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녹지 가치 평가를 위한 탄소 흡수량 추정 - 서울시를 대상으로 -
Estimation of Carbon Uptake for Urban Green Space: A Case of Seoul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19 no.6, 2010년, pp.607 - 615  

이동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박진한 (서울대학교 대학원) ,  박찬 (서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rban green space is often at the centre of the debate on urban substantiality because it provides functions of space, e.g. for wildlife, recreation, growing vegetables,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interaction, etc. Traditionally, the various functions of urban green spaces clearly show that g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탄소흡수의 기능을 강조하여 흡수량이 많은 수종으로의 변화는 지양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주장하는 것은 구릉지, 산지 등을 보호하고 보존하여 과소평가 되었던 흡수원의 기능에 주목하자는 것이다.
  • 본 논문에서는 도시 녹지의 흡수원으로서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 탄소흡수량을 계산하는 방법을 보완한 방법으로 탄소흡수량을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 녹지를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탄소흡수량 산정에 있어 고도를 고려하여 입체적으로 도시 산림에 대한 면적을 구한 것 에 대해 의의를 지니며, 아울러 도시 녹지의 평가 방법에 있어 녹지의 단순한 양이 아닌 탄소흡수기능으로써의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탄소흡수의 기능을 강조하여 흡수량이 많은 수종으로의 변화는 지양해야 한다.
  • 탄소흡수량은 도시 녹지의 수목의 탄소흡수량과 토양의 탄소흡수량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아울러 도시 녹지의 탄소흡수량 평가 방법에 있어 새로운 지표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가설 설정

  • 먼저 같은 식생의 경우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다른 식생의 경우 생물분류체계의 한 단계 상위 단계에서 추정하였다. 또한 조경수 목식재지의 경우 대부분이 가로수와 공원임을 감안하여 침엽수와 활엽수가 각각 반으로 존재한다고 가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 녹지에는 어떤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는가? 도시 녹지는 도시림뿐만 아니라 도로변 녹지, 학교숲, 담장녹화지, 자연휴양림, 도시자연공원 등을 포함하는데, 일반적인 산림의 공익적 기능인 수원 함양기능, 대기정화기능, 산림휴양기능, 야생동물의 서식처기능 뿐만 아니라 도시민을 위한 여가와 휴양 기능을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제공한다(김종호 등, 2006). 이러한 도시 녹지는 도시민들 가까이에 위치하며 나무를 심고 숲을 가꾸는 과정에서 휴식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고, 생태계의 보전에도 기여할 수 있으며, 경관가치 역시 크게 증가시킨다(배민기 외, 2009).
녹지의 양과 관련된 지표는 무엇이 있는가? 기존의 기능은 주로 녹지의 양과 관련된 지표에 의해서 도시 녹지에 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 표적인 지표는 1인당 녹지면적, 녹지율, 녹지용적율, 녹지향유도, 종다양성 지수, 서식처 구조, 식생 활력도 등을 예로 들 수가 있는데 이들 지표로는 탄소흡수원의 기능을 평가하기 어렵다.
도시 녹지는 어떤 기능을 제공하는가? 도시 녹지는 도시림뿐만 아니라 도로변 녹지, 학교숲, 담장녹화지, 자연휴양림, 도시자연공원 등을 포함하는데, 일반적인 산림의 공익적 기능인 수원 함양기능, 대기정화기능, 산림휴양기능, 야생동물의 서식처기능 뿐만 아니라 도시민을 위한 여가와 휴양 기능을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제공한다(김종호 등, 2006). 이러한 도시 녹지는 도시민들 가까이에 위치하며 나무를 심고 숲을 가꾸는 과정에서 휴식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고, 생태계의 보전에도 기여할 수 있으며, 경관가치 역시 크게 증가시킨다(배민기 외,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종호, 이경학, 박찬우, 서정원, 손영모, 김경하, 윤호중, 박찬열, 이승우, 오정수, 2006, 산림의 공익기능 평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0(2), 7-15. 

  2. 김창환, 명현, 신병철, 1999, 전라북도 장안산 산림식생 종다양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3), 271-279. 

  3. 김태민, 송철철, 이우균, 손요환, 배상원, 김춘식, 2007, GIS 및 RS를 이용한 소나무림 식생 탄소저장능력의 공간분포 특성규명, 한국GIS학회, 추계학술대회. 

  4. 박은진, 2009, 도시 수목의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 및 흡수효과 증진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5. 박인석, 이상현, 임태영, 송승호, 오유진, 2007, 주거지 성능지표로서의'녹지향유도'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8(3), 161-172. 

  6. 박찬, 2009, 저탄소사회 구현을 위한 이산화탄소 저감 잠재량 분석-토지이용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배민기, 정환도, 손영모, 2009,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도시내 녹지공간의 역할-대전광역시를 사례로-, 환경정책, 17(2), 181-199. 

  8. 산림청, 2008, 전국 도시림현황. 

  9. 서정호, 손영모, 이경학, 이우균, 손요환, 2005, 동적 임분생장모델을 이용한 임분 바이오매스 및 탄소흡수량 추정, 임산에너지, 24(2), 37-45. 

  10. 양인태, 김응남, 1999, 근적외선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수목의 NDVI 추출과 분석, 대한토목학회, 19(1), 49-57. 

  11. 엄태원, 김갑태, 추갑철, 2009, 변산반도국립공원 신선봉 지역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2), 143-150. 

  12. 이경재, 최진우, 한봉호, 2008, 도시 공원녹지의 총량 산정을 위한 지표 비교 및 적용-서울시 구로구를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36(4), 27-35. 

  13. 이경학, 손영모, 김영수, 2001, 임업 및 토지이용부문의 온실가스 흡수 및 배출 현황, 임산에너지, 20(1), 53-61 

  14. 정다정, 허준, 박성원, 2010, 도심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15. 조현길, 1999, 강원도 일부도시의 경관내 탄소흡수 및 배출과 도시녹지의 역할, 한국조경학회지, 27(1), 39-53. 

  16. 조현길, 조용현, 안태원, 2003, 도시녹지의 대기환경개선 효과-서울시 중구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3), 114-121. 

  17. 홍석환, 이경재, 2004, 서울 강남지역 아파트단지의 녹지면적에 따른 온도변화 모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 53-60. 

  18. Jeff, J., 2010, Manual: Surface Area and Ratio for ArcGIS. 

  19. Masahiro Amano and Roger A. Sedjo, 2006, Forest Sequestration: Performance in selected countreis in the kyoto period and the potential role of sequestarion in post-kyoto agreements, Resources for the future. 

  20. Noack A. W. Frederik, Michael Manthey, Jack H. Ruitenbeek and M.R. Marvie Mohadjer, 2010, Separate or mixed production of timber, livestock and biodiversity in the Caspian Forest, Ecological Economics, 70: 67-76. 

  21. Robert N. Stavina and Kenneth R. Richards, 2005, The cost of U.S. forest-based carbon sequestration, Pew Center on Global Climate Change. 

  22. Whitford V., Ennos A. R., and Handley J. F., 2001, "City form and natural process"- indicators for the ecological performance of urban areas and their application to Merseyside, UK,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7: 91- 103. 

  23.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도시생태현황도 (http://urban.seoul.go.kr/) 

  24. 서울특별시 통계정보 (http://stat.seoul.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