Hendrickson, Environ. Sci. Technol., 1, 151 (1967). 

  14. Z. Guo, Y. Xie, I. Hong, and J. Kim, Energy Conv. Manag., 42, 2005 (2001). 

  15. N. W. Cani and I. O. Y. Lin, Catal. Today, 63, 133 (2000). 

  16. C. B. Wang, T. F. Yeh, and H. K. Lin, J. Hazard. Mater., 92, 241 (2002). 

  17. H. Chu, T. W. Chien, and B. W. Twu, J. Hazard. Mater., 84, 241 (2001). 

  18. E. Tzimas, A. Mercier, C. C. Cormos, and S. D. Peteves, Energy Pol., 35, 3991 (2007). 

  19. B. R. Deshwal, D. S. Jin, S. H. Lee, S. H. Moon, J. H. Jung, and H. K. Lee, J. Hazard. Mat., 150, 649 (2008). 

  20. Y. Hishinuma, R. Kaji, H. Akimoto, F. Katajima, T. Mori, T. Kamo, Y. Arikawa, and S. Nozawa, Bul. Chem. Soc. Jap., 52, 2863 (1979). 

  21. V. Zang, M. Kotowski, and R. van Eldik, Inorg. Chem., 27, 3279 (1988). 

  22. V. Zang, M. Kotowski, and R. van Eldik, Inorg. Chem., 29, 1705 (1990). 

  23. J. F. Demmink, I. C. F. van Gils, and A. A. C. M. Beenackers, Ind. Eng. Chem. Res., 36, 4914 (1997). 

  24. M. S. Chou and J. H. Lin, J. Air Waste Manage. Assoc., 50, 502 (2000). 

  25. M. Konneke, A. E. Bernhard, J. R. de la Torre, C. B. Walker, J. B. Waterbury, and D. A. Stahl, Nature, 437, 543 (2005). 

  26. C. A. Francis, J. M. Beman, and M. M. M. Kuypers, ISME J., 1, 19 (2007). 

  27. T. Lukow and H. Diekmann, Biotechnol. Lett., 19, 1157 (1997). 

  28. M. Yani, M. Hirai, and M. Shoda, Environ. Technol., 21, 1199 (2000). 

  29. N. J. Kim, M. Hirai, and M. Shoda, J. Hazard. Mater., 72, 77 (2000). 

  30. K. Okuno, M. Hirai, M. Sugiyama, K. Haruta, and M. Shoda, Biotechnol. Lett., 22, 77 (2000). 

  31. K. N. Min, S. J. Ergas, and J. M. Harrison, Environ. Eng. Sci., 19, 575 (2002). 

  32. I. Kalkowski and R. Conrad, FEMS Microbiol. Lett., 82, 107 (1991). 

  33. R. Shanmugasundram, C. M. Lee, and K. L. Sublette, Appl. Biochem. Biotechnol., 39, 727 (1993). 

  34. R. W. Ye, B. A. Averill, and J. M. Tiedje, Appl. Environ. Microbiol., 60, 1053 (1994). 

  35. W. G. Zumft, Microbiol. Mol. Biol. Rev., 61, 533 (1997). 

  36. J. R. Woertz, K. A. Kinney, and P. J. Szaniszlo, J. Air Waste Manage. Assoc., 51, 895 (2001). 

  37. K. H. Lee and K. L. Sublette, Appl. Biochem. Biotechnol., 24, 441 (1990). 

  38. K. H. Lee and K. L. Sublette, Appl. Biochem. Biotechnol., 28, 623 (1991). 

  39. B. N. Dasu, V. Deshmane, R. Shanmugasundram, C. M. Lee, and K. L. Sublette, Fuel, 72, 1705 (1993). 

  40. W. T. Potter, J. Cho, and K. L. Sublette, Fuel Process. Technol., 40, 355 (1994). 

  41. W. T. Potter, U. Le, S. Ronda, J. G. Cho, R. Shanmugasundram, A. Chirkis, and K. L. Sublette, Appl. Biochem. Biotechnol., 51, 771 (1995). 

  42. P. Arvidsson, K. Nilsson, H. Hakanson, and B. Mattiasson, Appl. Microbiol. Biotechnol., 49, 677 (1998). 

  43. B. D. Lee, W. A. Apel, and W. A. Smith, Environ. Prog., 20, 157 (2001). 

  44. K. T. Klasson and B. H. Davison, Appl. Biochem. Biotechnol., 91, 205 (2001). 

  45. W. P. Flanagan, W. A. Apel, J. M. Barnes, and B. D. Lee, Fuel, 81, 1953 (2002). 

  46. H. Matsumoto, A. Hamasaki, N. Sioji, and Y. Ikuta, J. Chem. Eng. Jap., 30, 620 (1997). 

  47. J. H. Lee, J. S. Lee, C. S. Shin, S. C. Park, and S. W. Kim, J. Microbiol. Biotechnol., 10, 338 (2000). 

  48. K. Miyamoto, H. Nagase, and K. Hirata, Photosynthetic Microorganisms in Environmental Biotechnology, ed. H. Kojima and Y. K. Lee, 87, Springer-Verlag (2001). 

  49. J. S. Lee, D. K. Kim, J. P. Lee, S. H. Park, J. H. Koh, and S. J. Ohh, J. Microbiol. Biotechnol., 11, 772 (2001). 

  50. Y. Chisti, TIB, 26, 126 (2007). 

  51. S. Hossain, A. Salleh, A. N. Boyce, P. Chowdhury, and M. Naqiuddin, Am. J. Biochem. Biotechnol., 4, 250 (2008). 

  52. M. Negoro, N. Shioji, K. Mitamoto, and Y. Miura, Appl. Biochem. Biotechnol., 28, 877 (1991). 

  53. K. I. Yoshihara, H. Nagase, K. Eguchi, K. Hirata, and K. Miyamoto, J. Ferment. Bioeng., 82, 351 (1996). 

  54. H. Nagase, K. Yoshihara, K. Eguchi, Y. Yokota, R. Matsui, K. Hirata, and K. Miyamoto, J. Ferment. Bioeng., 83, 461 (1997). 

  55. H. Nagase, K. Eguchi, K. Yoshihara, K. Hirata, and K. Miyamoto, J. Ferment. Bioeng., 86, 421 (1998). 

  56. H. Nagase, K. Yoshihara, K. Eguchi, Y. Okamoto, S. Murasaki, R. Yamashita, K. Hirata, and K. Miyamoto, Biochem. Eng. J., 7, 241 (2001). 

  57. J. Doucha, F. Straka, and K. Livansky, J. Appl. Phycol., 17, 403 (2005). 

  58. H. F. Jin, D. Santiago, J. Park, and K. Lee, Biotechnol. Bioprocess Eng., 13, 48 (2008). 

  59. D. Santiago, H. F. Jin, and K. Lee, Process Biochem., doi:10.1016/j.procbio. 2010. 04. 003 (2010). 

  60. J. Hofele, D. van Velzen, H. Langenkamp, and K. Schaber, Chem. Eng. Proc., 35, 295 (1996). 

  61. Y. Shi, D. Littlejohn, and S. G. Chang, Environ. Sci. Technol., 30, 3371 (1996). 

  62. Y. Shi, H. Wang, and S. G. Chang, Environ. Prog., 16, 201 (1997). 

  63. B. Cetinkaya, R. K. Sahlin, W. R. Abma, H. Dijkman, S. F. Meyer, and S. M. Kampeter, Hydrocarb. Proc., 79, 55 (2000). 

  64. R. Kumaraswamy, G. Muyzer, J. G. Kuenen, and M. C. M. van Loosdrecht, Water Sci. Technol., 50, 9 (2004). 

  65. P. van der Maas, T. van de Sandt, B. Klapwijk, and P. Lens, Biotechnol. Prog., 19, 1323 (2003). 

  66. P. van der Maas, L. Harmsen, S. Weelink, B. Klapwijk, and P. Lens, J. Chem. Tech. Biotechnol., 79, 835 (2004). 

  67. R. Kumaraswamy, U. van Dongen, J. G. Kuenen, W. Abma, M. C. M. van Loosdrecht, and G. Muyzer, Appl. Environ. Microbiol., 71, 6345 (2005). 

  68. G. H. Jing, W. Li, Y. Shi, B. Y. Ma, and T. E. Tan, J. Zhejiang Univ. Sci., 5, 432 (2004). 

  69. P. van der Maas, P. van den Bosch, B. Klapwijk, and P. Lens, Biotechnol. Bioeng., 90, 433 (2005). 

  70. P. van der Maas, P. van den Brink, S. Utomo, B. Klapwijk, and P. Lens, Biotechnol. Bioeng., 94, 576 (2006). 

  71. D. E. O. Santiago, MS Thesis, Myongji University, Yongin, Korea (2010). 

  72. H. B. Lockhart and R. V. Blakeley, Environ. Sci. Technol., 9, 1035 (1975). 

  73. S. Metsarinne, P. Rantanen, R. Aksela, and T. Tuhkanen, Chemosphere, 55, 379 (2004). 

  74. K. Lee, 41th KSIEC Meeting, 1LE-3, Busan, Korea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