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나무재선충 접종목의 수분포텐셜 변화
Changes in Water Potential of Pine Seedlings Inoculated with Bursaphelenchus xylophilu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99 no.3=no.190, 2010년, pp.337 - 343  

이화용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구창덕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성주한 (국립산림과학원) ,  신준환 (국립산림과학원) ,  유종현 (충북산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한 소나무묘목에서 잎의 수분포텐셜 변화를 식물수분시스템으로 측정하였다. 소나무재선충 접종 후 35일째 12시경에 소나무의 잎 수분포텐셜은 소나무소나무재선충 접종묘에서 -1.04 MPa, 비접종묘에서 -0.94 MPa로 소나무재선충 접종묘가 비접종묘보다 더 낮았다. 접종 후 56일째에는 해뜨기 직전 잎 수분포텐셜은 소나무재선충 접종묘가 -0.71 MPa, 비접종묘가 -0.26 MPa로 소나무재선충 접종묘가 더 낮았다. 접종 후 63일째에는 소나무소나무재선충 접종묘의 1년생 잎이 옅은 황색으로 되었다. 이때 접종묘의 근원부 단면에서는 수지가 나오지 않았다. 소나무재선충의 밀도는 접종 후 28일째에 최대가 되었다가 68일째에 급감하였다. 접종묘의 체관부와 수조직은 갈변되었으며 수지 유출은 접종 후 계속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소나무재선충은 접종 1개월부터 소나무묘목에 수분 스트레스를 일으켰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water stress development in pine seedlings inoculated with Bursaphelenchus xylophilus. Leaf water potentials of four years old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oculated with the nematode were measured with a plant moisture system at predawn and midday. The m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는 소나무재선충 감염목의 생리와 감염목내에서 소나무재선충의 이동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고 일본 등의 해외에서는 접종목의 광합성의 감소, 형성층의 파괴, 에틸렌의 생성, 잎의 수분포텐셜과 증산 등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생리학적 변화에 대한 언급은 명백하지 않다(Fukuda, 1997). 이 연구에서는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의 수분스트레스 진전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나무재선충병이란? 소나무재선충은 식물에 기생하는 선충으로 미국, 캐나다, 멕시코 등 북아메리가의 토착종으로 알려져 있다(Dwinell, 1997). 소나무재선충병은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소나무류 병해 중 하나이며,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 유럽 등지에서 계속적인 피해가 보고되고 있다(Ichihara et al., 2000; Tan et al.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가 중요한 이유는? 대부분의 수목병과 같이 소나무재선충병도 발병하면 목재 생산에 타격을 주게 되며 산림경관도 해치게 된다. 따라서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는 매우 중요하다.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수성이 있는 나무로는 어떤 것이 있나? , 2005).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수성이 있는 나무로는 소나무속의 소나무(Pinus densiflora), 해송(P. thunbergii), 잣나무(P. koraiensis), 스트로브잣나무(P. strobus), 섬잣나무(P. parviflora)가 있으며, 저항성 수종으로는 리기다소나무(P. rigida), 리기테다소나무(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윤준혁, 우관수, 문일성, 구영본, 이도형. 2008. 소나무재선충 인공접종에 의한 해송묘목의 병 발달 및 수분함량변화. 한국임학회지 97: 570-575. 

  2. 이경준. 2007. 수목생리학.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pp. 514. 

  3. 이상명, 이상길, 김철수, 문일성, 김준범, 박남창, 김동수, 전향미, 이상태, 노희선, 허혜순. 2006. 소나무재선충병 바로 알기. 국립산림과학원. 서울. pp. 93. 

  4. 이상명, 추호렬, 박남창, 문일성, 김준범. 1990. 고사목에서 분리된 선충과 곤충의 종류 및 솔수염하늘소 부위별 소나무재선충 밀도조사. 한국응용곤충학회지 29: 14-19. 

  5. 이상명, 하현보. 2004. 알기쉬운 소나무재선충. 국립산림과학원. 서울. pp. 104. 

  6. 임업연구원. 1990. 일본의 소나무재선충병 연구. 임업연구원연구자료 제48호, pp. 239. 

  7. 福田 健二, 鈴木 和夫. 1988. マツ材線病の病の進展と水分生理特性の化. 日本林學會誌 70: 390-394. 

  8. 須川 豊伸. 1982. マツノザイセンチュウ被害による傷害樹脂道の生と柔細胞の性. 日本林學會誌 64: 112-116. 

  9. 原 直樹. 二井 一禎. 2001. マツノザイセンチュウ感染に よるクロマツ木部放射柔細胞の化と周道管への影響. 日本林學會誌 83: 285-289. 

  10. 黑田 慶子. 伊藤 進一郞. 1992. クロマツに侵入後のマツノザイセンチュウの動きとその他の微生物相の遷. 日本林學會誌 74: 383-389. 

  11. Ameglio, T. Archer, P. Cohen, M. Valancogne, C. Daudet, F. Dayau and S. Cruiziat, P. 1999. Significance and limits in the use of predawn leaf water potential for tree irrigation. Plant and Soil 207: 155-167. 

  12. Dwinell, L.D. 1997. The pinewood nematode: regulation and mitigation. Annual Review of Phytopathology 35: 153-46. 

  13. Fukuda, K. 1997. Physiological process of the symptom development and resistance mechanism in pine wilt disease. Journal of Forest Research 2: 171-181. 

  14. Fukuda, K. Hogetsu, T. and Suzuki, K. 1992. Photosynthesis and water status of pine-wood nematode-infected pine seedlings. Journal of the Japanese Forest Society 74: 1-8. 

  15. Hsiao, T. and Acevedo, E. 1974. Plant responses to water deficits water-use efficiency and drought resistance. Agricultural Meteorolgy 14: 59-84. 

  16. Hara, N. Takeuch, Y. and Futai, K. 2006. Cytological changes in ray parenchyma cells of seedlings of three pine species infected with the pine wilt disease. Japanese Journal of Nematology 36: 23-32. 

  17. Ichihara, Y. Fukuda, K. and Suzuki, K. 2000. Early symptom development and histological changes associated with migration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seedling tissues of Pinus thunbergii. Plant Disease 84: 675-680. 

  18. Kozlowski, T.T. and Pallardy, S.G. 1997. Physiology of woody plants. 2nd ed. Academic Press. London, pp.411. 

  19. Kuroda, K. Yamada, T. Mineo, K. and Tamura, H. 1988. Effect of cavit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pine wilt disease caused by Bursaphelenchus xylophilus. Annals of the Phytopathological Society of Japan 54: 606-615. 

  20. Nobuchi, T. Tominaga, T. Futai, K. and Harada, H. 1984. Cytological study of pathological changes in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seedlings after inoculation with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Bull Kyoto Univ For 56: 224-233. 

  21. Taize, L. Zeiger, E.(전방욱 번역). 2005, 식물생리학(3판), 라이프사이언스, 서울. pp. 637. 

  22. Tan, J.-J. Ye, J.-R. Wu, X.-Q. Zhu, Y.-F. and Li Y. 2005. A Study on disease development and early diagnosis of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fection of japanese black pine. Nematology 7: 481-4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