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토양산성화 조건하에서 생육시킨 상수리나무 묘목의 광합성 활성
Photosynthetic Activity of Quercus acutissima Seedlings Grown under Artificially Acidified Soil Condition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99 no.6, 2010년, pp.843 - 848  

진현오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방선희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이충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부)

초록

상수리나무 묘목의 생장과 광합성 활성에 미치는 토양산성화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토양내 $H^+$ 부하량이 증가할수록 상수리나무 묘목의 건중량은 감소하였으며, RGR 및 NAR도 저하하였다. 또한 토양 내 $H^+$ 부하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수리나무 묘목의 순광합성속도, 증산속도 및 암호흡속도가 감소하였다. 이는 토양산성화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뿌리의 생장이 억제되어, 이로 인해 영양분의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잎의 광합성량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된다. 엽내 N농도 및 chlorophyll함량과 $CO_2$고정효율과의 사이에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p<0.01)가 인정되었다. 토양으로의 $H^+$ 부하량의 증가에 따른 N함량 및 chlorophyll함량의 저하가 상수리나무 묘목의 $CO_2$고정계의 활성을 감소시켰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광합성 활성의 감소가 토양산성화 조건하에서 생육시킨 상수리나무 묘목의 생장저하 원인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soil acidification on the photosynthetic activity of Quercus acutissima seedlings were investigated. We measured the growth and photosynthetic activity of the seedlings in relation to soil acidification. The dry weights of the seedlings were reduc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천연활엽수림의 주종을 이루는 상수리나무의 묘목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토양을 산성화시킨 후 토양 산성화가 수목의 광합성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엽 내 chlorophyll함량의 특징은 무엇인가? 엽 내 chlorophyll함량은 일반적으로 광합성 능력과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물의 chlorophyll함량은 대기오염과 같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붕괴된다(우수영 등, 2004). 따라서 실험개시 180일 후에 있어서 상수리나무 묘목의 chlorophyll함량을 분석한 결과(Table 3), 10 meq H+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H+ 부하량이 증가함에 따라 chlorophyll a, b 및 a+b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최근 유럽과 북미에서 산림쇠퇴현상은 무엇에 의한 피해라고 보고되고 있는가? 특히,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한 환경오염은 대도시와 공단지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최근 유럽과 북미에서 수목의 쇠퇴현상은 화석연료 사용증가로 인한 대기오염물질 및 CO2의 농도증가로 인한 피해라고 보고되고 있다(Larcher, 2003).
산림쇠퇴의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산림쇠퇴의 원인은 산성비 등의 산성강하물과 오존 등의 대기오염물질의 직접영향(Krause et al., 1986), 토양으로부터의 염기용탈과 이에 따른 양분결핍 및 토양으로부터의 Al 용출 등을 유발시키는 토양산성화(Ulrich, 1989), N과잉에 의한 토양양분의 불균형(Nihlgärd, 1985), 지구온난화와 건조화 등의 기상영향(松本 등, 1992), 병충해와 복합스트레스에 의한 쇠퇴(Tesche et al., 1993)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우수영, 이성한, 이동섭. 2004. 대기오염 피해를 받은 서울시내 가로수의 엽록소함량과 광합성 특성. 한국농림기상학회지 6(1): 24-29. 

  2. 이경재, 조우, 한봉호. 1996. 서울 도시생태계 현황과 회복대책(I) -산림지역 식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1): 113-127. 

  3. 이돈구, 김갑태, 신준환, 주광영. 1984. 인공산성우가 소나무와 잣나무 유묘의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관악수목원연구보고 9: 15-19. 

  4. 이수욱, 민일식. 1989. 대기오염 및 산성우가 삼림생태 계의 토양산도 및 양료분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78: 11-25. 

  5. 이종식, 이규승. 2000. 우리나라 강우의 산성도 중화에 대한 ${NH_4}^+$ 및 $Ca^{2+}$ 의 영향. 한국환경농학회지 19(1): 72-74. 

  6. 이충화, 유정환, 김영걸, 변재경, 김춘식, 이승우, 이봉수. 1999. 토양산성화가 소나무 묘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산림과학논문집 61: 90-96. 

  7. 전영신, 조하만, 권원태. 1994. 한반도 중부지방에서 관 측된 1992-1993년 산성비의 특성과 공기 이동 경로 분석. 대기보전학회지 10(3): 175-182. 

  8. 진현오, 방선희, 이충화. 2008. 토양산성화가 소나무, 상수리나무 묘목의 생장 및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7(3): 266-273. 

  9. 三輪 誠, 伊豆田 猛, 戶塚 績. 1994. 母材が異なる3種類 の土壤の酸性化がスギ苗の成長に及ぼす影響. 大氣汚染學會誌 29: 254-263. 

  10. 松本陽介, 丸山 溫, 森川 靖. 1992. 杉の水分生理特性と 東平野における近年の象動 -樹木の衰退現象に連して-. 森林立地 34: 2-13. 

  11. 松本英明. 1994. 植物におけアルミニウ耐性の生理生化 - 低pH土と植物-. 日本土壤肥料學會編. 博友社. pp. 59-98. 

  12. 太田垣 貴啓, 三輪 誠, 伊豆田 猛, 戶塚 績. 1996. 硫酸 添加により酸性化させた褐色森林土で育成したスギ苗の光 合成活性. 大氣環境學會誌 31: 11-19. 

  13. 戶塚 績. 1984. 植物の成長に及ぼす大氣汚染ガスの影響. 國立公害硏究所硏究報告 64: 99-119. 

  14. Arnon, D.I. 1949. Copper enzymes in isolated chloroplasts. Polyphenoloxidase in Beta vulgaris. Plant Physiology 24: 1-15. 

  15. Barnes, J.D., Balaguer, L., Manrique, E., Elvira, S. and Davison, A.W. 1992. A reappraisal of the use of DMSO for the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of chlorophylls a and b in lichens and higher plants.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otany 32: 85-100. 

  16. Choi, D.S., Jin, H.O., Lee, C.H., Kim, Y.C. and Kayama, M. 2005. Effects of soil acidification on the growth of Korean pine(Pinus koraiensis) seedlings in a granitederived forest soil. Environmental Science 12: 33-47. 

  17. Farquhar, G.D. and Sharkey, T.D. 1982. Stomatal conductance and photosynthesis. Annual Review of Plant Physiology 33: 317-345. 

  18. Ferenbaugh, R.W. 1976.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Phaseolus vulgaris L.(Fabaceae). Amer. J. Bot. 63: 283-288 

  19. Fornasiero, R.B. 2003. Fluorides effects on Hypericum perforatum plants: first field observations. Plant Science 165: 507-513. 

  20. Hampp, R. and Schnabl, H. 1975. Effect of aluminium ions on $14CO_2$ fixation and membrane system of isolated spinach chloroplast. Z. Pflanzenphysiol. 76: 300-306. 

  21. Hunt, R. 1978. Plant Growth Analysis. Edward Arnold Publishers Ltd. pp. 8-25. 

  22. Izuta, T., Yamaoka, T., Nakaji, T., Yonekura, T., Yokoyama, M., Matsumura, H., Ishida, S., Yazaki, K., Funada, R. and Koike, T. 2001. Growth, net photosynthetic rate, nutrient status and secondary xylem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Fagus crenata seedlings grown in brown forest soil acidified with $H_2SO_4$ solution.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30: 1007-1012. 

  23. Krause, G.H.M., Arndt, U., Brandt, G.J., Bucher, J., Kent, G. and Matzner, E. 1986. Forest decline in Europe: Development and possible cause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31: 647-668. 

  24. Larcher, W. 2003. Physiological Plant Ecology. 4th ed, Springer-Verlag, New York. 506pp. 

  25. Lee, C.H., Lee, S.W., Kim, Y.K. and Cho, J.H. 2003. Atmospheric quality, soil acidification and tree dicline in three Korean red pine forest. Korean Journal of Ecology 26(2): 87-89. 

  26. Matyssek, R., Reich, P., Oren, R. and Winner, W.E. 1995. Response mechanisms of conifers to air pollutants. In Smith, W.K. and T.M. Hinckley(eds.), Ecophysiology of coniferous forests. Academic Press, San Diego, CA. pp. 255-308. 

  27. Nihlgard, B. 1985. The ammonium hypothesis: An additional explanation to the forest dieback in Europe. Ambio 14: 2-8. 

  28. Reich, P.B., Koike, T., Gowers, S.T. and Schoettle, A.W. 1995. Causes and consequences of variation in conifer leaf life-span. In Smith, W.K. and T.M. Hinckley(eds.), Ecophysiology of coniferous forests. Academic Press, San Diego, CA. pp 225-254. 

  29. Shareky, T.D. 1985. Photosynthesis in intact leaves of $C_3$ plants: physics, physiology and rate limitations. The Botanical Review 51: 53-105. 

  30. Tesche, M., Wienhaus O., Codzik, St. and Materna, J. 1993. Stress and decline in air-polluted forest ecosystems of somr countries in the eastern parts of central Europe. XV. International Botanical Congress(Tokyo). 

  31. Ulrich, B. 1989. Effect of acidic precipitation on forest ecosystems in Europe. In Adriano, D.C. and A.H. Johnson (eds.), Acid Precipitation Vol. 2: Biological and Ecological Effect. Springer-Verlag 189-272. 

  32. von Caemmerer, S. and G. D. Farquhar. 1981. Some relationships between the biochemistry of photosynthesis and the gas exchange of leaves. Planta 153: 376-3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